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Tools(5)
-
내 대중교통 이용 패턴으로 본 카카오지하철 앱 살펴보기
보통 출근이나 약속을 위해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 '카카오지하철'과 '카카오맵' 앱을 주로 이용한다. 다른 앱도 많이 사용해봤는데 해당 앱들이 제일 나아서 선택하게 되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중에는 '지하철파'와 '버스파'가 있다. 그중 나는 '지하철파'이다. 보통 카카오 맵 보다는 카카오지하철 앱을 사용한다. 또한 나는 길치라서 길 찾기를 할 때 앱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내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패턴은 주로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1. 매번 가는 장소를 대중교통으로 찾아가는 경우 (ex. 출퇴근) 2. 잘 모르는 장소를 대중교통으로 찾아가는 경우 (ex. 지인과의 약속) 보통 매번 가는 장소를 대중교통으로 찾아가는 경우에는 특별히 카카오지하철 앱을 많이 의존하지 않는데, 잘 모르는 장..
-
An Exciting Time To be a Wizard
이 글은 최근 서비스 디자인 네트워크(Service Design Network) 매거진 Touchpoint의 'Experience Prototyping'호 (vol.11 no.2)에 기고된 An Exciting Time to be a Wizard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Introduction 우리는 오늘날 이전에 없었던 기술의 발전 속도와 범위로 인해 미래를 더욱더 예측하기 힘든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5G,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인터랙션,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들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기존의 없던 새로운 경험들은 높은 불확실성을 지니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사용자 참여 워크숍, 테스트 등의 방법론들을 통해 사용자와 ..
-
[pxd talks 88] UI-GUI 협업 프로세스 개선
어느덧 pxd에도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19년의 첫 pxd talk에서는 우종희 주임이 UI 팀과 GUI 팀의 효율적인 협업 프로세스에 대해 강연을 해주었습니다. UI와 GUI의 업무는 물과 기름처럼 명확하게 구분 지을 수 있는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밀접한 협업이 필요한데요. 이 과정에서 생기는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들을 수 있었습니다. 들어가며We're not designing pages, we're designing systems of components.- Stephen Hay네덜란드의 디자이너이자 'Responsive Design Workflow'의 저자 Stephen Hay는 위와 같이 말하였습니다. 효과적인 협업에는 시스템적으로 접근하는 마인드 셋이..
-
구글은 왜 인도만을 위한 앱을 만들까?
구글은 전 세계를 위한 앱을 만든다. 한 나라에서만 적용되는 앱을 만드는 경우는 드물다. 구글이 한국만을 위한 앱을 만들었다는 얘기도 들어본 적이 없지만, 미국만을 위한 앱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런 구글이 인도만을 위한 앱을 만들고 있다. 왜 그럴까?이유를 생각하기 전에 우선 구글이 인도 만을 위해 어떤 앱들을 내놓고 있는지 정리해 본다. 안드로이드 Go 에디션 최근 구글은 안드로이드 Go 에디션을 발표했다. (2017.12) 물론 Go 에디션은 인도 만을 위한 것은 아니지만 상당 부분 인도 사용자들로부터 영감을 얻었다.Introducing Android Oreo (Go edition) with the release of Android 8.1안드로이드 8.1 오레오 버전의 Go 에디션은 저가형 스..
-
HCI KOREA 2018 참관 후기 (3/3)
HCI KOREA 2018 "Trans-Humanity, 경계의 확장” 참관 후기의 마지막 제3편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HCI KOREA 2018 참관 후기 1편 HCI KOREA 2018 참관 후기 2편 HCI KOREA 2018 참관 후기 3편 CRACKER9 솔루션 개발을 위한 ZEPLIN, INVISION을 활용한 모바일 앱 개발 사례 - 최우식 외 1명(HNINE) 작성자: 이준 들어가며 저는 매우 많은 시간을 업무 효율에 투자하는 사람입니다. 보통은 프로젝트 시작 전에 컨셉에 맞는 효율적인 앱 구조를 구상하고, 그에 적합한 Framework을 선별한 뒤에 Task Runner나 Bundler를 세팅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즐깁니다. 한 역할 내의 효율성은 경험이나 노력, 그리고 여러 가지 시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