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교육(39)
-
UX 커리어 시작하기: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직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완벽한 가이드
이 글은 매튜 매가인(Matthew Magain)과 루크 챔버스(Luke Chambers)가 2014년 4월 UX matters에 게재한 글입니다. 피엑스디에서 저자의 서면 허락을 받고 번역, 게시하였으며, 저자의 허락없이 복사하여 사용하는 것은 절대 안됩니다. 원문 링크: "Getting Started in UX: The Complete Guide to Launching a Career in User Experience Design" by Matthew Magain & Luke Chambers, UXmatters, April.21.2014 이 글은 매튜 매가인과 루크챔버스 새로 출간된 책(Getting Started in UX: The Complete Guide to Launching a Career ..
-
디자인 비전공자의 드로잉 입문기
UX"디자인"이라고 해서, "디자인을 전공"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디자인 비전공자로 UX하기 글에서도 말하듯이 디자인 공부를 해야 하는건 분명하죠. 보통 디자인을 공부한 사람들은 오랜 시간 동안 자기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기를 연습해 왔습니다. 이는 본인을 위해서든 함께 일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든 매우 효과적인 방식임은 틀림 없습니다. 실제로 실무에서도 언어가 아닌 그림을 의사소통의 도구로 삼았을 때, 더욱 원활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을 저도 자주 느끼고 있습니다. 아주 멋지고 아름다운 그림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도울 수 있는 정도만 되더라도 매우 훌륭한 방식이라는 것을요. 요즘 읽고 있는 베르베르 베르나르의 소설 '뇌'에서도 표현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어 함께 소개합니다. 뤼크레스는 문득 ..
-
[채용] 2015 pxd 채용 안내
pxd와 함께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디자인을 하실 역량있는 분들을 기다립니다. (2015년 수정) 1. 지원하기 전에 읽어 볼 사항 피엑스디는 어떤 회사인지, 또 피엑스디에서 하는 일은 어떤 일인지 설명하는 글입니다. 입사 지원하기 전에 꼭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더 보기] pxd Annual Essay 2014 from pxdstory pxd Annual Story 2012 from pxdstory [참고##진로교육##] 모든 질문 사항은 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2. 모집 분야 모집 분야 A. UX / UI / 서비스 디자이너 경력직 및 신입에 대하여 상시 채용하고 있습니다.[더 보기] 모집분야 A - UI/UX/Service Design - User Research, Prototyping, Usa..
-
UX 분야에서 단 한 권의 책을 추천한다면? The Media Equation
컴퓨터는 이제 너무 흔한 물건이어서 더 이상 우리의 철학적 관심을 받고 있지 않는 듯 보이지만, 지금 한 번만 이 스크린을 보고 잠시 생각해 보자. 우리에게 과연 컴퓨터(스마트폰, 스마트TV 등)는 무엇인가? 1990년대는 이러한 철학적 질문으로 가득찬 시대였다. 아쉽게도 그 생각들은 끊어져 더 이상 요즘의 사람들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것 같지만, 나는 이러한 철학적 질문이야 말로, UX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내게 UX에서 추천하고 싶은 책을 물을 때, 솔직히 나는 머뭇거린다. 수많은 2000년대의 책들이 좀 더 선명하고 소화하기 좋은 형태의 지식으로 가득 채워 출간되는 반면, 나에게는 여전히 90년대의 책이 내 생각의 근간을 이루었다고 말하고 싶은데, 이러한 내 생각이, 그 시대..
-
UX 블로그 모아보기 (목록, 리스트)
깊은 지식을 얻으려면 책을 보는 것이 낫겠지만, 짧은 지식을 빠르게 얻으려면 블로그를 구독하는 것이 좋겠지요. UX 블로그 리스트를 소개하려고 검색해 보았습니다. 아마도 제일 대표적인 목록(리스트)는 UX Factory의 목록입니다. 뭐... 대표적이라기 보다는 유일하다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검색해 보니, 대부분 이 목록을 퍼온 것이거나 거기에서 조금 업데이트한 것이더군요. 전혀 다른 목록은 거의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목록에 있는 블로그들을 방문하다보니, 목록의 작성 시점 이후 폐쇄되거나 운영이 중지된 블로그들이 보였습니다. UX 블로그가 최신 글이 없다고 해서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2-3년전 글이라도 얻을 수 있는 것은 많습니다. 좋은 블로그일 수록 오래된 글도 재미있더군요. 하지만 새로운 ..
-
디자인 비전공자로 UX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OOO 전공을 하고 이제 졸업을 앞둔 대학생입니다. 얼마전 UX디자인에 관해 알게되었고 pxd블로그를 보며 "이길이 내길이구나!" 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디자인쪽 전공자가 아니다 보니 무었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UX 디자인 관련 일을 하기 위해선 구체적으로 어떤 준비를 해야하고 포트폴리오는 어떤 식으로 준비해야 하는지 pxd채용시엔 무엇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블로그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에 이런 종류의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UX 분야에는 디자인 전공자가 많기 때문에 이런 질문을 하시는 거겠죠. 더군다나 실제 UX 회사나 UX 부서에 취업을 해 보면, 디자인 전공자가 많아서 더욱 그런..
