티스토리

pxd story
검색하기
블로그 홈

블로그 홈

pxd story

story.pxd.co.kr/m
신고

UX에 관한 pxd사람들의 진지하거나 소소한 수다

구독자
20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2018 pxd story 포스트 모⋯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UX 리서치]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4편 pxd UX리서치팀은 지난 17개월 동안 약 8건의 리서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20명 이상의 팬과 아티스트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시리즈를 통해 팬 활동이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그리는 새로운 팬 활동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Cycle 4] 비음원 콘텐츠: 발행 및 판매 ↔ 소비/탐색/공유 WEB2: 포토카드를 매개체로 얻는 유대감과 소속감마케팅의 일환으로 팬덤이 소비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한국소비자원에서 실시한 ‘팬덤 마케팅 소비자 문제 실태 조사’에 따르면, 팬은 주로 구매하는 팬덤 마케팅 품목으로 77.8%가 ‘음반’으로 응답했으며, 구매 목적으로는 음반 수집 및 음악 감상 외 ​​‘음반에 포함된 굿즈 수집’이 52.7.. 공감수 10 댓글수 0 2025. 1. 15.
  • [UX 리서치]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3편 pxd UX리서치팀은 지난 17개월 동안 약 8건의 리서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20명 이상의 팬과 아티스트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시리즈를 통해 팬 활동이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그리는 새로운 팬 활동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Cycle 3] 팬클럽: 모집 ↔ 가입 및 활동팬클럽 활동의 핵심은 연대감에 있습니다. 저희는 이것을 팬덤과 아티스트의 연대, 팬 간 연대 두 가지 관점으로 바라보려고 합니다. 3-1. 팬덤과 아티스트의 연대먼저 팬덤과 아티스트의 연대는 공생하는 공간의 특성과, 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방식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WEB2: 정제되지 않은 여론이 오가는 팬덤 플랫폼케이팝 팬덤은 아티스트와 팬 간 결속력이 독보적이라는 특징.. 공감수 10 댓글수 1 2025. 1. 7.
  • [UX 리서치]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2편 pxd UX리서치팀은 지난 17개월 동안 약 8건의 리서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20명 이상의 팬과 아티스트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시리즈를 통해 팬 활동이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그리는 새로운 팬 활동의 모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Cycle 2] 오프라인 이벤트: 개최 ↔ 참여WEB2: 암표와 전쟁 치르는 팬덤공연 예술 문화 시장에 골치 덩어리로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존재는 바로 ‘암표’입니다. 암표상은 아티스트를 향한 팬의 순수한 심리를 이용해 이득을 취하려고 하죠. 최애를 보기 위해 정가보다 훨씬 높은 값을 내고서라도 구매하려고 할 테니 말이죠. 암표상들은 ‘매크로'라는 자동화 프로그램을 사용해 표를 예매하기 때문에 일반 팬으로써는 공정한 방식으로 표를 확보하기는 어.. 공감수 7 댓글수 5 2024. 12. 25.
  • [다녀왔습니다] 디지털과 현실의 교점, '춤을 추었어 Danced Away' 현실의 그림은 디지털로 넘어가 NFT 속 애니메이션으로 다시 태어나고, NFT 속 작품은 다시 현실로 무대를 옮겨 모두를 만나기도 합니다. 참으로 경계가 희미해진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죠. 아날로그는 아날로그에만 그치지 않고, 디지털은 디지털에만 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책은 멈춰있는데 디지털 매체는 움직일 수 있고, 보는 것과 듣는 것을 함께할 수 있으니까요. - 이수지 작가의 인터뷰 중 현대어린이책미술관의 ‘춤을 추었어 Danced Away’ 전시에 다녀왔습니다. 이수지 작가와의 지난 인터뷰에서 작가는 그림책을 NFT와 연결한 이유에 대해 위와 같이 말했는데요. 전시의 경험이 작가의 말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멈춰있는 그림이 우리를 다음 장면으로 이끌고, 공간을 가득 메운 Danced Away .. 공감수 4 댓글수 4 2024. 12. 17.
