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372) N
    • UI 가벼운 이야기 (592)
    • GUI 가벼운 이야기 (152)
    • UX Engineer 이야기 (36) N
    • Blockchain UX 이야기 (12)
    • Re-design! (35)
    • 리뷰 (162)
    • pxd talks (107)
    • 스터디 (30)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7)
    • pxd 프로젝트 리뷰 (16)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UX Lean UX 미디어 리뷰 UI 진로교육 Persona 퍼소나 조사 방법 해외교육 디자인 사고 국내교육 pxd Talks 프로젝트 방법 pxd 전시와 작가 서비스 디자인 심리학 산책 도서 컨퍼런스/세미나

최근글

  • 베푸는 방법과 비판을 받아들이는 방법
  • [WEMIX PLAY] 마침내 열린 가능성의 장, Ma⋯
  • 블록체인 세상에서 익스플로러가 하는 일
  • ChatGPT로 빠르게 글로벌 UX 리서치 진행하기

댓글

  • 미술 수행으로 자료조사 중인 중학생 나 말고 더 잇나? 정보 유용하네요~⋯
  • 그런데, 깁슨의 '경험의 이중성' 측면에서 화면의 요소들을.. 예를 들어⋯
  •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언어학 전공인 제게 언어의 주인은 사용자들이고 그 ⋯
  • 공감하고 가요.

공지사항

  • pxd 블로그 10주년 기념 설문 이벤트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 [채용] 2018 pxd 채용 안내

아카이브

  • 2023/03
  • 2023/02
  • 2023/01
  • 2022/12
  • 2022/11

pxd(70)

  • 'Context'를 이해하는 알람

    비회원 ― 2010.05.23
  • Designing for the Digital Age : Chapter3. Project planning

    위승용 uxdragon ― 2010.05.22
  • 미투데이를 통해 배우는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패턴

    위승용 uxdragon ― 2010.05.19
  • 단순함의 법칙 (The laws of simplicity)

    위승용 uxdragon ― 2010.05.17
  • 'Nielsen Norman Group'에서 보는 iPad Usability

    비회원 ― 2010.05.16
  • 어린이날 포털사이트들의 로고를 클릭하면 어떤 정보가 보여지나?

    위승용 uxdragon ― 2010.05.06
  • 유투브 동영상 플레이어의 하단 bar 디자인 변경

    위승용 uxdragon ― 2010.05.03
  • IDEO Method Cards (1) : Ask > Camera Journal

    전성진 ― 2010.05.02
  • 수집의 요소를 적용한 온/오프라인 콘텐츠 사례

    위승용 uxdragon ― 2010.04.27
  • 메일 사이트의 대용량 파일첨부 사례

    위승용 uxdragon ― 2010.04.05
'Context'를 이해하는 알람

현재의 스마트폰은 시간과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실제로 사용자의 Usage Context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이 2가지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기상 알람의 문제점 기상 알람은 항상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를 깨워주는데 이 항시성이 문제를 발생시킬 때가 있습니다. 가령 사용자의 유동적인 아침 일정으로 인하여 대중교통 이용시 알람이 작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자의 매우 불쾌하고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 문제도 결국 사용자의 Usage Context를 '시간'으로만 읽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사용자의 집의 '위치'로 제한하기에는 취침장소가 유동적으로 변할 때 알람이 작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겠..

비회원 2010. 5. 23. 14:08
Designing for the Digital Age : Chapter3. Project planning

Chapter3. Project planning 1. The ideal project starting point 2. determining your project’s parameters 3. developing the project plan 참석자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Research plan 얼마나 많은 사람을 인터뷰 할 것인가? 장소의 이동량이 얼마나 되는가? 이 책에서는 15명의 스테이크 홀더를 인터뷰하고, 40명의 사용자 인터뷰를 수행하였음. 보통 프로젝트에서는 research plan을 할때 얼마만큼의 시간을 할애하나요? 인터뷰 기간은 일주일정도면 타이트하며, 상황에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대략 2주일정도...? 인터뷰에 참여한 ..

