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Experience by Adaptive Path 2013 후기 (1)
2013. 10. 25. 02:31ㆍUX 가벼운 이야기
안녕하세요,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디자인 학교에서 인터랙션 디자인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정은기 입니다. pxd의 통신원으로 첫 포스팅을 하게 되어서 참으로 기쁩니다 :) 오늘 제가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최근 10월 3, 4일 양일에 걸쳐 미국의 Adaptive Path가 개최한 Service Experience 2013 컨퍼런스의 후기입니다. 몇 년 전부터 세계 디자인 계에서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는데요, 본 컨퍼런스를 통해 미국의 서비스 디자인 최근 실무 및 업계 동향을 확인할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두 편에 나눠서 제가 가장 인상깊게 보았던 몇몇 발표들과 생각들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1) 먼저 컨퍼런스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참여한 일반 기업들을 살펴보면, 기술기반 인터넷 서비스업, (Airbnb, Groupon, OpenTable) 제조업 (Philips Healthcare, GE), 전통 서비스업 (Mayo Clinic, Marriott, USAA - 미군 현역 및 전역자 대상 보험업체, AT&T) 들로,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와 디자인의 만남에 관심을 가지고 실무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간 서비스 디자인 컨퍼런스들을 보면 주로 학계나 컨설팅 회사들로 라인업이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컨퍼런스에서는 일반 기업의 내부 조직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어떻게 내재화 되어 실행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어서 특히 유익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Dave Gray (Liminl - 조직 변화 및 혁신 컨설팅)
"When Service Meets the Divided Company"
첫번째 발표는 디자인 사고에 기반한 조직변화 (Organization Transformation) 컨설팅 업체를 운영하고 있고, Connected Company의 저자인 Dave Gray가 "When Service Meets the Divided Company" 라는 주제로 진행했습니다. 행사의 첫 발표가 일견 서비스 디자인과는 거리가 조금 있어 보이는 조직 변화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 된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은 조직의 변화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은 영국의 서비스 디자인 회사 engine의 공동창립자인 Oliver King이 몇년 전 부터 줄곧 주장하던 바인데요, 올해 4월 Andy Polaine과 Live|Work 공동창업자가 집필한 Service Design: from Insights to Implementation에서 이 부분을 보다 직접적으로 다룬 바 있습니다. 이 책에서 서비스의 수혜자 (일반적으로 고객 (Customer)) 는 서비스를 하나의 단일한 경험 (Unified Experience) 로 인식하지만, 실제 서비스가 조직에서 만들어지고 전달되어 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파편화된 개별 조직들 (Silo) 에 의해 집행되는 경우가 많아 단일한 경험을 만들어 내는 데에 도전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Dave의 기조 연설은 서비스 디자인 계의 숙원: 일부 접점(touchpoint) 들에서 작용하는 인공물을 디자인하는 차원을 넘어서, 그것이 원활하게 서로 맞물려 일관된 서비스 경험과, 나아가 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프로세스를 디자인 해야 한다는 과제를 다루고 있다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더불어, 이번 컨퍼런스의 가장 큰 특징인 일반 기업들에 내재화된 서비스 디자인 실무 사례 공유에 대한 예고편이기도 했습니다. 다만, Dave가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한 '조직 문화 매핑' 방법 에 대해서는 더 많은 숙고와 점검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 Kyle Vice (Philips Healthcare, Senior Service Designer)
"Shaping Conversations and Establishing Common Ground"
두번째 발표는 전체 컨퍼런스에서 제가 가장 재미있게 들은 발표 중 하나였습니다. Philips 헬스케어 사업부의 Senior Service Designer인 Kyle Vice가 기업 조직 내 서비스 디자인의 업무의 실제에 대해 매우 구체적인 조언들을 공유해 주었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의 부상 배경 중 하나가 바로 제조업의 서비스화일 텐데요, 고가의 헬스케어 장비를 제조하여 B2B방식으로 유통하는 필립스의 헬스케어 사업부에서 서비스 디자인 업무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생생한 사례를 공유해 주었습니다.
4) Peter Merholz (Groupon, Vice President, Design Group)
"Product Design : Service Design : Product Management :: ???"
이러한 기업 내 (서비스) 디자인 팀의 역할 변화 내진 확장은 Groupon의 Design 그룹 임원인 Peter Merholz의 여섯번째 발표에서도 반복되어 강조되었습니다. 서비스 디자인의 부상 배경을 이야기 할 때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개념 중 하나는 Pine과 Gilmore의 경험 경제 (Experience Economy) 입니다. 하지만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경험 경제에 더하여 연결된 시대 (Connected age)가 많이 언급되는 것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5) Melanie Huggins (Richland Library, Executive Director)
"It's Experience that Matters"
이어진 일곱번째 발표는 Richland Library의 경험혁신 사례였습니다. Richland Library는 미국 South Carolina주의 컬럼비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도서관장인 Melanie Huggins가 직접 열정적인 발표를 진행해 주었습니다.
Melanie 관장님이 가장 마지막에 언급한 것이 모바일 App과 웹사이트 개편이었는데요,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오해 중 하나는 서비스 디자인을 이렇게 스크린에서 돌아가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것에 대한 논의로 받아들이기 쉽다는 것입니다. 리치랜드 도서관 경험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디지털 접점은 앞서 Groupon의 Peter가 말한 것처럼 다른 접점들과의 조화를 이루는 일부 개체로서 작동하고 있었으며, Melanie 역시 "도서관 경험은 스크린보다는 현장에 존재한다" 는 점을 십분 강조하였습니다.
------------------
이상 이번 포스팅에서는 컨퍼런스의 구성, Philips Healthcare, Groupon, Richland Library 발표를 소개하여 드렸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Mayo Clinic, Gravity Tank, Airbnb, GE 등의 발표를 소개하여 드리겠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이다보니 발표 별로 간략하게 적어 아쉬운 점이 많은데요, 더 궁금하신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더 자세히 설명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서비스 디자인##]
[참고##해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