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53)
-
UX / 디자인 신간 소식 (2014~)
UX / 디자인 신간 소식 공유드립니다. 요즘은 UX / 디자인 서적이 많이 나오고 있어서 정보를 얻기에는 좋지만 자신에게 꼭 필요한 책을 고르기는 더 어려워진것 같습니다.나에게 맞는 책을 찾으시려면 인터넷에서 관련 키워드로 검색한 후에 서점에서 책을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1. 일상의 디자인 (2015)진선태 저 | 지콜론 북버내큘러 디자인에 관련된 책 입니다. UX 디자이너가 디지털 제품에 중점을 두고 문제 해결을 한다면, 버내큘러 디자인은 일상 생활의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둡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735250 2. 내일의 디자인 (2014)하라켄야 저 | 이규원 역 | 안그라픽스무인양품의 아트디렉터인 하라켄야의 신작입니다. 더이상..
-
[독후감] 건강한 완벽주의자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 20% 줄이기 '노력의 배신'
혹시 당신은 완벽주의자(일 중독자)인가? 이 물음의 답을 찾기 위해 '노력의 배신'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에서는 건강한 완벽주의와 해로운 완벽주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건강한 완벽주의는 자신이 조절할 수 있는 주체성을 가진다. 하지만 해로운 완벽주의는 실수를 두려워한 나머지 타인의 가치기준이 판단 재료가 된다. 그리고 해로운 완벽주의는 소위 말하는 일 중독으로, 자신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책에서는 해로운 완벽주의자 체크리스트가 있어서 본인이 해로운 완벽주의자인지 확인 해 볼 수 있다. 본인이 아래 12개 항목 중에서 몇 개나 해당하는지 세어 보자. 1. □ 더욱 더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 완벽주의자 같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3. □ 사소한 일에 신경쓴다..
-
오래가는 UX 디자인
오래가는 UX 디자인: 모바일 시대의 제품 디자인 기본 원칙 반준철 지음 저자인 반준철씨를 만나서 책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10명의 베타 리더를 통해 책이 어렵다고 한 부분을 완전히 다시 썼다는 점이었다. 흔히 우리가 사용자 평가를 통해서 제품을 수정하고 다시 평가 받기를 반복하는 iterative process를 자신의 책에 적용했고 한다. 그 뒤로 책을 펼쳐 보니, 단지 베타 리더뿐만 아니라 저자 자신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책의 내용에 관여하고 조언을 주었고, 그에 따라 계속해서 다시 써 나가는 과정을 겪은 듯 했다. 긴 시간동안 다른 직업없이 책을 쓰는데만 집중했다니, 그 집중력이 놀랍다. 특히 여러 가지 UI/UX 원칙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는 점이 이 책의 장점이..
-
UI 패턴과 원칙을 다룬 도서 모음 20+
UI 기획을 하는데 있어서 UI 패턴과 원칙을 이해하는 것은 건축가가 구조를 이해하는 것과 같이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합니다. 또한 패턴과 원칙을 통해 일반적인 디자인 문제를 다루는 광범위한 해결방안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UI 패턴과 원칙을 다룬(일부를 다룬 책도 포함) 도서 모음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본 도서는 pxd 라이브러리 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유저스토리북에 모아두었습니다. :) 이 외에도 UI 패턴과 원칙을 다룬 도서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UI 패턴과 원칙을 다룬 도서 모음 20+ (현재 글) ▷ UI 패턴을 다룬 웹사이트 모음 UI 패턴과 원칙을 다룬 국내 도서 모음 (무작위순) 1. 웹 폼 디자인 루크 로블르스키 저 | 민은식, 김성은 역 ..
-
UX 디자인 7가지 비밀
UX 디자인 7가지 비밀: 너무나 잘 알려져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UX 디자인의 뻔한 비밀들 박지수,김헌 지음 상명대학교 박지수 / 서울 과기대 김헌 두 분의 교수님이 쓰신 'UX 디자인 7가지 비밀'은 비밀이라고는 할 수 없는(!) 기본적이면서도 꼭 필요한 내용을 잘 정리한 책이다. 부제에도 "뻔한 비밀'이라고 있다시피 비밀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UX 디자인의 중요한 원칙과 방법들을 잘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음... 제목을 '비밀'이라고 붙인 건 약간 무리수인 듯. ㅎㅎ) 특히 현업에서 프로젝트를 경험해보지 못한 학생이나 초보자들이 읽어본다면 1) 정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2) 원칙, 방법론, 마지막으로 3)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할 방법..
-
지방대에서 UX 공부하기
안녕하세요. 전 OO대학교 OO학과에 다니는 3학년 OOO라고합니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메시지를 보내도 될지 많이 망설였지만 막막한 마음이 메시지를 보내요!! 평소에 pxd를 페이스북으로 먼저 접하고 난 뒤에, 틈틈히 회사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들어가 소식을 보곤합니다..ㅎ 다른 것이 아니라 전 이제 막 ux, ui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보고 싶어요. 그런데 아무래도 지방쪽이라 그런지 ux, ui분야가 활발하게 연구되거나 공부되지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저희가 접한 과목들중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나 인터렉션 디자인이라는 과목으로 ux, ui를 겉핥기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사실 지금도 제가 아는 범위는 극히 좁아요. 그래서 ux관련된 강의나 워크샵 같은 것이 있으면 참여해보고 싶었는데 아래 지방에는 그..
