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씽킹(16)
-
디지털 전환기에 생각해 봐야 할 것들
들어가며 오늘날 새로운 기술들이 점점 더 우리 일상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습니다. 1897년, 전화가 처음 나온 이래로 1억 5천만 명이 쓰게 되기까지 89년의 세월이 걸렸지만,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기기는 1년도 안 된 사이에 1억 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기술의 수용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다양한 기술은 우리 일상에서 여러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내는 것을 넘어 파괴적인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를 디지털 전환 혹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같은 용어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전환으로 통일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무엇인지, 이 흐름에 맞춰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할 것인지' 그리고 '어떤 것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
-
창조적 축적 지향 체제와 마인크래프트 세대에게 거는 기대
저는 마인크래프트 세대로부터 목격한 것들에 영감을 받았습니다. 얼마 전 Satya Nadella(Microsoft CEO)가 말한 이 한마디 때문에 글을 써서 나눈다. 왜냐면 마인크래프트 세대는 마이크로소프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게도 특히 소중한 세대이기 때문이다. --- 1줄 요약: 모방추격형 산업 발전 모델에서 창조적 축적 지향 체제로 변화해야함이 자명한 상황에서, 마인크래프트 세대는 바로 이러한 사회적 체질 변화에 필요한 물리적 시간을 줄여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세대가 되어 줄 것이다. --- 개념을 디자인(Conceptual design)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것은 작년 9월 출판된 책 ‘축적의 시간'에서 우리나라 산업계가 해결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26명의 서울대 공과대학 교..
-
pxd 교육사업팀 이야기 2/2 - 사람이 하는 디자인씽킹
1편에서는 교육사업팀이 초기에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디자인씽킹 B2C 교육’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해서 디자인씽킹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방식을 기반하여 정리해 말씀드렸습니다. 2편에서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디자인씽킹을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문화와 규칙을 다루고자 합니다. 1편: 팀이 하는 디자인씽킹 2편: 사람이 하는 디자인씽킹 프로젝트를 통해 학습한다. 나의 목표, 나의 역할 찾기 한 번의 iteration은 다음 번 iteration을 위한 준비입니다. 그리고 모든 iteration은 팀이 궁극적으로 하려는 계획의 연장선상에 있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개개인은 팀 내에서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은지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각각의 iteration 과정은 개..
-
pxd 교육사업팀 이야기 1/2 - 팀이 하는 디자인씽킹
2015년 1월 29일 디자인씽킹 워크샵, 교육사업팀에서 제작한 도구를 받아본 워크샵 참가자분이 '우와'하며 놀라워했습니다. 교육담당자 한 분은 여분의 도구를 살펴보다가 문구 하나를 손으로 짚으며 질문을 합니다. “pxd에 교육사업팀이 있었어요?” 제가 교육사업팀과 관련해서 글을 써봐야겠다고 결심한 순간입니다. 교육사업팀은 2014년 9월에 만들어져 2015년 1월까지 5개월동안 초등학교 교사, 교육, 디자인씽킹, 워크샵, 교구에 대해서 배우고 응용하는 기간을 가졌습니다(한 단계 매듭을 지은 시기를 1월로 보기 때문에 글에서는 이 때까지의 일만을 다루고자 합니다). 재미있게도 교육사업팀이 거쳐온 과정은 팀이 교육으로써 전달하고 싶었던 디자인씽킹과도 닮아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교육사업팀을 가장 잘 소개할 수..
-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 사고
배움에 있어서 최적의 경험은 무엇일까? 학교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여러 초-중-고등학생과 선생님들을 만나 보았습니다. 아이들의 하루 일과를 들여다보니 매일 쉼 없이 학교와 학원에서 공부를 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를 8시 반까지 가요. 늦으면 지각비가 5분에 오백원이에요. 수업은 45분씩 7교시까지고, 쉬는 시간은 친구들과 놀거나 자요. 학교 후에 6시에 수학, 영어 단과반 학원에 가요. 학원이 8시에 끝나면 바로 집으로 가죠. - 중학교 3학년 김OO' 이렇게 내내 공부를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이 왜 공부하는지, 이 과목이 무엇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 몰랐습니다. 자신이 하는 일의 목적을 모르면서 무언가를 계속해야 하는 것 만큼 괴로운 일이 있을까요. 저희가 만났던 선생님 중 한 분은 ..
-
레고 회사로부터 창의성과 혁신 배우기 | Learning More About Creativity And Innovation From LEGO
이 글은 Rafiq Elmansy가 2014년 8월 SMASHING MAGAZINE에 게재한 글입니다. 피엑스디에서 저자의 서면 허락을 받고 번역, 게재하였으며, 저자의 허락없이 복사하여 사용하는 것은 절대 안됩니다. 원문 링크 : "Learning More About Creativity And Innovation From LEGO" by Rafiq Elmansy SMASHING MAGAZINE, August 8th, 2014 글을 읽기 앞서... 저자가 글에서 사용한 ‘creativity’, ‘Innovation’을 대부분의 번역에서 각각 ‘창의성’과 ‘혁신’으로 옮겼습니다. 단, creative team과 같은 단어들은 본연의 의미를 더 잘 전달하기 위해 그대로 한글로만 바꾸어 적었습니다. 대부분의 ..