  • [UX 리서치] 블록체인이 만드는 팬덤의 진화 #1편 들어가며케이팝은 독특한 팬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케이팝이 인기를 끌며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코어 팬덤을 겨냥하는 전략에 점점 주목하고 있죠. 이러한 흐름에 따라 팬 활동은 새로운 기술과 결합하며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팬 활동이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면 어떤 모습일까요? pxd UX리서치팀은 지난 17개월 동안 약 8건의 리서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20명 이상의 팬과 아티스트를 만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UX리서치팀이 깊게 이해한 팬과 크리에이터가 그리는 새로운 팬 활동의 모습을 총 4편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팬과 아티스트 활동 이해하기팬 활동은 아티스트의 활동 사이클을 주축으로 형성됩니다.  첫째, 아티스트는 음원과 앨범을 발매하고, 팬은 이를 구매합니다. 팬 활동의 첫걸음.. 공감수 10 댓글수 7 2024. 12. 12.
  • 블록체인 서비스 리서치와 사용자 이야기 지난 2022년 여름부터 블록체인 기반 게임 플랫폼의 개편을 시작으로 약 2년 동안 블록체인 산업에 관한 리서치를 진행했습니다. DeFi(Decentralized Finance), NFT(Non-Fungible Token) 시장 서비스 등을 조사하며 많은 사용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죠. 조사와 별개로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새로운 사실을 배운 순간들은 매우 유익하고 즐거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사용자들과의 만남을 소개합니다.블록체인 게임을 왜 할까? 타운스타라는 게임은 보통 100~1,000만 원 정도로 처음에 투입하는 금액부터 달라요.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는 NFT를 사지 않으면 수익 없이 게임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도 있어요. - 국내 사용자 A 씨 블록체인 게임 사용자들과.. 공감수 21 댓글수 6 2024. 11. 12.
  • [인터뷰] ‘춤을 추었어’ NFT, 그림책과 만나 마음을 갖다 NFT(Non-Fungible Token)는 이름 그대로 다른 무엇이 ‘대체할 수 없는' 제각기 고유한 것이에요. 똑같은 곰 인형이 수만 개씩 있다 해도 다른 곰 인형이 내가 품은 곰 인형을 대신할 수 없듯, NFT는 ‘내 것'으로서 유일성을 가져요. 물성이 없는 디지털이지만, 소유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감성을 담고 있죠.이수지 작가는 NFT ‘춤을 추었어'로써 이런 NFT의 감성과 가장 아날로그적인 책을 연결 지었어요. 그의 이야기는 모리스 라벨의 무곡 ‘볼레로’를 만나 열여덟 점의 그림이 되고, 각 그림은 선율에 맞춰 춤추는 애니메이션 NFT가 돼요. NFT는 ‘춤을 추었어'의 일부이자 나만이 가질 수 있는 이야기죠. 책과 그림, 그림책과 음악, 애니메이션과 NFT, 그리고 다시 NFT와 책을 잇댄 .. 공감수 11 댓글수 1 2024. 9. 19.
