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39)
-
UX 대학원 소개 (중화권)
College of Design and Innovation, Tongji University 피엑스디 블로그에서는 국내 및 해외의 UX 대학원을 소개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의 UX 대학원을 소개해 드립니다. 총 4개국의 대학원 조사와 본 글의 초안은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인간중심통합디자인연구실 HCIDlab의 리메이르(Meile Le), 박현미(Xianmei Piao), 류칭웨이(Chingwei Liu) 연구원님이 작성해 주셨습니다. UX 대학원 소개 (일본편) UX 대학원 소개 (미국편) UX 대학원 소개 (국내편) 중국 Shanghai Jiao Tong University School of Media and Design, Interaction Design Lab 홈..
-
UX 대학원 소개 (일본편)
시바우라 공업대학 피엑스디 블로그에서는 대학원 진학을 원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국내 UX 대학원 및 미국 UX 대학원을 소개하여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일본의 UX 대학원에 대해 소개하여 드립니다. 글을 작성하여 주신 분은 동경 시바우라 공업대학의 양원석 교수님 입니다. 양원석 교수는 츠쿠바대학 대학원 인간총합과학연구과 감성인지뇌과학전공 감성정보학분야에서 감성과학 박사(Ph.D Kansei Science)를 취득하고 현재 일본 동경 시바우라공업대학 디자인공학부 디자인공학과 프로덕트 디자인영역에서, 감성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UX 대학원 소개 (중화권) UX 대학원 소개 (미국편) UX 대학원 소개 (국내편) 일본의 UX디자인 교육 본 조사는 일본의 국립과 공립, 사립대학의 대학원 위주..
-
마법의 디자인
디자인에는 꼭 지켜야 할 정해진 법칙은 없다. 자신이 의도한 것이 잘 표현되도록 배치를 하면 그만이다. 의도가 잘 전달되는 몇 가지 규칙만 알아 두면, 디자인 전공을 하지 않은 사람들도 훨씬 나은 디자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가능하면 디자인 수업을 들으면 좋지만, 정 안된다면 입문서를 읽어 보는 것이 꼭 필요하다. 특히 디자인 비전공자로서 UX 디자인을 한다면 시각적인 정보 정리 능력이 꼭 필요하다. 시각적인 정보 정리는 우리 뇌의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입문서 중에서 추천하고 싶은 것은 기본적인 '조형의 원리'에 관해 쓴 책들이다. 어느 경우나 그렇듯이 근본적인 원리를 배우면 응용을 배우는 것보다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다. 다만 초보자들의 경우, 기본 원리에 관한 책만 읽으면 이러한 원..
-
뛰어난 UX 디자이너가 되는 6가지 방법 - 1만 시간의 재발견
UX 디자이너나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품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가 남들보다 좀 더 잘 하는 사람이 되었으면하는 욕심이 있을 것 같다. 물론 욕심이 큰 사람은 내가 세계적인 UX 디자이너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정도까지는 아니라도 남들보다 조금 더 잘 하고 싶은 욕심이라면 자연스러운 것이 아닐까?이에 대해 명확한 원리와 방법을 제공하는 책이, 바로 '1만 시간의 재발견'이다. 1만 시간의 재발견노력은 왜 우리를 배신하는가?PEAKSecrets from the New Science of Expertise안데르스 에릭슨, 로버트 풀 지음 과학이 밝혀낸 '전문성'의 비밀 우선 이 동영상을 한 번 보길. 파트 2도 있다. 1만 시간만 하면 '세계적인 수준'의 전문가가 된다고 했는데..
-
[독후감] 디자이너, 고객에게 말하다
디자이너, 고객에게 말하다마이크 몬데이로 지음You’re My Favorite Client/Mike Monteiro (아래 글은 책을 읽고 추천사로 작성된 것입니다.) '디자이너, 직업을 말하다(Design is a Job)'를 읽고 난 이후, 나는 완전히 그의 팬이 되어 버렸다. 마이크 몬테이로는 단지 멋진 디자인만 하면 성공할 수 있을 거라는 많은 디자이너에게, 직업인으로 혹은 사업으로서 디자인을 하는 것에 필요한 모든 조언들을 빠짐없이 해 준다. 한편 통쾌하고, 한편 슬픈 현실에 안타까와 하다가도, 또 내내 낄낄거리면서 책을 읽었던 기억이 선명하다.그런 그가 새로운 책을 냈다. 이번에는 '디자이너, 고객에게 말하다(You're my favorite client)'라는 책이다. 디자이너에게 지혜를 주..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9편 - 성공적인 사용성 평가 Usability Test
사용성 평가를 성공적으로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정답: 그냥 하면 된다. 왜냐하면 모든 사용성 평가는 성공하기 때문이다. 좀 극단적으로 이야기했지만 (이 시리즈는 언제나 자극적인 문구로 시선을 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은 이제 독자들도 알 듯) 중급 디자이너라면 이런 질문을 해 보아야 한다. 왜 모든 사용성 평가는 성공할까? 물론 회사에서 돈 들여 만들었는데, 평가에서 성공하지 않는다면 매우 곤란하다. 만든 사람이 평가하는 구조, 혹은 만든 사람에게 고용된 사람이 평가를 하는 구조에서 난데없이 실패 평가를 내리기란 어렵다. 하지만 이런 정치적인 이유를 지적하려는 건 아니다. 그렇다면 왜 많은 사용성 평가가 성공적일까? 그 이유는, 대개의 사용성 평가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보려는 것을 보기 때문이다. ..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8편 - 다이어리 스터디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user journaling)은 일정 기간 사용자의 행동과 감정을 모두 기록하게 한 뒤 하나 하나 살펴보는 방법으로 피엑스디에서도 즐겨 사용한다.최근 닐슨노만그룹에서는 다이어리 스터디에 대한 기사를 공개했는데, 이 글에서도 언급하듯이 다이어리 스터디는 특히 습관, 사용 시나리오, 태도와 동기, 행동과 인식의 변화, 사용자 여정을 살펴 볼 때 매우 유용한 조사 방법이다. Diary Studies: Understanding Long-Term User Behavior and Experiences이 글을 읽다보니, 피엑스디에서 모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다이어리 스터디를 할 때가 생각이 난다. 아마 2004년 쯤이었던 것 같다. 클라이언트 중 한 분이, 자기들도..
