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2012. 6. 22. 09:16ㆍpxd talks
지난 6월 12일, 2012년 세 번째 pxd workshop이 "Extreme Prototyping: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이란 제목으로 애자일 컨설팅 대표 김창준님에 의해 진행되었습니다.
1시간 30분 정도의 강의와 30분 정도의 조별 실습으로 이루어진 이날 워크샵은 프로토타이핑을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인생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우선 김창준님은, '프로토타이핑'이란 말을 매우 광범위하게 해석한다고 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무엇을 먼저 만들어 보는 것 뿐만아니라, 살면서 머리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는 것 등 문제를 풀기 위해 해 보는 모든 작은 시도들을 프로토타이핑으로 본다는 것이죠.
문제를 해결할 때는 너무 추상적인 개괄에서 구체적인 해법으로 빨리 들어간 후, 계속 그 구체적인 수준에서만 유지하는 것도 안 좋고(잘 생각 안 하고 무조건 해보면서 그 방식을 고수하는 방식), 반대로 너무 오랫동안 추상적인 생각만 하다가 마지막으로 해결해 보는 것도 안 좋고(오랫동안 계획을 꼼꼼히 세워서 한 번에 성공하자는 방식), 추상과 구체를 계속 오가는 방식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즉, 조금 생각해 본 후(local planning), 간단히 실행에 옮겨보고(feedback), 문제를 다시 생각하고, 다시 간단히 실행에 옮기는 식이죠. 이것이 애자일한 방법이며, 실제 전문가들일수록 이런 방법을 따른다고 합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고, 문제를 잘 나누고, 동료와 협력을 잘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도자기 수업의 학생들에게, 두 가지 평가 방법 가운데 하나를 고르라고 합니다. 한 방법은 무조건 양으로 점수를 주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몇 개를 내건 간에 무조건 가장 잘한 것의 품질로 점수를 주는 방식입니다. 학생들이 성향에 따라 선택 후, 한 학기가 지났을 때, 당연히 한 쪽은 많은 양을 만들었을테고, 한 쪽은 정성들여 하나 또는 두 개를 만들었겠죠. 가장 높은 품질은 '양'그룹에서 나왔을까요? '질'그룹에서 나왔을까요? 놀랍게 '양'그룹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오히려 더 잘 만드는 방법을 깨달은 것이죠. 반대로 '질' 그룹은 직접 만들어보기보다 자리에 앉아서 어떻게 해야 잘할까 하는 탁상공론만 하다가 시간을 다 보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잘못하는 것을 장려하고, 잘못했을 때 외부로부터 건전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실습시간에는 우선 선물 주기 연습을 통해 즉흥 연기를 익혔습니다. 즉흥 연기에서 중요한 것은 CROW (Character, Relationship, Objective, Where) 라고 합니다.(추가적인 설명은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참고) 이렇게 한 후에, 조를 나누어 '선물주기' 연습을 하였습니다.
연습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4명씩 조를 나누어 "UX 관련 컨퍼런스에서 사람들이 네트워킹을 더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이름표(네임택)를 디자인하라"라는 주제를 가지고 프로토타이핑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에 즉석 채점에서는
1. Iterative
2. Parallel (devide & feedback)
3. Error Management
4. Mental Simulation
5. Improv (즉흥연기)
로 나누어 채점을 하고, 1조가 우승을 하였습니다.
실습을 마치고 마지막 마무리로,
미래를 예측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미래 시제를 사용할 수록 추상적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래를 과거형으로 표현하면 더욱 구체적인 예측(Prospective Hindsight)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는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픽션(혹은 비즈니스 픽션)과 직접적으로 닿아 있었습니다.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프로토타이핑에 적용하는 것도 좋지만, 당장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그리고 내 인생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교훈을 얻었다며 좋아했습니다. 매우 뜻깊은 워크샵이었습니다.
(블로그 작성에 도움을 주신 김창준님, 이재용님 감사합니다.)
1시간 30분 정도의 강의와 30분 정도의 조별 실습으로 이루어진 이날 워크샵은 프로토타이핑을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인생에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우선 김창준님은, '프로토타이핑'이란 말을 매우 광범위하게 해석한다고 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무엇을 먼저 만들어 보는 것 뿐만아니라, 살면서 머리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보는 것 등 문제를 풀기 위해 해 보는 모든 작은 시도들을 프로토타이핑으로 본다는 것이죠.