  • Token Bound Account(TBA)는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을까? TL;DRTBA는 이더리움의 새로운 표준으로, "백팩 지갑"으로 기능할 수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NFT는 다른 토큰을 저장하고,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하며,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어 NFT의 유틸리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각 캐릭터 NFT는 서로 다른 설정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TBA는 사용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번들링과 판매를 용이하게 하여 2차 판매를 촉진합니다. TBA는 AI와 로봇 간의 거래를 포함한 경제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합니다.TBA에 대한 기술 소개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TBA가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5. 2.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웹3 생태계는 이용자들의 참여와 그에 따른 보상이 선순환하며 성장하는 매력적인 공간이에요. 이곳에서의 참여와 보상은 암호화폐로 이뤄지는데요. 웹3를 처음 접하면 여러 암호화폐 중 어떤 것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가치 변동성이 적어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Stablecoin(이하 스테이블코인)을 소개해요.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암호화폐예요. 코인의 가치를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 화폐 또는 금,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해서 변동성을 최소화해요. 여기서 ‘연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자산이 준비돼 있다는 의미예요.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접근성 등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법정 화폐, 금 같은 자산의 안정적인 ..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29.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코인을 살 때 Gas fee(이하 가스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냈는데, 가스비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가스비를 처음 접했을 때, 다들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이번 시간에는 가스비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가스비란? 가스비는 토큰을 교환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내는 수수료예요. 이용자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내는 거예요. 그리고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활동은 데이터로 네트워크에 영원히 기록되는데요. 이 기록은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참여자들이 일일이 이용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거죠. 이 때문에 가스비의 일부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도 주어져요. 즉, 가스비는 네트워크 사용료와 참여자..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4. 22.
  • 블록체인 신규 유저와 함께하는 티켓 NFT 구매기 들어가며 ‘우리 서비스를 유저 입장에서 사용해 보자'라는 취지로 시작한 ‘내돈내테' 프로젝트도 어느새 마지막입니다. 이번 내돈내테는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벤트와 결합(RWE : Real World Event)되었을 때, 신규 유저도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는지, 경험이 가로막히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그들 입장에서 파악해보자라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습니다. 지난 9월, RW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NILE(나일)에서는 Ticket(티켓) NFT를 판매했었는데요. 저희는 이 티켓 NFT를 블록체인/Web3.0 경험이 전혀 없는 신규 유저 6명과 함께 구매/사용하는 전반의 과정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사용자 조사는 신규 유저가 티켓 NFT를 처음 마주하고 구매하는 실제 모습과 가장 유.. 공감수 3 댓글수 0 2024. 4. 18.
  • [WEMIX CHAMPIONSHIP] NFT 제작기(2): 대회의 현장을 풍성하게 채우는 NFT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골프 프로젝트, WEMIX CHAMPIONSHIP(위믹스 챔피언십)에는 프로젝트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네 가지의 NFT가 있었습니다. 숱한 고민과 질문을 거쳐 NFT가 우리에게 오기까지의 과정을 들여다봤습니다. 정상을 차지하기 위해 이어진 선수들의 레이스, 그 이면에는 대회의 NFT를 만들기 위한 또 다른 레이스가 펼쳐지고 있었죠. 지난번 살펴봤던 ‘Race to WEMIX CHAMPIONSHIP 2023 NFT 컬렉션’에 이어 이번에는 왕중왕전이라 할 수 있는 ‘WEMIX CHAMPIONSHIP 2023(이하 WC 2023)’ 대회 현장에서 활용된 티켓 NFT와 ‘Winners of WEMIX CHAMPIONSHIP 2023 NFT 컬렉션(이하 상금 NFT)’ 그리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21.
  • 신규 사용자의 입장에서 NILE 톺아보기 한 차례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날이 따스워지는 요즘입니다. 이제는 ‘시작'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계절이 다가왔죠. 이에 맞춰, 이번 내돈내테에서는 리서처와 디자이너가 NILE을 돌아보고 앞으로 필요한 점을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내돈내테를 시작하며, 저희 팀원들이 블록체인 산업에서 눈여겨보고 있는 트렌드는 바로 ‘Mass-Adoption’인데요, 블록체인 산업에 신규 사용자들이 증가하며 NILE 또한 블록체인 기술이나 웹3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더 쉽고 친숙하게 다가가야 한다는 과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NILE의 내돈내테에서는 또한 신규 사용자의 입장에서 직접 NILE의 NFT를 이해하고 구매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함께하고 또 사용자의 의견을 들어보았습..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3. 18.
