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8)
-
왜 tistory에는 IT관련 블로그 밖에 없을까?
네이버에서 블로그 검색을 하면 일상 생활에 관한 키워드는 거의 네이버 블로그가 나오고 IT관련 키워드로 검색해야 겨우 티스토리나 다음블로그를 볼 수 있게 됩니다. 가로수길 맛집 네이버 블로그 검색 결과 (redesign) - 왼쪽에 파비콘을 보면 네이버 블로그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regex 네이버 블로그 검색 결과 (redesign) - 이제 티스토리가 좀 더 많이 보입니다. 우선 네이버 블로그가 검색 결과에 많이 나오는 건 정말로 네이버 블로그 사용자가 많아서 입니다. 첫째 이유는 정말로 IT 성향의 사용자가 티스토리를 많이 쓰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 가입이 우선 귀찮으니까요. 티스토리가 포탈에서 제공하는 블로그가 아니라 가입형 블로그니까 분명히 좀 더 적극적인 성향의 사용자가 많을 것 같습니다..
-
[정보디자인] 하이브리드 이미지검색 데모
정보디자인 - 하이브리드 이미지검색 에서 소개한 이미지 검색 UI 의 데모 페이지를 열어두었습니다. 특징은 1. 썸네일 방식과 미리보기(큰 이미지)를 결합한 UI를 사용합니다. 특정 이미지를 찾아내려는 것 보다는 빠르게 검토해 보려는 사용 패턴에는 썸네일과 원본 이미지를 왔다갔다하는 번거러운 pogosticking 이 빈번합니다. 썸네일과 함께 적당히 큰 원본 이미지를 한꺼번에 보여줘서 빠르게 훑어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행태의 이미지 검색을 더 많이 하고 있습니다. 2. 그리드 방식이 아닌 타일 방식의 이미지 정렬을 사용합니다. 이미지간의 여백을 줄여 시선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도록 하였습니다. 3. auto paging을 사용합니다. 다음 페이지 버튼을 누르지 않고..
-
[정보디자인] 검색엔진 URL 정보 표시
저는 twtkr(http://twtkr.olleh.co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일히 클릭해서 사진 보는게 귀찮아서요. 오늘 twitter(http://twitter.com/) 를 오랫만에 보니 웹에서는 트윗에 포함된 url을 단순화 하여 보여주고 있더라구요. 아이폰에서 사용하는 서드파트 클라이언트인 tweetbot에서는 이전 부터 지원하고 있는 익숙한 기능이지만 메이저 웹서비스에서도 적용하고 있다는게 반가웠습니다. URL information priority http://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1220286/Sir-Tim-Berners-Lee-admits-forward-slashes-web-address-mistake.html 라는 url을 나눠보면 ..
-
[정보디자인] 하이브리드 이미지검색
얼마 전에 네이버 이미지 검색 결과 디자인이 개편되었습니다. 네이버 이미지검색 개편 http://naver_diary.blog.me/150113580452 기존 방식에 비해 세가지 뷰가 추가 되었습니다. 텍스트 설명을 없애고 이미지에 집중하도록 한 "썸네일만 보기" 와 타일형태로 여백을 없앤 "크게보기" , 새창으로 이동하지 않고 별도의 프레임에서 더 크게 보는 "미리보기"가 새롭게 추가 되었습니다. 네이버 썸네일만 보기 정보요소의 중요도와 대비 처음 슬쩍 봤을 때 기본 화면인 "썸네일만 보기"는 텍스트 부가정보를 없애고 마우스 오버하였을때 썸네일이 확대되면서 부가 정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구글 이미지 검색 개편의 영향(이라고 쓰고...)을 받은 것 같았습니다. 검색을 하는 의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
-
[검색 리디자인] 통합 검색 덜어내기
검색엔진 뭐 사용하세요? 네이버,다음,구글? 네이버가 좋아요? 구글이 좋아요? 이런 질문은 아빠가 좋아? 엄마가 좋아? 같은 질문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둘은 지향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완적인 관계에 있지 무엇이 더 좋고 나쁘다고 하기 어렵거든요. 그런데 다시 뒤집어 생각하면 둘 다 부족하다는 의미입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http://story.pxd.co.kr/327 일로써 인터넷 자료 조사를 많이 하기도 하고 약간의 검색 중독 때문에 검색엔진 사용이 극단적으로 많은 편에 속하는데요. 검색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그만큼 네이버,구글의 검색 결과에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이 많이 걸려서 결국 개인적으로 매쉬업을 이용해검색서비스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
-
[검색 리디자인] 통합검색, 광고주를 위한 검색?
얼마전(이미 지난해) 개편한 다음은 통합웹이란 이름으로 출처별 구분을 하나로 묶어 보여주기 시작했습니다. 다음보다 앞서 네이버 모바일은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출처별로 결과를 나열하는게 비효율적이라고 퓨전웹이란 이름으로 검색결과를 묶어서 보여주었고요. 반면 구글 코리아는 검색결과 UI를 현지화 하여 본사와는 다르게 유형별 검색결과를 모아서 보여주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구글코리아는 네이버와 다음처럼 유형별로 나눠 보여주려고하고 반대로 네이버와 다음은 구글처럼 한번에 보여주는 재밌는 상황입니다. 과연 어떻게 검색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좋을까요? 통합검색 네이버에서 세계최초로 선보였다고 하는 통합검색 은 정보의 유형이나 출처등에 따라 나누어진 컬렉션별 검색(vertical search) 결과를 한페이지에 모..
-
민첩한 리서치를 위한 인터넷 검색 팁
작년에 사내 공유했던 자료를 조금 수정하였습니다. 의외로 온라인 리서치를 할때 어디서 부터 시작할지 어려워하는 분이 있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민첩한 리서치를 위한 인터넷 검색 팁 from sangtaek hahn [참고##검색##]
-
[정보디자인] 모바일검색 suggestion UI
아이폰의 사파리에서는 웹 필드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필드가 강제로 가운데로 이동합니다.(iOS3 이하에서. 폼 입력시 전후 맥락을 함께 살펴보려는 의도였던 것 같습니다) 검색엔진에서 suggestion을 입력창 아래 목록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하면 이런 이유로 2,3개정도 밖에 보여주지 못합니다. Device-Specific Design 아이폰이 이상한걸 우리가 뭘 어쩌라는거야 식의 다른 검색포탈에 비해 야후는 사용자를 배려하여 디바이스의 제약에서도 최선의 결과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보입니다. 아이폰의 이런 입력폼 특성을 반영하여 검색제안어를 입력창의 위아래에 2컬럼으로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인 방식보다 훨씬 많은 제안어를 보여주긴 하지만 눈이 스캔하는 영역이 4군데로 나뉘어서 좀 어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