-
[pxd talks 47] 2014 Workshop :: Design Thinking 경험하기
pxd talks의 2014년 첫 번째 워크샵이 열렸습니다. 바로 요즘 많은 화두를 던지고 있는 ‘Design Thinking’ 경험하기 였는데요. 특히 이번에는 Stanford D school에서 ‘Design Thinking’을 수료하고 현재 SAP Korea에서 일하고 계신 크리스토퍼 한 박사님을 모시고 Half day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크리스토퍼 한 박사님의 유쾌한 진행 아래, 평소 Design Thinking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고 있던 pxd인들은 더욱 즐겁게 워크샵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Innovation’, ‘Design Thinking’, ‘Work’, ‘Love’ 총 4가지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던 워크샵 이야기를 지금부터 시작하겠습니다. B. Christopher Han..
-
Design Thinking Tour with SAP Korea 참석 후기
지난 3월 12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Design Thinking 워크샵인 'Design Thinking Tour with SAP Korea'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you design…, …design you’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참가신청을 받아 3월 한 달 간 서울과 부산에서 총 3회에 걸쳐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에 대해 알아보고, 주어진 주제를 통해 일상생활을 관찰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내놓는 사고방식과 과정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저는 그 중 첫 번째로 진행된 서울 강남에서의 투어에 다녀왔습니다. 투어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진행되었으며, 도곡동 SAP Korea 사옥에서부터 강남역까지 강남 일대를 돌..
-
교사를 위한 디자인 사고 툴킷 번역 자원 봉사 대학생 모집
모집은 조기 마감되었습니다! 더 이상 지원하지 말아주세요!!! 디자인 사고(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는 디자이너의 사고 방식, 즉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통하여 인간의 문제에 공감하고 이에 기초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입니다. 주로 IDEO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죠. 2012/10/08 -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란? 자연스럽게 이러한 사고 방법을 디자인 교육에 적용하거나, 아니면 창의적 사고를 위하여 일반 교육에 디자인+디자인 사고 교육을 접목시키는 많은 시도가 있습니다. 그 중, IDEO가 Riverdale 과 함께 진행하는 교사를 위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for Educators, http://designthinkin..
-
[2012 pxd talks 14]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
2012년 2월에 pxd talks의 첫 시리즈를 시작한 뒤로 어느덧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 블로깅을 하게되었습니다. 2012년의 마지막 pxd talks는 '적정기술의 의미와 역사'라는 주제로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적정기술 미래포럼 대표이신 홍성욱님을 모셨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공학자의 입장에서의 적정기술을 말씀하시는 점이 인상 깊었는데요, 내용 일부를 블로깅을 통해 함께 나누려고 합니다. 먼저 적정기술 미래포럼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겠습니다. 현재 적정기술 미래포럼에서는, 정기포럼을 주최하고, 적정기술 아카데미 운영도 하고 있습니다. 또 문서 사역도 중요하게 생각해서 현재 '적정 기술이란 무엇인가', '인간 중심의 기술 적정 기술과의 만남'을 출간하였고 적정기술 논문집 발간..
-
[독후감] 디자인 씽킹 The Design of Business
디자인 씽킹 The Design of Business 로저 마틴 지음 / 이건식 옮김 2009 디자인 씽킹이란? 경영자적 마인드와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공존하는 생각의 최고지점. 생각의 가장 완벽한 방식은 분석적 사고에 기반을 둔 논리와 직관적 사고에 근거한 크리에이티브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균형을 이루는 것.(표지) 사실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디자인 씽킹, 디자인적 사고 등 다양한 말이 있으나 이 말로 통일하겠다)에 대한 다양한 견해 가운데 대부분은 동어반복적 논리이다. 예를 들면 디자인 사고는 디자이너가 사고하는 방식이라든지, 아니면 혁신적 결과가 나온 것은 모두 디자인 사고라든지 하는 설명이다. 이 책도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다만, 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
-
[독후감] 디자인에 집중하라 Change by Design
제목: 기획에서 마케팅까지 디자인에 집중하라: IDEO처럼 생각하고 IDEO처럼 경영하라 원제: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저자: 팀 브라운 Tim Brown 번역: 고성연, 2009 번역자의 가장 큰 실수는 원제에 있는 "Design Thinking"을 우리말 제목에 넣지 않은 것이다. 이 책은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에 관한 책이다. 처음부터 끝까지.(필자는 보통 '적'을 빼고 디자인 사고라고 부르는데, 이 책에서 디자인적 사고라고 해서 인용할 때는 모두 디자인적 사고라고 적을테니 다소 혼란스러워도 양해 부탁드린다) 이 책의 내용을 한 번에 설명하려면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