  • [NILE] Covenant Date, 또 다른 NFT 경험이 실현되는 날 NILE(나일)의 새로운 변화, 혹시 눈치채셨나요? NEITH Altar(네이트 알타)에서 저 멀리 멈춰있던 별들이 반짝이고, 어두웠던 하늘은 태양이 떠오르기 직전의 여명을 띱니다. 기다려왔던 ‘약속의 날’ Covenant Date(커버넌트 데이트)가 밝았다는 것을 NILE의 모두에게 알리는 신호죠. 이제 Covenant Date를 맞이한 NEITH NFT(네이트 NFT) 소유자는 이곳에서 NFT를 소각하고 그 대가로 NEITH Covenant(네이트 커버넌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Covenant Claim(커버넌트 클레임)이라고 부르죠. NEITH Vault(네이트 볼트)가 투명하고 안전하게 보관해 온 NEITH Covenant가 비로소 주인을 찾아갈 때가 됐습니다. 미래의 가치를 두고 맺..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3. 14.
  • [WEMIX CHAMPIONSHIP] NFT 제작기(1): 시즌의 모든 순간을 함께하는 NFT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골프 프로젝트, WEMIX CHAMPIONSHIP(위믹스 챔피언십)에는 프로젝트 곳곳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네 가지의 NFT가 있었습니다. 숱한 고민과 질문을 거쳐 NFT가 우리에게 오기까지의 과정을 들여다봤습니다. 정상을 차지하기 위해 이어진 선수들의 레이스, 그 이면에는 대회의 NFT를 만들기 위한 또 다른 레이스가 펼쳐지고 있었죠. 먼저 ‘Race to WEMIX CHAMPIONSHIP 2023(레이스 투 위믹스 챔피언십 2023)’이 이어지는 기간 동안 선수들의 순위를 반영하고 시즌의 종료 후 업적이 담겨 완성되는 ‘Race to WEMIX CHAMPIONSHIP NFT 컬렉션(이하 RWC NFT)’이 만들어진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BI, NFT의 올바른 방향을 위..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3. 7.
  • [블록체인 트렌드 2024] BaaS, DeFi Insurance, ReFi 눈 깜짝할 새 기술이 발전하고 숨 가쁘게 변화하는 블록체인 세상에서, 정보는 소중한 재산이에요. '앎'으로써 앞을 내다보는 일은 위기에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놓치지 않게 하는 힘이 되죠. 2024년에는 어떤 새로운 변화가 펼쳐질까요? 올해의 블록체인 트렌드, 그 두 번째 편을 소개할게요. BaaS for Enterprise Blockchain BaaS(Blockchain as a Service)를 이용해 경영 전반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어요. 블록체인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지만, 자체적으로 구축하려면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들어요.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제공하는 서비스인 BaaS를 찾는 이유예요. 자본력을 갖춘 기업들도 글로벌 IT 기업의 BaaS를 이.. 공감수 3 댓글수 0 2024. 3. 4.
  • [블록체인 트렌드 2024] AA, AI, TBA, MiCA 눈 깜짝할 새 기술이 발전하고 숨 가쁘게 변화하는 블록체인 세상에서, 정보는 소중한 재산이에요. '앎'으로써 앞을 내다보는 일은 위기에 대응하고 새로운 기회를 놓치지 않게 하는 힘이 되죠. 2024년에는 어떤 새로운 변화가 펼쳐질까요? 올해의 블록체인 트렌드를 두 편에 걸쳐 소개할게요. AA(Account Abstraction) 나날이 진화하는 블록체인 지갑, 그 중심에는 AA(Account Abstraction, 계정추상화)가 있어요. ‘추상화’는 복잡하고 다층적인 구조를 단순화해 핵심만 남기는 것을 말해요. AA는 블록체인에서 어렵고 번거로운 절차를 걷어내고 ‘계정’이라는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죠. AA의 쓰임새는 무궁무진해요. 지갑 최대 송금액을 정해 거액이 도난당하는 일을 방지하고, ..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2. 29.
