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2023. 12. 7. 07:50Blockchain UX 이야기
임현경 (Hyun Kyung Lim)

“OOO, 메인넷 출범!” 경제 관련 소식에서 꼭 이런 제목을 볼 수 있죠. 누군가 ‘메인넷(Mainnet)’이란 걸 세상에 내놨다는 사실은 알 수 있지만, 그게 가까운 일상부터 먼 미래까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닿지 않아요. 메인넷은 대체 무엇일까요? 왜 여러 기업이 너도나도 비장하게 메인넷을 만드는 걸까요?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던 여행자를 위해 메인넷 안내서를 준비했어요.

 

 

네트워크는 아는데, 메인넷은 모른다면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준말로,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해요.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라는 건 DeFi 편에서도 잠깐 설명해드렸죠. 이 네트워크에선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가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동시에 수많은 서버 또는 노드에 복제돼요. 블록이 만들어질 때는 각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거치며, 새로 생긴 블록은 이전 블록과 ‘체인’처럼 연결되죠. 이 복잡한 구조 덕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누군가 데이터를 임의로 왜곡하거나 삭제하기가 어렵다고 해요.

우리는 이렇게 높은 안전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토큰을 발행하거나 지갑을 만들어 거래할 수 있어요.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웹3 서비스를 누릴 수도 있죠. 이처럼 인프라를 구축하고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바로 ‘메인넷’이라 불러요. 이름 그대로 주(main)가 돼서 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죠. 달리 말하면, 메인넷에 문제가 생기면 이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모든 것들도 영향을 받게 돼요. 그러므로 메인넷은 탁월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투명성을 갖춰야 하죠.

메인넷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이제 어떤 것을 쓸지 정해야겠죠. Ethereum(이더리움), Solana(솔라나), Polygon(폴리곤)… 메인넷은 데이터 처리 속도, 검증 방식(합의 알고리즘), 재단의 정책, 이미 자리 잡고 있는 프로젝트 등 저마다 다른 특성을 띠고 있어요. 인기가 많아도 속도가 느리거나 비용이 높을 수 있고, 거래량에 따른 수익성이 낮더라도 재단 지원 정책이 든든해서 디앱 제작자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기 좋을 수도 있어요. 원하는 조건에 따라 기존 메인넷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메인넷을 만들 수 있죠. 메인넷이 다양해질수록 이용자가 누릴 수 있는 선택의 폭도 넓어질 거예요.

메인넷 중 하나인 WEMIX 3.0

 

 

메인넷이 불편하다면

잠깐, 아까 메인넷이 독립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라고 설명했죠? 그런데 이 독립성은 때때로 불편함을 안기기도 해요. 서로 다른 메인넷은 호환이 어렵거든요. A에서 즐겼던 디앱을 B에서도 사용하고 싶다거나 B 기반으로 발행된 NFT를 A 기반 지갑에 넣고 싶을 때 난관에 부딪히게 되죠.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해결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새로운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막연히 기다려야만 할 때도 있어요. 갤럭시를 쓰다가 아이폰으로 바꿨더니 유용했던 ‘통화 녹음’ 기능을 못 쓰게 돼버린 경험처럼 말이죠.

하나의 메인넷만 쓰자니 더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고, 여러 메인넷을 쓰자니 번거롭고 불편해요. 이럴 때 필요한 게 ‘솔루션(Solution)’인데요. 솔루션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요. 대표적으로는 블록의 크기를 늘리거나 증명 방식을 바꾸는 등 기존 네트워크의 메커니즘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유형과 기존 네트워크에 다른 보조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유형이 있죠. 솔루션은 기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단점을 보완해가며 성장할 수 있도록 해요. 독립적이되, 고립되지 않게요. 이용자는 전보다 빠르고 저렴하고 편안한 웹3를 경험할 수 있는 거죠.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조를 ‘레이어(Layer, L)’ 단위로 나눠 설명하기도 해요. 주로 기존 메인넷과 이를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솔루션을 ‘레이어1’, 레이어1의 보안성은 그대로 가져가면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해당 네트워크 위에 구축된 또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레이어2’, 특정 디앱의 사용성에 초점을 맞춘 앱체인을 ‘레이어3’로 분류하죠. 레이어를 나누는 기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고 앞으로 새로운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요.

우리에게 익숙한 메인넷은 대부분 레이어1에 속하지만, 그렇다고 메인넷이라는 개념 자체가 레이어1에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레이어2에도 Titan(타이탄), Scroll(스크롤), Kroma(크로마) 등 여러 메인넷이 등장하면서, ‘메인넷 = 레이어1’이라는 명제는 성립하지 않게 됐죠. 레이어나 솔루션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할게요.

메인넷을 출범한 Kroma

 

오늘은 메인넷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어요. 독립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서 생태계의 중심이 되는 메인넷! 앞으로 일상 속에서 ‘메인넷’이라는 이름을 발견한다면, 전보다 친근하게 느껴질 거예요. 쓰고 있는 메인넷 소식에 반가워하거나, 새로 생긴 메인넷이 어떤 즐거움을 제공할지 관심을 갖고 지켜볼 수도 있겠죠. 즐거운 웹3 여행을 기원하며, 우리는 다른 안내서에서 만나요.

 

글. 임현경 — UX Writer

 

이 글은 Blockchain UX / Web 3.0 UX 디자인 관련 전문 채널 pxd Medium에서 영문과 함께 보실 수 있습니다.

 

pxd - The WEMIX Team – Medium

pxd is a UX design group, a part of the WEMIX team, and aims to be the bridge between people and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the world of blockchain and Web3 through UX design.

mediu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