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2012. 6. 22. 09:16ㆍpxd talks
1시간 30분 정도의 강의와 30분 정도의 조별 실습으로 이루어진 이날 워크샵은 프로토타이핑을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인생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우선 김창준님은, '프로토타이핑'이란 말을 매우 광범위하게 해석한다고 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무엇을 먼저 만들어 보는 것 뿐만아니라, 살면서 머리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는 것 등 문제를 풀기 위해 해 보는 모든 작은 시도들을 프로토타이핑으로 본다는 것이죠.
또한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고, 문제를 잘 나누고, 동료와 협력을 잘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도자기 수업의 학생들에게, 두 가지 평가 방법 가운데 하나를 고르라고 합니다. 한 방법은 무조건 양으로 점수를 주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몇 개를 내건 간에 무조건 가장 잘한 것의 품질로 점수를 주는 방식입니다. 학생들이 성향에 따라 선택 후, 한 학기가 지났을 때, 당연히 한 쪽은 많은 양을 만들었을테고, 한 쪽은 정성들여 하나 또는 두 개를 만들었겠죠. 가장 높은 품질은 '양'그룹에서 나왔을까요? '질'그룹에서 나왔을까요? 놀랍게 '양'그룹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오히려 더 잘 만드는 방법을 깨달은 것이죠. 반대로 '질' 그룹은 직접 만들어보기보다 자리에 앉아서 어떻게 해야 잘할까 하는 탁상공론만 하다가 시간을 다 보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잘못하는 것을 장려하고, 잘못했을 때 외부로부터 건전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실습시간에는 우선 선물 주기 연습을 통해 즉흥 연기를 익혔습니다. 즉흥 연기에서 중요한 것은 CROW (Character, Relationship, Objective, Where) 라고 합니다.(추가적인 설명은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참고) 이렇게 한 후에, 조를 나누어 '선물주기' 연습을 하였습니다.
연습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4명씩 조를 나누어 "UX 관련 컨퍼런스에서 사람들이 네트워킹을 더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이름표(네임택)를 디자인하라"라는 주제를 가지고 프로토타이핑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에 즉석 채점에서는
1. Iterative
2. Parallel (devide & feedback)
3. Error Management
4. Mental Simulation
5. Improv (즉흥연기)
로 나누어 채점을 하고, 1조가 우승을 하였습니다.
실습을 마치고 마지막 마무리로,
미래를 예측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미래 시제를 사용할 수록 추상적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래를 과거형으로 표현하면 더욱 구체적인 예측(Prospective Hindsight)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는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픽션(혹은 비즈니스 픽션)과 직접적으로 닿아 있었습니다.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프로토타이핑에 적용하는 것도 좋지만, 당장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그리고 내 인생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교훈을 얻었다며 좋아했습니다. 매우 뜻깊은 워크샵이었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
- 2012/12/03[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by
- 2012/11/16[2012 pxd talks 12] 현실과 상상의 경계 :: 이수지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3) by
- 2012/10/18[2012 pxd talks 11] 성공하는 제품디자인을 위한 비밀무기 (Secret weapon for successful product design) by
- 2012/09/27[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by
- 2012/09/03[2012 pxd talks 09] Mindstorming by
- 2012/07/11[2012 pxd talks 08] 효과적으로 전문가 인터뷰하기 by
- 2012/06/23[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by
- 2012/05/14[2012 pxd talks 06]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 by
- 2012/04/02[2012 pxd talks 05] SMI 아이트래커 활용 방법 및 사례 by
- 2012/03/29[2012 pxd talks 04] UI 스터디 워크샵 후기 - 컨텍스추얼 인터뷰 by
- 2012/03/15[2012 pxd talks 03] 부엉이 쪽지 기획/개발/운영 by
- 2012/02/15[2012 pxd talks 02]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 후기 (2) by
- 2012/02/15[2012 pxd talks 01] 정보 시각화(Information Visualization) by
(블로그 작성에 도움을 주신 김창준님, 이재용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