  • UX 디자이너의 데이터 탐험기(3)_ 데이터가 말해주는 서비스 개선 방향 시리즈는 DeFi(Decentralized Finance) 플랫폼의 스왑 서비스를 사례로 UX 디자이너가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첫 번째 편에서는 이용자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을, 두 번째 편에서는 이용자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마지막인 이번 편에서는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방식과 그에 기반한 서비스 개선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서비스 이용 방식 파악하기 프로덕트 팀이 파악한 스왑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 번째 유형은 토큰즈 페이지를 여러 차례 방문해 상당 시간 머무른 뒤 스왑 거래를 했습니다. 두 번째 유형은 스왑 페이지에서 ‘코인 Exchange’ 버튼을 반복해서 눌러 지불 코인과 수령 코인을 변경해 가며 거래했습..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2. 22.
  • UX 디자이너의 데이터 탐험기(2)_데이터가 보여주는 서비스 이용 유형과 행동 패턴 프로덕트팀의 목표는 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1편에서 말한 대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로그 데이터(사용 기록)는 이용자를 특정하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프로덕트팀은 DeFi(Decentralized Finance) 플랫폼의 방대한 데이터 가운데 필요한 것만 모아 확인하고 가공해 플랫폼에 최적화된 데이터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합니다. 프로덕트팀은 수많은 데이터 중에 어떤 데이터를 활용할까요? 플랫폼 관련 데이터 모니터링은 기본 우선, 프로덕트팀은 DAU(Daily Active Users), 신규 방문자 수 등 기본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여기에 TVL(Total Value Locked), 거래량, 각 상품의 예치 수량, 플랫폼에서 거래.. 공감수 1 댓글수 0 2024. 2. 19.
  • UX 디자이너의 데이터 탐험기(1)_데이터를 통한 이용자 파악 UX 디자이너가 데이터를 보는 이유 UX 디자이너는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해 내기 때문에 서비스의 의도를 누구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용자들이 디자인 의도대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가장 먼저 알아챌 수 있죠. 따라서 디자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빠르게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프로덕트팀이 데이터를 들여다보는 이유이자 배경입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서비스 설계를 검토하고, 이용자 행동 방식을 이해해 실제 서비스 운영에 활용하는 것이죠. 데이터 분석의 세 가지 목적 1. 이용자 이해 2.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방식 파악 및 유형 구분 3. 서비스 개선 및 디자인 의사 결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덕트팀은 정량적 사고와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의..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2. 15.
  • 현실 세계와 블록체인 세계의 연결 고리, Oracle 들어가며 블록체인 기술 적용으로 여러 산업에서 일어날 변화를 그려보면 마치 딴 세상 같습니다. 분야를 불문하고 업무상의 비효율, 정보의 비대칭성 및 불투명성, 지속적인 보안 강화와 같이 지금도 좀처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해결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기도 하니까요. 하지만 대개 신기술을 적용하다 보면 극복해야 하는 장애물이 등장합니다. 블록체인의 경우는 기술로 인한 혜택이 빛을 발하려면 현실의 데이터를 활용해야 하는데, 기술 특성상 이를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보낼 수 없다는 것이죠. 이러한 어려움을 ‘Oracle(오라클)의 문제’라고 하는데요. 본래 ‘Oracle’은 신들의 대답을 전달하는 사제를 뜻합니다. 블록체인 세계에서는 신탁을 전하는 역이라는 점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의 데이터를 블록체.. 공감수 2 댓글수 0 2024. 1. 29.
