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의 경우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Long Tap'을 통해 잠금을 해제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 Drag&Drop이 가능한데 아이폰의 경우 아이콘이 살랑살랑 흔들리는 모션을 보여주면서
객체가 이동가능한 상태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이것도 나이스한 솔루션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어서 아이콘에 Hold를 하면 아이콘이 떠오르면서 다른 아이콘과 구분이 되고 이동가능한 객체라는 것을
인지시켜줍니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도 x버튼이 더 먼저 보입니다.
클릭이 더 쉽게 행위를 유도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아이팟의 하단 메뉴 편집의 경우 아이콘을 길게 누르면 객체가 공중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공중으로 떠오르는 이미지를 통해 Layer를 구분짓고
아래 Layer에 있는 아이콘과는 구분되게 하여 이동가능성에 대한 어포던스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어포던스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1. 인지의 어려움
책의 본분에 언급된 것처럼
터치스크린에서는 '탭(기본동작) 이외의 다른 인터랙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짧은 시간에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Tap은 아래와 같은 짧은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Tap : 오브젝트 누르기 -> 오브젝트 놓기
탭과 달리 Drag&Drop에는 '끌기(Drag)'라는 동작이 추가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서 Pain point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끌기(Drag)위해서는 오브젝트를 잡아놓는 Holding이 필요한데
'Holding을 유도하기 위한 어포던스'가 중요 요소로 생각되고
동시에 '이동(Drag)에 대한 어포던스'를 높였을 때 Drag&Drop에 대한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제시한 사례중 2번이나 3번처럼 과감하게 액션을 부여하는 것이 해결책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객체를 Touch point에 붙들어 놓을 수 있고(Holding), 이동(Drag)에 대한 행위 유도]를
이끌어내면 Drag&Drop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행위의 어려움
위에서 사례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키오스크같은 큰 화면에서 Drag&Drop하는 것은 실제 이동거리가 커서 물리적으로 사용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우스 커서나 모바일기기 핑거 액션은 짧은 거리를 움직이는데 비해서.
화면이 큰 키스크린에서는 물리적인 거리, 화면이동시 딜레이 등 환경요소에 의해 사용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패드만 써봐도 웹페이지 스크롤이 휴대폰만큼 깔끔하게 되지 않습니다)
또한 키오스크가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수직면에서 드래그 하는 건 마우스질처럼 수평면 위주의 드래그에 비해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특별히 재미를 위한게 아니라면 키오스크에서는 쉽고 단순한 터치로 가는게 대개의 경우 좋은 선택라고 생각됩니다.
(참조 : pxd 한상택님 의견)
Drag&Drop에 학습이 되어 있는 유저들은 얼마나 될까? 2011년 9월21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까지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1560만9000명이라고 합니다. 대략 국내 총 인구의 33%가 스마트 폰을 쓴다고 가정하고, 그 안에서 Drag&Drop학습이 잘 되어 있는 사람만 추려낸다면 33%를 훨씬 밑도는 수치의 사용자만이 Drag&Drop에 학습이 되어 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여기에 대한 수치적인 자료는 없습니다.한 번 조사해보고 싶네요).
이 추론을 바탕으로 대략 4명중 1명만이 터치스크린 Drag&Drop에 대한 학습이 되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결과적으로 4명 중 3명은 터치스크린에서 Drag&Drop에 대한 경험이 없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수치면 '일반적이지 않은 인터랙션'이라고 해도 될까요? 모바일기기에서 키오스크로 확장시키면 학습도가 더 떨어질 것입니다.
글쓴이 후기
이 블로깅을 통해 단순히 'Drag&Drop 인터랙션이 사용자에게 정말 어려운 동작인가?'를 밝히고 싶었던 것은 아닙니다.
- 터치스크린에서 Drag&Drop은 쉬운 인터랙션은 아니다. (전제)
- 그렇다면 Pain Point는 어디에 있을까? (문제점)
- 그 Pain Point를 어떤 방식으로 개선할 수 있을까? (해결방법)
를 말하고 싶었습니다.
정리해보니 문제를 던져놓은 수준밖에 안되는 것 같습니다. 단순히 블로그 한 편에 정리될 만한 사안이 아닌 것 같군요.
사용자 조사등을 통해 조금 더 납득할만한 Pain Point를 찾고, 어포던스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을 해본다면
Drag&Drop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선의 여지가 분명히 있는 만큼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고민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편에는 Drag&Drop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 정리해봐야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 의견 달아주시면 다음편 블로깅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