-
[독후감] '전설의 리더, 보'를 통한 리더십 배우기
pxd library에는 보석같은 책들이 곳곳에 숨어있다. 어느날 PM의 역할에 대해서 고민하던중 이 책을 library에서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의 주인공 '보 스캠베클러' 감독은 20년간 234승, 승률 85%라는 대 기록을 세운 미시간대학교 풋볼팀의 전설적인 감독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느꼈던 교훈은 명료했다. 나에게는 초심으로 돌아가서, UX를 하게 된 열정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나 스스로에게 엄격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풋볼팀의 감독과 실무 중심의 PM의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이 책을 읽게되면 각자 느끼는 바가 다를것이다. 좋은 리더가 되기 원한다면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또한 예전에 Kyoung ho..
-
[연재 소개] UX 디자이너가 읽어야할 심리학 책 10가지 - 심리학 산책
'UX 디자인을 하려면 무슨 전공을 공부해야 하나?' 여기에 들르시는 여러분들이라면 한두 번쯤은 이런 의문을 접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언젠가 이런 질문을 해 보셨을 수도 있고, 아니면 이런 질문을 누군가에게서 받아본 경험이 있으실 수도 있겠네요. 그 답은 무엇이었나요? 저도 UX 디자이너로서 일하고 있지만 솔직히 한 두 가지로 콕 집어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제 주위에서 일하고 있는 동료들에게 물어보아도 그렇고, 또 실제로 그들의 전공을 살펴보아도 상당히 다양합니다. 결국 위 질문의 정답은 '여러 가지'라고 할 수 밖에 없겠지요. UX 디자이너가 되는 전공이 어느 특정한 분야로 한정되지 않아 여러 길이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한 분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어떤 배경으로 ..
-
[독후감] 단순한 디자인이 성공한다 Simple and Usable
단순한 디자인이 성공한다 Simple and Usable -탁월한 서비스와 제품을 만드는 85가지 단순함의 법칙 자일스 콜본 지음 | yuna 옮김 이 책은 누구나 원하는 단순함이 쉽게 만들어 질 수 없다는 점을 놓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단순함의 핵심이 제어에 관한 문제라는 점을 지적하고, 단순함을 이루기 위한 네 가지 전략으로서 제거,조직화,숨기기 및 이전을 제시한다. 단순함이 중요하다는데 반대할 사람은 아마 없을 듯 하다. 하지만 모든 단순한 제품이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복잡한 제품이 실패하는 것도 아니다. 문제는 무엇이 단순함이냐, 그리고 단순함을 어떻게 이루느냐가 중요하다. 제목만 보면 초보자조차 모두 아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을 읽어 보면, 가장 숙련된 사람조차 배울 것..
-
Jobs To Be Done (JTBD)
2010년경 고객으로부터 당시 고객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론에 대해 소개를 받을 기회가 생겼다. 이른바 Jobs to be done 이라는 방법으로서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인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Christensen)의 일련의 저서에서 비롯된 것으로, The Innovator’s Dilemma (1997, 혁신기업의 딜레마... 성공기업의 딜레마라는 번역서도 있는데 번역이 안 좋다고 함) The Innovator’s Solution (2003, 성장과 혁신) Seeing What's Next (2004, 미래기업의 조건) 등 3권이 가장 유명한 저서이다. 이 사람의 가장 유명한 말은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인데 이 개념도 매우 흥미롭다. 이것은 따로 소개하..
-
[독후감] 디자인 씽킹 The Design of Business
디자인 씽킹 The Design of Business 로저 마틴 지음 / 이건식 옮김 2009 디자인 씽킹이란? 경영자적 마인드와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공존하는 생각의 최고지점. 생각의 가장 완벽한 방식은 분석적 사고에 기반을 둔 논리와 직관적 사고에 근거한 크리에이티브가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균형을 이루는 것.(표지) 사실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디자인 씽킹, 디자인적 사고 등 다양한 말이 있으나 이 말로 통일하겠다)에 대한 다양한 견해 가운데 대부분은 동어반복적 논리이다. 예를 들면 디자인 사고는 디자이너가 사고하는 방식이라든지, 아니면 혁신적 결과가 나온 것은 모두 디자인 사고라든지 하는 설명이다. 이 책도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다만, 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그..
-
[독후감] 디자인에 집중하라 Change by Design
제목: 기획에서 마케팅까지 디자인에 집중하라: IDEO처럼 생각하고 IDEO처럼 경영하라 원제: Change by Design: How Design Thinking Transforms Organizations and Inspires Innovation 저자: 팀 브라운 Tim Brown 번역: 고성연, 2009 번역자의 가장 큰 실수는 원제에 있는 "Design Thinking"을 우리말 제목에 넣지 않은 것이다. 이 책은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에 관한 책이다. 처음부터 끝까지.(필자는 보통 '적'을 빼고 디자인 사고라고 부르는데, 이 책에서 디자인적 사고라고 해서 인용할 때는 모두 디자인적 사고라고 적을테니 다소 혼란스러워도 양해 부탁드린다) 이 책의 내용을 한 번에 설명하려면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