  • [WEMIX CHAMPIONSHIP] Race to WEMIX CHAMPIONSHIP, 블록체인으로 골프 시즌을 즐기는 방법 WEMIX CHAMPIONSHIP(위믹스 챔피언십)은 골프 경기에 블록체인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참여형 스포츠 문화를 제안하는 프로젝트입니다. KLPGA 2023시즌의 정규투어를 아우르는 'Race to WEMIX CHAMPIONSHIP’을 거쳐, 왕중왕전인 ’WEMIX CHAMPIONSHIP 2023’으로 진행됐습니다. WEMIX3.0의 첫 번째 리얼 월드 이벤트, WEMIX CHAMPIONSHI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NFT로 구현한 KLPGA 2023시즌 KLPGA 2023시즌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Race to WEMIX CHAMPIONSHIP(이하 RWC)'이 도입됐습니다. 시즌 정규투어에 WEMIX 포인트 시스템을 적용해 대회 결과에 따라 선수들에게 점수와 순위를 부여하..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5.
  • [una Wallet] 블록체인 라이프에 필요한 단 하나의 지갑 블록체인 지갑, 몇 개나 갖고 있으신가요? 가방 속 지갑은 하나인데 블록체인 지갑은 왜 여러 개여야만 할까, 의문이 들었던 때가 있진 않으신가요. 네트워크 하나하나 다른 지갑을 사용하다 지치거나, 이용 방법이 너무 복잡해 ‘OO 지갑에서 토큰 보내는 법’을 검색하는 데에 시간을 쏟았던 때도요. 하지만 이젠 걱정하지 마세요. 더 이상 “블록체인 지갑은 원래 그런 거니까.”라며 불편을 감수할 필요가 없습니다. 즐거운 블록체인 생활, una Wallet(우나 월렛) 하나면 충분하니까요. 지갑 하나로 충분해진 디지털 자산 관리 블록체인 시장의 코인과 토큰은 다양한 네트워크 종류만큼이나 제각기 다른 가치를 갖기 때문에 이용자 입장에서는 ‘내 자산이 얼마인지’ 곧바로 파악하기가 어려운데요. Arbitrum(아비트럼..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24.
  • [unagi] 모든 블록체인을 아우를 하나의 블록체인 ‘벽을 눕히면 다리가 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하나의 벽일지라도, 이 벽을 눕히는 데 성공한다면 더 큰 가능성으로 향하는 다리가 되어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블록체인 생태계에도 벽은 존재합니다. 생태계 속 각각의 블록체인은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이 네트워크들 사이의 자산의 이동이나 데이터의 교류가 어렵다는 점이 바로 블록체인 생태계에 놓인 하나의 벽입니다. 지금까지 체인과 체인 사이를 연결해 보려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브릿지로 대표되는 크로스 체인 기술이 있고 지금도 사용되고 있죠. 하지만 이용자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완전하게 체인 간의 연결을 이뤄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체인 간의 토큰을 교환할 수 있는 활동 정도에 그칠뿐더러 이용 과정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4. 1. 18.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OOO, 메인넷 출범!” 경제 관련 소식에서 꼭 이런 제목을 볼 수 있죠. 누군가 ‘메인넷(Mainnet)’이란 걸 세상에 내놨다는 사실은 알 수 있지만, 그게 가까운 일상부터 먼 미래까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닿지 않아요. 메인넷은 대체 무엇일까요? 왜 여러 기업이 너도나도 비장하게 메인넷을 만드는 걸까요?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던 여행자를 위해 메인넷 안내서를 준비했어요. 네트워크는 아는데, 메인넷은 모른다면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준말로,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해요.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라는 건 DeFi 편에서도 잠깐 설명해드렸죠. 이 네트워크에선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가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2. 7.
  • [NILE] NEITH Covenant — NFT에 담긴 네이트의 약속 뉴스에서 우리는 부동산이나 은행 금리의 움직임에 관한 보도를 접합니다. 어제와 오늘의 환율이 다르고 오늘과 내일의 주가가 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죠. 이렇듯 자산의 가치는 우리의 예상과 다르게 바뀌기도 하므로 사람들은 자산을 좀 더 안전하게 지키면서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원합니다. 자산의 가치를 지켜주는 어떤 안전장치가 있다면, 그리고 더 나아가 미래의 가치 상승까지 기대하게 만드는 무언가가 정말 있다면 어떨까요? 그런데 NILE(나일)의 NFT 세계에는 그런 무언가가 있습니다. 창조의 신 ‘네이트’가 NFT에 담아둔 약속, NEITH Covenant(네이트 커버넌트)가 바로 그것이죠. NFT의 가치를 위한 약속, NEITH Covenant NEITH Covenant는 네이트가 약속한 미래의 시점인 C..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27.