문제를 해결할 때는 너무 추상적인 개괄에서 구체적인 해법으로 빨리 들어간 후, 계속 그 구체적인 수준에서만 유지하는 것도 안 좋고(잘 생각 안 하고 무조건 해보면서 그 방식을 고수하는 방식), 반대로 너무 오랫동안 추상적인 생각만 하다가 마지막으로 해결해 보는 것도 안 좋고(오랫동안 계획을 꼼꼼히 세워서 한 번에 성공하자는 방식), 추상과 구체를 계속 오가는 방식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즉, 조금 생각해 본 후(local planning), 간단히 실행에 옮겨보고(feedback), 문제를 다시 생각하고, 다시 간단히 실행에 옮기는 식이죠. 이것이 애자일한 방법이며, 실제 전문가들일수록 이런 방법을 따른다고 합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고, 문제를 잘 나누고, 동료와 협력을 잘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 도자기 수업의 학생들에게, 두 가지 평가 방법 가운데 하나를 고르라고 합니다. 한 방법은 무조건 양으로 점수를 주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몇 개를 내건 간에 무조건 가장 잘한 것의 품질로 점수를 주는 방식입니다. 학생들이 성향에 따라 선택 후, 한 학기가 지났을 때, 당연히 한 쪽은 많은 양을 만들었을테고, 한 쪽은 정성들여 하나 또는 두 개를 만들었겠죠. 가장 높은 품질은 '양'그룹에서 나왔을까요? '질'그룹에서 나왔을까요? 놀랍게 '양'그룹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오히려 더 잘 만드는 방법을 깨달은 것이죠. 반대로 '질' 그룹은 직접 만들어보기보다 자리에 앉아서 어떻게 해야 잘할까 하는 탁상공론만 하다가 시간을 다 보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잘못하는 것을 장려하고, 잘못했을 때 외부로부터 건전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실습시간에는 우선 선물 주기 연습을 통해 즉흥 연기를 익혔습니다. 즉흥 연기에서 중요한 것은 CROW (Character, Relationship, Objective, Where) 라고 합니다.(추가적인 설명은 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참고) 이렇게 한 후에, 조를 나누어 '선물주기' 연습을 하였습니다.
연습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4명씩 조를 나누어 "UX 관련 컨퍼런스에서 사람들이 네트워킹을 더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이름표(네임택)를 디자인하라"라는 주제를 가지고 프로토타이핑을 시작하였습니다.
이후에 즉석 채점에서는
1. Iterative
2. Parallel (devide & feedback)
3. Error Management
4. Mental Simulation
5. Improv (즉흥연기)
로 나누어 채점을 하고, 1조가 우승을 하였습니다.
실습을 마치고 마지막 마무리로,
미래를 예측하려고 할 때, 사람들은 미래 시제를 사용할 수록 추상적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래를 과거형으로 표현하면 더욱 구체적인 예측(Prospective Hindsight)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는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픽션(혹은 비즈니스 픽션)과 직접적으로 닿아 있었습니다.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프로토타이핑에 적용하는 것도 좋지만, 당장 내가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그리고 내 인생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교훈을 얻었다며 좋아했습니다. 매우 뜻깊은 워크샵이었습니다.
[참고 - 2012 pxd talks - Talk, Workshop & Coaching]
- 2012/12/03[2012 pxd talks 13] Service eXperience Design by
- 2012/11/16[2012 pxd talks 12] 현실과 상상의 경계 :: 이수지 작가의 그림책 이야기(3) by
- 2012/10/18[2012 pxd talks 11] 성공하는 제품디자인을 위한 비밀무기 (Secret weapon for successful product design) by
- 2012/09/27[2012 pxd talks 10] 디자인 씽킹과 앙터프러너십 : 숨겨진 니즈와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찾는 통합 모델과 사례 by
- 2012/09/03[2012 pxd talks 09] Mindstorming by
- 2012/07/11[2012 pxd talks 08] 효과적으로 전문가 인터뷰하기 by
- 2012/06/23[2012 pxd talks 07] Extreme Prototyping : Being Resourceful in Prototyping by
- 2012/05/14[2012 pxd talks 06] 소셜미디어 진화 방향과 사회적 이슈 by
- 2012/04/02[2012 pxd talks 05] SMI 아이트래커 활용 방법 및 사례 by
- 2012/03/29[2012 pxd talks 04] UI 스터디 워크샵 후기 - 컨텍스추얼 인터뷰 by
- 2012/03/15[2012 pxd talks 03] 부엉이 쪽지 기획/개발/운영 by
- 2012/02/15[2012 pxd talks 02] 서비스 디자인 워크샵 후기 (2) by
- 2012/02/15[2012 pxd talks 01] 정보 시각화(Information Visualization) by
(블로그 작성에 도움을 주신 김창준님, 이재용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