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ymo UX: 2)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 UX

2025. 4. 28. 07:50UX 가벼운 이야기
Seungyoon Lee

얼마 전 고등학생 딸과 함께 LA를 짧게 방문했습니다. 체류하는 동안 함께 웨이모(Waymo)를 2번 타봤는데 그 경험을 공유합니다. 

Waymo란? 
먼저 웨이모는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autonomous ride-hailing service)로 현재 미국 샌프란시스코, LA, 피닉스, 오스틴, 애틀랜타(곧 운행 예정)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웨이모 홈페이지(https://waymo.com)를 참고해 보세요.   

 

지난 글에서 웨이모 탑승 경험에 대해 소개를 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과정에서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몇 가지 생각해 볼만한 UX 포인트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 UX

운전자가 없는 차량을 사용자가 타는 경우에 UX 관점에서 생각해 볼만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사용자가 차량을 신뢰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차량은 사용자가 자율주행 차량을 탑승하는데 주저함이 없도록 신뢰감을 주어야 합니다. 그 신뢰감은 투명한 정보 공유, 충분한 설명, 사용자가 예상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때 나타납니다. 

Waymo Safety Dashboard는 웨이모의 안전성을 다수의 지표로 보여줍니다. 지표에 의하면 부상, 에어백, 경찰 개입이 필요한 사고에 있어 압도적인 개선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여기에 이 수치가 어떻게 계산되었는지에 대한 방법론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Waymo Safety Dashboard, https://waymo.com/safety)

 

사용자가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불확실성 감소 이론(Uncertainty Reduction Theory: Berger & Calabrese, 1975)에 의하면 예측 가능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신뢰를 높인다고 합니다.  

웨이모 맵은 목적지까지 어느 루트로 가는지, 앞으로 몇 미터 앞까지는 어떤 차선으로 주행할 것인지, 차량이 주행하며 주변 장애물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는 차가 어디로 가는지 앞으로 주행에 문제는 없을 것인지 예측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안심하게 됩니다. 

(보행자와 주변 차량이 인식된 모습, https://www.theturnsignalblog.com/how-waymo-uses-design-to-create-trust-in-driverless-cars)

 

'나만의 공간' 경험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일반 차량 호출 서비스와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의 큰 차이점은 운전자가 없다는 것이죠. 택시를 탈 때 만나는 기사님에 따라 탑승 경험이 달라지는 것과 다르게 모르는 사람을 만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은 사용자가 나만의 공간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좀 더 주체적인 행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내가 내 차의 음악을 바꾸고 내 컨디션에 맞게 공기를 순환하는 것과 같은 행동이 자연스러워집니다. 또 주행 패턴, 여기에 다양한 콘텐츠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모든 영역에 개인화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좀 더 나아가면 내가 원하는 설정에서 나아가 나의 말, 상태에 반응하는 형태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퍼듀 대학의 디지털 트윈랩에서 공개한 Talk2Drive 같은 경우, "친구를 너무 오래 기다리게 하고 싶지 않아," "차멀미가 좀 난다"와 같은 승객의 언어를 이해하하여 주행 스타일과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Talk2Drive: Large Language Models for Autonomous Driving - Real World Experiments

 

앞으로의 UX 진화가 무척 기대되는...

종합해 보면, 자율주행 차량 호출 서비스의 UX는 첫째, 사용자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구축하고 둘째, 기술 수용을 한 사용자가 여전히 느끼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개인화를 제공하고, 셋째, 사용자와 차량을 더 정서적으로 연결하는 관계성을 깊게 가져가기 위한 사용자를 인지하고 대응하는 경험 설계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다음의 세 단계로 발전을 예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운전사 없는 자율주행 차량이 일상이 되는 미래가 이렇게 훌쩍 눈앞에 왔다는 게 흥미롭습니다. 앞으로 갑자기 닥쳐올 수도, 또 지금은 예상하지도 못한 새로운 경험이 등장할 수도 있을 텐데 어떤 새로운 경험이 우리를 놀라게 할지 기대가 많이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