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기술(7)
-
Hatbit Lab - HCD를 통해 탄생한 적정기술
IDEO 인간중심디자인 툴킷(HCD Tookit) 한글버전 다운로드 일반적으로 아프리카에서 프로젝트를 하는 단체들은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수 문제, 위생 문제, 주거 문제 등을 해결한다는 목표를 갖고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Hatbit Lab'에서는 일반적인 단체들과는 달리 색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바로 아프리카에서의 엔터테인먼트를 다루고 있는데요. 이 프로젝트 아이디어는 바로 이 아프리카 주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생존에 필수적인 식수, 위생, 주거 문제들은 물론 중요하지만, 아프리카 사람들이 간절히 필요로 했던 다른 하나는 바로 '재미'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사례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와 동시에 그동안 너무 많은 단체들이 엔터테인..
-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Part 3
이번에 소개할 책은 적정기술에 관한 국내 전문가들이 함께 펴낸 책,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입니다. 일반적으로 피엑스디에서 책을 읽고 소개했던 것과 달리, 책의 저자분들께 각자 저술한 부분에 대한 직접 소개를 부탁드렸습니다. 그 세 번째로, 김정태 대표님의 글입니다. Part 1.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Part 2.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Part 3.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김정태 "실패하지 않을 적정기술을 위해"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적정기술은 기술의 수준에서의 적정이 아닌, 사용자가 누구든 해당 사용자의 역량에 맞춤된 기술이란 점에서 '하이터치'를 구사하는 인간 중심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기술이 아닌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적정기술은 그 어..
-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Part 2
이번에 소개할 책은 적정기술에 관한 국내 전문가들이 함께 펴낸 책,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입니다. 일반적으로 피엑스디에서 책을 읽고 소개했던 것과 달리, 책의 저자분들께 각자 저술한 부분에 대한 직접 소개를 부탁드렸습니다. 그 두 번째로, 정인애 대표님의 글입니다. Part 1.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Part 2.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Part 3.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김정태 Part 2. 적정기술과의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적정기술과 디자인에 관한 질문들 최근 지속가능한 미래, 따뜻한 자본주의,마켓3.0시장의 시대의 물결을 따라 적정기술 관심이 뜨겁다. 특히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적정기술에 디자인을 적용하려는 움직임도 ..
-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 Part 1
이번에 소개할 책은 적정기술에 관한 국내 전문가들이 함께 펴낸 책,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기술과의 만남'입니다. 일반적으로 피엑스디에서 책을 읽고 소개했던 것과 달리, 책의 저자분들께 각자 저술한 부분에 대한 직접 소개를 부탁드렸습니다. 그 첫 번째로, 홍성욱 교수님의 글입니다. Part 1.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Part 2. 적정기술과 디자인의 만남 | 정인애 Part 3. 적정기술과 비즈니스의 만남 | 김정태 Part 1. 적정기술과의 만남 | 홍성욱 대입 수학능력 시험에 적정기술 관련 문제가 출제되고, 과학창의재단에서 주최하는 청소년 과학 탐구대회 주제로 "개도국과 최빈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이 제시되는 등 최근에 적정기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서 지난..
-
[2012 pxd talks 14]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
2012년 2월에 pxd talks의 첫 시리즈를 시작한 뒤로 어느덧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 블로깅을 하게되었습니다.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는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라는 주제로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적정기술 미래포럼 대표이신 홍성욱님을 모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학자의 입장에서의 적정기술을 말씀하시는 점이 인상 깊었는데요, 내용 일부를 블로깅을 통해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적정기술 미래포럼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겠습니다. 현재 적정기술 미래포럼에서는, 정기포럼을 주최하고, 적정기술 아카데미 운영도 하고 있습니다. 또 문서 사역도 중요하게 생각해서 현재 '적정 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 기술과의 만남'을 출간하였고 적정기술 논문집 발간..
-
[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지난 번 적정기술에 대한 포스팅에 생각보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반응으로 놀랐었는데요, 사내에서도 적정 기술 뿐만아니라 디자인으로써 사회 공헌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pxd talks에서는 이런 배경으로 모시게 된 김정태님의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은 단계의 흐름을 가지고 진행되었습니다. 1. 나와 디자인 2. "디자인은 혁신이다" 디자인과 국제 이슈 3.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은 무엇을 위한 것? 4.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은 무엇을 위한 것? 5.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과 앙터프러너십(entrepreneursh..
-
[독후감] 적정기술 그리고 하루 1달러 생활에서 벗어나는 법
원제: Out of poverty: what works when traditional approaches fall 저자: Paul Polak 번역: 박슬기 이 책은 매우 논리적인 이야기로 가득차 있으나, 그 관점의 탁월함에 흥분하고, 인류애의 발현에 감동받아 눈가가 젖은 채로 계속 읽게 된다. 이 책은 폴락이 개발도상국의 소농 3,000명 이상과 나눈 길고 긴 대화를 바탕으로 한다. 생존을 위해 일하는 재능 있고 고집 센 이들 기업가로부터 폴락이 얻은 지식은 그가 설립한 IDE의 운영 원칙이 되었고, 이를 통해 하루 1달러로 살아가는 1,700만 명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었다. p337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 특히 디자인 교육을 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읽어보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시켜야할 책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