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9)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90)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3)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프로젝트 방법 퍼소나 미디어 전시와 작가 UX 디자인 사고 컨퍼런스/세미나 Lean UX 해외교육 서비스 디자인 리뷰 Persona 진로교육 심리학 산책 조사 방법 pxd UI 도서 국내교육 pxd Talks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9)

  • 블록체인과 엔터테인먼트-음악 산업에 다가올 변화 미리보기

    Yoonyoung Jung ― 2023.07.14
  • 'FED'로 UX하기 : 실전편

    doworld ― 2023.07.07
  • pxd people | “지금 저는 UX를 여행하고 있어요”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07.06
  • [WEMIX BURN] 생태계 중심에서 타오르는 블랙홀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07.03
  • 약관을 자동으로 만들어보자!

    알 수 없는 사용자 ― 2023.06.30
  •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2: 스포츠 NFT의 프로퍼티

    Seungyoon Lee ― 2023.06.29
  •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1: 사용자는 프로퍼티를 어떻게 사용할까?

    Seungyoon Lee ― 2023.06.26
  • [BC.0x02] 안전한 생태계를 위한 감사 서비스

    sanghee.park ― 2023.06.22
  •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는 왜 이렇게 다를까?(2/2)

    윤장희 ― 2023.06.19
  •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는 어떻게 운영될까? (1/2)

    윤장희 ― 2023.06.15
  • Intersection Observer API

    hyejun.lee ― 2023.06.12
  • 블록체인 세상에서 ‘나의 활동’을 증명하는 토큰들

    chwww.kim ― 2023.06.08
블록체인과 엔터테인먼트-음악 산업에 다가올 변화 미리보기

들어가며 최근 뉴스나 산업 분석 리포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산업이 늘고 있다는 소식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데요. 엔터테인먼트 산업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가운데 음악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 동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음악 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배경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음악 산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악 산업은 레이블, 저작권협회, 기획사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제작부터 유통, 팬과의 관계 형성 및 상호 작용에 관여해 계약을 맺습니다. 이해관계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아티스트에게 지급되는 음반 판매 및 음원 재생 로열티 비율이 낮아지는 구조이죠. 이 때문에 극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티스트는 수익 배분, 음원 소유권 등과 관련해 불공정한 ..

Yoonyoung Jung 2023. 7. 14. 09:12
'FED'로 UX하기 : 실전편

FED로 UX하기는 총 2편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ED로 UX하기 FED로 UX하기 : 실전편 (현재글) 들어가며 조직별, 개인별, 프로젝트별 구성원들의 실시간 근무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매니저들이 팀원 근무 피로도 관리에 있어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동안 일반적인 프로젝트의 진행 방식은 기획/디자인이 선행되고 그 후에 프런트엔드 개발을 진행하였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기획/디자인 없이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함께 난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진행 과정 우선적으로 근무량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했습니다. 이미 주간보고를 매일 인트라넷에 ..

doworld 2023. 7. 7. 07:50
pxd people | “지금 저는 UX를 여행하고 있어요”

[pxd people]의 인터뷰이는 pxd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합니다. 협업 중인 동료, 존경하는 선배, 친밀한 후배 등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을 지목하기 쉬울 것이라는 제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죠. '누굴 인터뷰하면 좋겠어요?'라는 질문을 받은 이들은 길게 대화를 나눠본 적은 없지만 낯이 익은, 회사 밖에서는 어떤 일상을 보내는지 궁금한, 그냥 친해지고 싶은 사람을 떠올렸습니다. 누군가에게 ‘더 알고 싶은 사람'이라는 건, 그만의 세계에 한 발 더 다가가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사람이라는 뜻일 겁니다. 두 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처럼 말이죠. 오늘은 UX 플래닝팀의 프로덕트 매니저 구재영 님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Q. 먼저 축하해요! 올해 주임(주니어) 타이틀을 떼고 선임(시니어)이 됐죠. 승진..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7. 6. 07:50
[WEMIX BURN] 생태계 중심에서 타오르는 블랙홀