  • [PoET] 기여자와 함께 나누고 성장하는 ‘같이’의 가치 모든 생명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세계를 이룹니다. 만약 이 관계가 끊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어느 날 한 종(species)의 생명이 사라진다면, 먹이사슬로 얽힌 다른 생명들이 서서히 멸종하다가, 끝내는 여러 종이 서식하며 관계를 맺는 생태계 전체가 무너지고 말 겁니다. 생태계가 안팎으로 균형을 이루며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단단히 버티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명들이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생태계라고 부르는 이곳,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웹3 세상에서도 ‘같이’의 가치는 중요하죠. PoET(Proof of Ecological Transaction, 포잇)은 WEMIX(위믹스) 생태계가 이러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고안한 리워드 분배 프로그램입니다. Eco Fund(에코펀드)의 일환으로..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7.
  • [BC.0x03] 블록체인과 AI가 함께 만드는 미래 블록체인은 관련 주체들과 사회적이고 기술적인 환경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우리는 모두 블록체인 생태계의 일부지만, 그 전반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블록체인 연대기(the Blockchain Chronicle)]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또 기록합니다. 차곡차곡 쌓아나간 블록체인 생태계의 오늘이 내일을 향한 어제의 기억이 될 수 있도록 말이죠. 누구나 한 번쯤은 블록체인과 AI(인공지능)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블록체인과 AI는 우리가 미래를 말할 때 빠지지 않는 키워드지만, 자칫 막연하고 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도 있죠. 블록체인과 AI는 우리 삶에서 어떤 도움을 주고 있을까요? 블록체인과 AI가 만난 미래는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0. 25.
  • UX원칙과 함께 살펴보는 암호화폐 월렛 사용기 들어가며 더운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는게 느껴지는 요즘, pxd 구성원들은 여전히 위믹스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덕트들을 만들어가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와 더불어 직접 만든 위믹스 프로덕트를 사용자 입장에서 이용해보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내돈내테 프로젝트'도 여전히 순항 중이죠. WEMIX PLAY에 이어 세 번째 ‘내돈내테’ 주제는 바로 월렛이었습니다. 월렛은 블록체인 세계 진입을 위한 가장 첫 번째 관문인데요, 리서치 및 월렛 디자인을 위해 여러 월렛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보고 둘러보긴 했지만 암호화폐 투자자가 되어 월렛을 사용해본 적은 없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정말 내 돈을 가지고 월렛을 이용했을 때 발견할 수 있는 인사이트들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어떤 월렛을 어떻게 봤을까? .. 공감수 2 댓글수 0 2023. 9. 18.
  • GameFi를 처음 디자인 할 때 보이지 않았던 사용자 경험에 대해 들어가며 위믹스 생태계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디자인하는 pxd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만든 서비스를 직접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해 보는 ‘내돈내테’의 두 번째 테스트는 위믹스 플레이 (WEMIX PLAY)입니다. 위믹스 플레이는 위믹스 블록체인 생태계 중 PnE(Play and Earn)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GameFi(Finance) 플랫폼입니다. 게임 플레이어들은 위믹스 플레이를 통해 게임을 하고 얻은 토큰 보상으로 Pool이나 Staking에 예치하여 추가적인 이익을 얻거나, 다른 토큰으로 교환을 하는 등의 GameF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기 위믹스 플레이 3.0 사이트 개발에 참여했던 분을 포함한 디자이너 3명과 UX리서처 1명, 그리고 위믹스 플레이를 처음 접해보는 블록체인 유경험자 1명을.. 공감수 5 댓글수 0 2023. 9. 1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