위승용 uxdragon 2010. 5. 22. 16:59
미투데이를 통해 배우는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패턴

그림0.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책표지 최근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이라는 책을 접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웹에서 독특하고 풍부한 경험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이드, 패턴, 원칙들을 담고 있습니다. A. 디자인 패턴이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는 '패턴'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한 문제와 그에 대한 핵심적인 해결책을 설명하는... 그리고 몇 년후 '디자인 패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범위까지 그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웹 인터랙션 디자인 패턴을 다루고 있습니다. B. 여섯 개의 디자인 원칙 이 책에서는 이 패턴들을 여섯개의 디자인 원칙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원칙들의 자세한 설명은 '리치 인터페이스 디자인' 책을 참고하세요. ..

위승용 uxdragon 2010. 5. 19. 17:43
단순함의 법칙 (The laws of simplicity)

그림1. 단순함의 법칙 표지 MIT의 존마에다 교수님이 쓰신 '단순함의 법칙'(The laws of simplicity)을 읽었습니다. 이 책을 읽을때만 하더라도 간결한 내용과 짧은 분량이라 쉽게 읽혔지만, 막상 정리를 해보려니 쉽게 되지 않네요. 이 책은 단순함의 10가지 법칙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8가지 법칙 (축소, 조직, 시간, 학습, 차이, 문맥, 감성, 신뢰)에 대해서 다루고 있으며, 단순하게 만들 수 없는 것들을 '실패'의 법칙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음 8가지 법칙을 축약하여 3가지 비법으로 압축하여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림2. 단순함의 10가지 법칙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10가지 법칙과 3가지 비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0가지 법칙 1. 축소 : 신중하게 ..

위승용 uxdragon 2010. 5. 17. 02:10
'Nielsen Norman Group'에서 보는 iPad Usability

iPad Usability: First Findings From User Testing -'Nielsen Norman Group' http://www.useit.com/alertbox/ipad.html 사내 메일에서 위의 자료가 공유되어서 문서를 간단히 훑어 보고 생각나는 것을 몇 자 적어봅니다. 자료에서는 인터랙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보면 아이패드 UI는 단순히 크기만 커진 아이폰 UI는 아니라고 합니다. 이러한 근거 중의 하나로 아이패드는 화면의 크기가 크기때문에 아이폰에 비해 하단의 탭바 영역의 인지가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큰 차이점은 일반 웹페이지에서 발생한다고 애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패드에서 일반 웹페이지는 읽기는 충분하지만 탭하기에는 여전히 손가락은 두껍다..

비회원 2010. 5. 16. 19:42
어린이날 포털사이트들의 로고를 클릭하면 어떤 정보가 보여지나?

어린이날을 기점으로 포털사이트들이 약속이나 한듯이 자사의 로고를 어린이날 로고로 변경하였습니다. 이렇게 포털 사이트의 로고를 바꾸는 것을 구글에서는 두들(doodle, 낙서의 의미)이라고 하며, 대개 24시간 동안 유지한다고 합니다. 구글은 1998년 여름에 처음으로 자사의 로고를 변형하는 디자인을 했다고 합니다. 어린이날을 맞아 포털 사이트들이 어떻게 바꾸었는지, 그리고 어린이날 검색 결과를 어떻게 배치했는지 비교해 보았습니다. 그림1. 구글 어린이날 로고 구글 어린이날 로고는 양치하는 어린이의 일상을 로고로 표현하였습니다. 그림2. 네이버 어린이날 로고 네이버 어린이날 로고는 장난감을 이용하여 로고로 표현하였네요. 그림3. 다음 어린이날 로고 다음 어린이날 로고는 아이들과 풍선을 이용해서 표현하였습니..

