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ing for the Digital Age : Chapter7. 까다로운 인터뷰 처리하기
2010. 8. 23. 21:56ㆍ스터디
관찰과 가이드
1. 인간공학적인 관점
2. 환경 내에 담겨진 컨텐츠들
3. 비정상적으로 극한 상황
4. unmet needs 나 디자인 실패를 의미하는 표시들
5. 사진 촬영하기
인터뷰 마무리 짓기
까다로운 인터뷰 처리하기
1. 언어, 문화적 차이 고려
2. 아이들, 십대 아이들 고려
3. 원거리 인터뷰 고려
4. 사용 환경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
5. 이동하거나 끼어들기 어려운 활동들
6. 민감한 data에 접근하기
7. 그룹 인터뷰
8. 가정에서의 인터뷰
9. 인터뷰 대상자와 라포 형성이 어려운 경우
10. 마음이 상한 인터뷰 대상자
11. 나쁜 인터뷰들
인터뷰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1. 인터뷰 사이에...
2. 분별력 유지하기
3. 팀 역할과 책임감
4. 팀 외부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뷰 중 까다로운 상황들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공유]
가정에서의 인터뷰 사례
저는 가정 인터뷰에서 어려웠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다이어리 조사에서는 다정다감한 느낌이었는데, 막상 인터뷰를 해 보니 경직된 분위기라 어려웠던것 같습니다.
사람에 따라서 인터뷰가 어렵고, 쉬운 사람이 있습니다. 초면에 정보를 교환할때 협조적인 성격의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협조적인 성격의 사람의 이야기만 들으면 정보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가 볼때 편치 않은 사람에게서 정보를 끌어내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20대 초반의 인터뷰 사례
'아이템 거래'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를 했었습니다. 실장님이 20대 초반의 몇 명을 데리고 왔었습니다. 질문 하나 이야기 했을 뿐인데도 계속 이야기를 하더군요. 비 협조적인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옆에 아는 사람이 있으면 좀 더 인터뷰가 좋았던것 같습니다. 세대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한 명보다는 여러명이 있는 것이 더 나은것 같더군요.
초등학생 인터뷰 사례
너무 여러명이서 하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2~3 명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 여러명이서 인터뷰를 하게 되면 목소리가 큰 사람의 의견을 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50대 이상의 나이드신 분의 인터뷰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