WEMIX BURN은 WEMIX 토큰 소각 프로그램을 투명하게 전달하는 정보 플랫폼입니다. 이용자는 소각 정책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와 함께, WEMIX 수량과 디플레이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죠. 이처럼 간편하고 효율적인 경험은,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과 수치를 이용자 입장에 맞게 새롭게 디자인하는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이용자와 소통하는 플랫폼’으로서 WEMIX BURN이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함께 알아봅니다. WEMIX BURN은 이용자가 WEMIX 토큰 소각에 대해 궁금해할 만한 정보를 모두 모아 보여줍니다. 소각에 대해 왜 알아야 하냐고요? ‘토큰이 소각됐다’는 것은 해당 토큰을 가진 사람은 물론 생태계에 있는 모두가 관심을 기울일 만한 소식이기 때문이죠. 찾지 않아도 알..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7. 3. 07:50
약관을 자동으로 만들어보자!

들어가며 알고리즘은 개발자들에게 보통 대기업 입사를 위한 코딩테스트, 혹은 AI와 같은 어나더 레벨의 개발에 쓰인다고 인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고리즘은 개발자에게 뗄 수 없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기업이 구인 시 코딩테스트를 보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면 나옵니다. 코딩테스트는 넓게 보면 굉장히 단순한 구조입니다. 문제를 읽는다 → 문제가 요구하는 대로 구현한다. 여기서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선 문제의 요구 사항을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어떤 범위의 입력을 받고 그것을 통해 어떤 결과물을 내야 하는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파악해야 정확성, 효율성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문제의 조건에 맞춰서 어떤 알고리즘을 써야 하는지 생각해야 하기도 합니다. 가장 중요한..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6. 30. 07:50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2: 스포츠 NFT의 프로퍼티

NFT는 아직 출시 전이지만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신 분은 위믹스 챔피언십을 확인해 보세요. 😉 Golf NFT 스포츠 NFT 중에서도 골프 NFT를 만들고 있습니다. 2023년 KLPGA 투어는 총 30회 대회가 진행되고 한 선수가 보통 20회 내외의 대회에 참가합니다. 참가한 대회에서 얻은 포인트를 합산하여 투어가 끝난 후 상위 60인에게 상금으로 NFT를 지급하는 새로운 형태의 NFT입니다. 일반 고객에게는 선수가 받는 상금이 똑같이 담긴 1위 - 60위까지 NFT가 1개씩 더 판매됩니다. 대회가 모두 끝나는 11월에 각 순위에 매칭되는 선수들로 NFT는 다시 한번 업데이트됩니다. 이전 글에서 프로퍼티는 희귀성을 보여주고, NFT에 대한 진심을 보여준다고 했었던 것 기억하시나요? 1위에서 60위까지 ..

Seungyoon Lee 2023. 6. 29. 07:50
NFT 프로퍼티를 설계하며 생각해 본 것 #1: 사용자는 프로퍼티를 어떻게 사용할까?

요즘 스포츠 NFT의 프로퍼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프로퍼티는 NFT를 구성하는 요소라고 막연하게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퍼티에 대해 좀 더 알게 된 점을 공유합니다. (*NFT의 종류는 PFP, 아트, 메타버스, 유틸리티 등이 있지만 본 블로그에서 다루는 프로퍼티는 기능이나 혜택을 제외한 NFT로 한정했습니다.) NFT는 아직 출시 전이지만 어떤 내용인지 궁금하신 분은 위믹스 챔피언십 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 NFT 프로퍼티란? Traits와 유사한 용어로도 쓰이는 NFT 프로퍼티는 NFT의 카테고리, 특성을 설명하는 요소입니다. NFT 프로퍼티는 NFT를 설명하기 위함과 동시에 수많은 NFT와 구별되기 위해 존재합니다. 여러분이 자신을 소개할 때 “저는 UX 디자이너..

