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1 - 삼시세끼 속에 CI가?
2015. 2. 23. 07:45ㆍUX 가벼운 이야기
Series
1편.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1 - 삼시세끼 속에 CI가?
첫 회를 보면서 '뭐 이런 프로그램이 다 있어? 이거 망하겠는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매회 본방 사수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삼시세끼 어촌편을 본방 사수 중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방송을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예능 프로그램의 관찰 방식이 Contextual Inquiry와 매우 유사한데?(Contextual Inquiry는 UX디자인에서 활용하는 사용자 조사 기법으로 자세한 정의는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ontextual Inquiry의 개념과 실무 노하우)
Goal - 관찰의 목적
Recruiting - 파트너십의 깊이
Interview Frame & Focus
Environment
삼시세끼와 CI, 두 영역의 관찰 방식은 에스노그라피 방식의 리서치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삼시세끼는 24시간 관찰을 통해 모든 행동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합니다. 누적된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참여자에게 과거 회상을 유도하지 않아도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왜곡되지 않은 질 좋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과거 회상을 통해 정보를 수집할 경우 정보가 왜곡, 요약, 추상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그걸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의 행동을 시간대 별로 나열해 놓고 '왜 그렇게 행동했을까?'를 엮어 주면 하나의 이야기로 정리가 됩니다. 모든 시간을 함께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이점입니다.Interviewer's Role
인터뷰 진행자의 역할은 매우 비슷합니다. CI에서 인터뷰 진행자는 사용자가 행하는 행동이나 말을 통해 숨겨진 문제점을 발견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발전시킵니다. 삼시세끼에서는 PD(또는 관찰자)가 참여자의 행동이나 말을 수집하여 편집을 통해 재미있는 컨텐츠로 발전시킵니다. 사용자(참여자)는 있는 그대로 행동을 하고 느끼는대로 말을 하는데, 인터뷰 진행자는 그 안에서 Insight를 찾아내고 좋은 컨텐츠로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디자인에서는 좋은 영감을 얻어내지 못하면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 어려운 반면에 방송에서는 매력적인 장면을 얻어내지 못해도 편집을 통해 몇 배의 포장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 덕을 제일 많이 본 사람이 배우 이서진 씨가 아닐까요? ^^ 개인적인 생각입니다)Relationship
인물 관계 구조를 살펴 보겠습니다.2) 인터뷰 진행자 :
인터뷰 진행자이자 근접 관찰자로 이 모든 과정의 실질적인 진행자입니다. 필요에 따라 질문을 던지고 과업을 부여하는 사람입니다. 질문을 통해 참여자의 생각을 끌어 낼 수 있도록 유도하고, 드러나지 않은 참여자의 생각과 행동을 읽어 낼 수 있어야 합니다. 삼시세끼의 경우 PD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데, CI의 인터뷰 진행자보다는 좀 더 지배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참여자에게 장애 요소를 부여하기도 하며, 요구 사항이 있을 때에는 조건을 내걸어 거래를 하기도 합니다. (고기를 주면... 수수밭 알지?)
3) 보조 관찰자 :
근접 관찰자로 참여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합니다. CI에서는 인터뷰 대화록 작성, 주변 물건 관찰, 공간 분석, 현장 스케치 등의 역할을 합니다. 삼시세끼에서는 카메라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데 기본적인 과업은 동일하지만 카메라라는 도구의 특성상 더 많은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참여자의 행동을 추적하면서 현상을 기록하는 업무는 CI와 유사합니다. 거기에 여행가이드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며 상황을 정리해주는 해설자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의 관계, 주변 환경, 사용자의 행동 등 여러 가지 상황들을 친절하게 정리하여 설명해줍니다. 때로는 사용자의 행동을 보고 관찰자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화면에 나오는 모습 만으로 설명이 부족한 경우 부가정보를 알려줍니다(음식 조리법, 식재료 다듬는 법 등). 시청자라는 존재로 인해 생기는 과업으로 보입니다. 물론 CI에서도 관찰 이후 해석 과정에서 이와 같은 데이터들을 도출해내지만, 방송의 특성상 관찰과 동시에 해석이 나오기 때문에 매우 빠른 호흡으로 다가옵니다.
지금까지 CI의 관찰 기법과 삼시세끼의 관찰 기법을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 볼 수 있었습니다. 꽤 많은 교집합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교집합 영역에 해당되지 않는 부분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혹 이것들을 서로에게 접목 시키면 좀 더 발전적인 리서치 방법론이 나오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래서 다음 편에서는 삼시세끼가 잘하고 있는 것, CI가 잘하는 것을 분석해보고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에 대해서 고민해 보려고 합니다.
[참고##조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