-
UX 대학원 소개 (미국편)
카네기멜론 디자인학과가 있는 Margaret Morrison Carnegie Hall 지난 블로그글 '국내 UX 대학원 리스트'에 이어 이번엔 미국 UX 대학원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UX Design을 더 깊이있게 공부하기 위해 해외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석사 과정 지원에 초점을 맞춰 작성되었으며, 박사 과정의 경우 관련 교수 정보 및 연구 그룹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가 더 필요할 것입니다. 해외 석사의 경우 국내와 달리 특정 연구실에 소속되지 않으며 정해진 수업 혹은 추가적인 졸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Update: University of British..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7편 - 시간 위의 디자인
초보 UX 디자이너에게 가장 해 주고 싶은 말은, "구체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생각해라"이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만들 때 추상적으로 생각하여 대충 이렇게 리스트를 만들면 되겠지?하고 만든 다음 "리스트에서 항목의 개수는 얼마가 가장 좋을까요?" 이런 식으로 질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생각하지말고, 우리 앱의 사용자는 어떤 사람이고, 이 사람은 맛집 목록에서 대개 몇 개까지 볼 생각이 있을거야. 우리가 기술적으로 몇 개를 추천하면 이 사용자를 만족시킬 확률이 80% 이상일까? 그러면 몇 개의 항목을 보여주되, 이 사람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는 무엇일까? 이 사람은 항목 간 비교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까? 이런 문제들을 스크린 높이와 함께 고려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 목표를 가장 만족..
-
디자이너와 기술교육 Design In Tech
얼마전 KPCB(미국 최대 VC로 아마존, 선, 징가 등에 투자)의 파트너로 있는 존 마에다가 DesignInTech 2016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그리고 정선우 님이 우리말로 요약하여 "실리콘 밸리는 왜 디자인에 주목하는가?"라는 글로 공유해 주셨다. 읽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꼭 읽어보면 좋은 자료라고 생각한다. 궁금해서 원문을 찾아서 하나 하나 정독해 보게 되었고, 그 중 흥미로운 점을 하나씩 공유해 보려고 한다. 보고서의 전체 내용은 1. 더 많은 기술 기업이 디자인에이전시를 인수하고 있다. 2. 디자이너가 코파운더로 있는 스타트업이 더 빨리 성장한다. 3. VC에서도 디자이너 파트너를 더 많이 영입하고 있다. 이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Design In Tech'는 전통 디자인과 많이 다..
-
UX 디자이너는 코딩을 배워야 할까
디지털 서비스 디자이너는 반드시 코딩을 배워야 한다. 코딩을 잘 한다고 훌륭한 디자이너가 되지는 않지만, 훌륭한 디자이너가 되려면 코딩을 반드시 배워야 한다. 대학의 디자인 학과에서도 코딩을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 단순 HTML/CSS를 넘어 적어도 자바스크립트, 가능하면 자바,C 같은 제대로된 언어를 배워야 한다. 그것은 마치 목공예 디자이너가 대패질을 할 줄 알아야 하는 것과 같고, 패션 디자이너가 바느질을 할 줄 알아야 하는 것과 같다. 바느질을 잘 한다고 좋은 패션 디자이너가 되는 것도 아니고, 바느질을 몰라도 패션 디자이너는 될 수 있지만, 좋은 패션 디자이너가 되려면 혼자서 (다른 사람 도움 없이) 대략의 (프로토타입 정도의) 옷은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인쇄 디자이너라면, 과거에는 디자인 학..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6편 - UX가 정말로 공감할 때 중급이 된다.
UX라고 할 때, 우리는 사용자가 어떤 경험을 하게 될 지 디자인한다. '경험'을 디자인한다는 말은 그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갖게 될 '감정,태도,행동'을 디자인한다는 것이다.(쉽게 쓴) UX란? 그리고 UI와 UX의 차이 user interface & user experience 목표로 하고 있는 사용자의 작업을 잘 이해하고 그 순간 순간 필요한 것들을 제시하거나 필요없는 것들을 보여주지 않는 것을 통해 사용자는 불안을 해소하고, 내가 이것을 장악하고 있다는 통제감을 느끼게 된다. 잘 설계된 UX라면 이에 따라 내가 다루고 있는 것에 대한 태도나 행동이 변하기도 한다. 뉴스 앱이라면 뉴스에 대한 태도가 바뀌거나 뉴스를 보는 행동이 바뀔 수도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경험의 설계라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