Seungyoon Lee 2023. 6. 26. 07:50
[BC.0x02] 안전한 생태계를 위한 감사 서비스

블록체인은 관련 주체들과 사회적이고 기술적인 환경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우리는 모두 블록체인 생태계의 일부지만, 그 전반을 알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블록체인 연대기(the Blockchain Chronicle)]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또 기록합니다. 차곡차곡 쌓아나간 블록체인 생태계의 오늘이 내일을 향한 어제의 기억이 될 수 있도록 말이죠.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는 디지털 계약인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작동합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코드로 작성된 규칙을 충족할 경우 스스로 실행되기 때문에 중앙기관 없이도 계약이 이행될 수 있죠. 탈중앙화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블록체인 서비스는 이러한 컨트랙트에 허점이 생기..

sanghee.park 2023. 6. 22. 07:50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는 왜 이렇게 다를까?(2/2)

들어가며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는 이론적으로 직접 민주주의 형태를 따릅니다. 그래서 블록체인의 이상적인 거버넌스라고 하면 구성원들이 직접 참여해 다양한 안건을 민주적인 절차와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모습이 떠오릅니다. 가결된 안건은 스마트 콘트랙트에 의해 자동으로 적용되고 이 모든 과정은 블록체인상에 투명하게 기록되죠. 그렇다면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직접 민주주의의 이상향에 가까워진 걸까요? 실제 사례를 보면 이상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운영 과정은 직접 민주주의와 유사하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프로젝트별로 안건의 종류에 따라 절차가 상당히 달랐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떤 이유로 거버넌스 의사 결정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 네 가지 ..

윤장희 2023. 6. 19. 07:50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거버넌스는 어떻게 운영될까? (1/2)

들어가며 블록체인 거버넌스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들이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합의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블록체인의 채굴과 보상, 합의 알고리즘, 크립토이코노미, 개발 방향 등에 관한 다양한 안건을 결정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의 발전과 성공에 매우 중요합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크게 블록체인상에서 이뤄지는 온체인 거버넌스와 블록체인 외부에서 이뤄지는 오프체인 거버넌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출처).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거버넌스가 중요한 대표적인 예는 다오(DAO)입니다. 다오란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약자로,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을 의미합니다. 다오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원들이 투표를 통해 의사 결정을 하고,..

윤장희 2023. 6. 15. 07:50
Intersection Observer API

들어가며 실무에서 스크롤을 내리다 특정 시점에 실행되어야 하는 이벤트를 구현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자연스럽게 window scroll 이벤트를 이용해서 작업을 했는데, 더 나은 방법인 Intersection Observer API라는 걸 알게 되면서 적용해 보고 느낀 점을 적어보려 합니다. Intersection Observer API 란? 구글 번역기로 Intersection Observer를 직역해 보면 ‘교차로 관찰자’라고 합니다. ‘교차로 관찰자’, 너무 직역된 것 같죠? 이해하기 쉽게 의역해 보자면 브라우저의 뷰포트와 타깃 엘리먼트의 교차점을 관찰하는 API라고 합니다. 더 쉽게 말해보면 브라우저에 우리가 지정한 요소가 지금 보이는지 구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앞서 이 API가..

hyejun.lee 2023. 6. 12. 07:50
블록체인 세상에서 ‘나의 활동’을 증명하는 토큰들

블록체인 세상에서 ‘나의 활동’을 증명하는 토큰들 Tokens as Proof of What I Do in the Blockchain World 들어가며 블록체인상의 데이터는 누구에게나 공개되고 조작할 수 없다는 특성이 있어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은 소유권, 이용권, 이력 등을 증명하는 증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유의 가치(ID)를 갖는 NFT는 블록체인이 상용화된 이후 증명 용도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죠. NFT의 상세한 활용법은 pxd-WEMIX team의 ‘NFT, 어디로 가고 있을까?’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최근 토큰의 활용 범위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위 아티클의 사례 외에도 오직 증서로만 쓰이는 NFT들이 계속해서 발행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번 글에서는 Proof of Attenda..

chwww.kim 2023. 6. 8. 07:50
1 ··· 9 10 11 12 13 14 15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