위승용 uxdragon 2010. 5. 6. 00:28
유투브 동영상 플레이어의 하단 bar 디자인 변경

UCC 사이트인 유투브 동영상 플레이어의 하단 bar 디자인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의 플레이어의 하단 bar는 튀어나온 형태로 동영상과 하나라는 느낌이 강했는데, 새로운 동영상 플레이어는 기존의 bar 형태와는 조금 다르게 디자인되었습니다. 그림1. 기존의 유투브 플레이어 그림2. 새로운 유튜브 플레이어 (하단 bar 비활성화) 기존 플레이어와 변경된 플레이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구분한다는 점입니다. 동영상 시청중에는 하단 bar가 흐리게 보여지고, 재생 위치와 로딩상태를 보여주는 인디케이터가 최소화됩니다. 그림3. 새로운 유투브 플레이어 (하단 bar 활성화) 재생중에 유저가 플레이어에 커서를 가져가면 하단 bar가 활성화 상태로 변하며, 재생위치 인디케이터의 크기가 커지..

위승용 uxdragon 2010. 5. 3. 00:31
IDEO Method Cards (1) : Ask > Camera Journal

IDEO Method Cards는 2003년도에 IDEO에서 출판된 IDEO의 방법론들을 간략하게 정리한 카드형태의 제품입니다. 최근 iPhone App으로 나온 것을 구매했으며 이를 공유할까 합니다. 제품 소개에도 나와있지만 Method Cards는 'How to' guide가 아닌 새로운 접근법을 탐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디자인 툴'이라고 하는군요. 뭔가 막혀있을 때 예쁜 혹은 인사이트를 주는 사진과 함께 간략한 방법이 적힌 카드를 하나씩 보다보면 다른 각도에서의 응용 아이디어도 떠오르기도 하고...뭐 그런 용도인 것 같습니다 (꿈보다 해몽이 좋은가요?) METHOD CARDS FOR IDEO 51-card deck to inspire design IDEO METHOD CARDS APP 51 way..

전성진 2010. 5. 2. 22:51
수집의 요소를 적용한 온/오프라인 콘텐츠 사례

그림1. 따조 어렸을때 저는 수집을 좋아해서 '따조' 라는 것을 모았었습니다. 따조는 오리온 치토스 등 일부 자사의 과자를 살 경우 한 봉지에 하나씩 들어있었던 아이템입니다. 어렸을적 따조라는 것을 모으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기억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따조는 여러종류가 있었는데요, 일반적으로 각각의 따조에 루니튠즈의 캐릭터들을 보여주고 후면에는 해당 번호를 보여주는 형식을 띄고 있었습니다. 또한 각각의 객체를 연결하여 작품을 만들 수도 있는 따조도 있었고, 어떤 것은 각도에 따라 두개의 그림을 보여주는 따조도 있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철없는 한때의 경험이었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캐릭터를 모으는 수집의 즐거움. 1번부터 100번까지의 번호를 채우고싶은 욕구.(따조중에는 1번부터 20번까지 있는 것..

위승용 uxdragon 2010. 4. 27. 01:12
메일 사이트의 대용량 파일첨부 사례

이메일을 사용하다보면 대용량파일로 메일을 보낼 때가 종종 있습니다. 대용량파일은 저장 기간이 정해져있고 다운로드 횟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문제는 사이트들이 대용량첨부 파일의 다운로드 횟수와 기간을 제한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 회사에서 대용량파일로 메일이 왔었는데, 첨부된파일을 클릭해도 반응이 없었습니다. 이에 저는 계속 클릭을 했더니 다운로드 횟수 제한에 걸리더군요. 결국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당황했던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에 메일 사이트의 대용량파일 첨부정책과 사내 메일의 대용량파일 첨부 방식을 조사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사 대상은 네이버 메일, 다음 메일, 구글 G메일, 네이트 메일, 파란 메일 이렇게 총 5개의 사이트의 메일과 추가적으로 사내 메일을 살펴보았습니다...

위승용 uxdragon 2010. 4. 5. 10:54
1 ··· 3 4 5 6
pxd story pxd homepage pxd 오시는 길 XE Group Lean UX Lab UXalliance
© 2021 pxd.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