-
UX 교육과정 선택하기
안녕하세요? 질문할 곳이 없어서 용기내어 질문합니다. 전 제품을 전공했지만 UI/UX 디자인이 너무 하고 싶어 여러 준비를 하고 있는 청년입니다! 제가 이번에 두 군데의 UI/UX 교육을 신청하여 둘 다 선발이 되었는데 교육 날짜가 겹처 두 가지 중 하나를 포기해야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OOOO는 단기 과정이고 OOOO는 장기 과정인데, 제가 초급자라 어떤 것이 저에게 더 도움이 될지 고민을 하구 있구요. UI/UX 실무 선배님들께 물어보고 싶어 이렇게 용기 내었습니다! 그리고 바쁘실텐데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부분을 읽어보니, 정말 고민이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우선 같은 UX 분야에 관심을 두고 계시다니 반갑습니다. 최근 UX 디자인과 관련된 여러 가지 교육과정이 개설되었는데, 교육을 선..
-
디자인 비전공자를 위한 책, '철들고 그림그리다'
UX를 잘 하려면 이해/표현을 잘 해야합니다. (UX 디자이너의 자질) 말/글도 잘 해야하야겠지만, 시각적인 면도 잘 하면 좋습니다. 청각, 촉각, 후각도 잘 하면 좋지만 아무래도 시각보다는 중요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럼 어떻게 잘 할 수 있을까요? 우선 디자인에 대한 매우 기초적인 공부(개념과 역사)는 꼭 하시고요 (왜냐면 디자인의 기본 철학이 UX의 기본 철학이니까요). 그 다음은 보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여기에 좋은 블로그 시리즈는 조형의 요소와 원리입니다. 그러나 보는 방법을 실제로 익히는데 제일 좋은 건 사진을 배워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마추어를 위한 책이나 블로그가 많이 나와 있으니까 하나하나 연습해 보시면 좋습니다. 그 다음엔 직접 그려보는 겁니다. 예술가가 되실 필요..
-
지방대에서 UX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전 OO대학교 OO학과에 다니는 3학년 OOO라고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메시지를 보내도 될지 많이 망설였지만 막막한 마음이 메시지를 보내요!! 평소에 pxd를 페이스북으로 먼저 접하고 난 뒤에, 틈틈히 회사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들어가 소식을 보곤합니다..ㅎ 다른 것이 아니라 전 이제 막 ux, ui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보고 싶어요. 그런데 아무래도 지방쪽이라 그런지 ux, ui분야가 활발하게 연구되거나 공부되지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접한 과목들중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나 인터렉션 디자인이라는 과목으로 ux, ui를 겉핥기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사실 지금도 제가 아는 범위는 극히 좁아요. 그래서 ux관련된 강의나 워크샵 같은 것이 있으면 참여해보고 싶었는데 아래 지방에는 그..
-
디자이너의 월급이 낮은 이유
지식 경제부의 R&D 전략 기획단은 1년간 우리 나라의 과학기술연구(R&D) 지원이 어떻게 되어야 할지 체계적으로 고민하고 그 결과를 작년(2011년 11월 29일)에 발표했다. 매우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그 중 디자인 분야의 보고서를 "따끈"님이 카페를 통해 "2020년, 디자인 산업의 비전"이라는 제목으로 공개했다. '비전'이라는 제목답게 전체적으로 매우 희망찬 내용이긴 하지만, 계획을 세우기 위해 살펴본 '현황' 부분이 너무 슬프기만 하다. 정부 기관의 보고서이므로 매우 신뢰할만하다는 가정을 갖고 읽어 보면(물론 잘못 파악된 것일 가능성도 있지만, 필자가 그것을 알아낼 위치에 있지는 못하므로 믿는 수 밖에 없다)... 디자이너의 월급이 낮은 이유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디자이너 월급이 낮은..
-
[감상] 내가 대학원에 들어왔을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연구노하우 발표자료를 보고
지난 주에 SNS에서 발표자료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배울점이 많은 글이라 인사이트를 받은 구절(거의 대부분인듯...)과 제 생각을 간략하게 적어봤습니다. 비단 대학원/학생 뿐만 아니라, 직장인들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발표자료는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me2.do/F2B7QPg 1. 멀티 태스킹에 대한 노하우를 가져라. -> 점점 담당하는 일의 개수가 많아지는 요즘같은 때 어떻게하면 멀티태스킹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하고있습니다. 물론 근본적인 해답은 되지 않겠지만, 발표자료에서는 일의 순서를 잘 고려해서 일정을 짜라고 하고 있습니다. 2. 생각하라. - 정말 집중해서,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 여기에서도 구체적인..
-
[독후감]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
영혼을 잃지 않는 디자이너 되기 How to be a graphic designer, without losing your soul by 아드리안 쇼네시 클라이언트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수집하다가 '한국HCI연구회' 페이스북 페이지에 질문을 올렸더니, 'Jae Kang Kim'님이 이 책을 추천해 주셨다. 책을 읽어 보니 재미있는 내용도 많은데다 번역자(김형진 유진민 옮김)들께서 꼼꼼하게도 한국 디자이너들을 추가적으로 인터뷰하여 내용을 보강하여 얻을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 아마도 이 시대에 디자이너로 사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쯤 읽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대학생이라면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서 고민해 볼 수 있고, 어떤 회사에 취직해야할지, 또 어떻게 취직해야할지 많은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