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ual Inquiry(8)
-
Contextual Inquiry 방법론을 이용해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 만들기
pxd에서 진행하는 UX 프로젝트의 대상은 대부분 IT기기 - 모바일, 웹, 태블릿 - 등의 ‘화면’을 설계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UX 프로젝트의 범위가 꼭 이렇게 IT 기기에만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아이들은 놀이터에서 어떤 경험을 할까”라는 관점 아래 컨텍스추얼 인쿼리(Contextual Inquiry) 방법론을 주로 활용해 진행한 는 IT 기기가 아닌 ‘놀이터’라는 공간을 배경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 세대의 건강하고 창의적인 성장’을 미션으로 하는 벤처 기부(Venture Philanthropy) 펀드 C-program과 pxd가 공동 투자해 진행한 프로젝트로, 2014년 2월부터 7월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 보안유지가 필수인 다른 프로젝트와 달리 본 프로젝트는 산출물을 ..
-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2 - 삼시세끼가 잘하는 것 & CI가 잘하는 것
Series1편.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1 - 삼시세끼 속에 CI가?2편.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2 - 삼시세끼가 잘하는 것 & CI가 잘하는 것 1편에서는 삼시세끼와 CI의 비교 대조를 통해 서로의 특성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2편에서는 교집합 이외의 영역들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합니다. '삼시세끼가 잘하는 것', 반대로 'CI가 잘하는 것'을 알아보고 서로 접목하였을 때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이 글의 내용은 삼시세끼 어촌편 2화까지 시청을 하고 작성한 내용으로 그 이후 방송 내용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삼시세끼 관찰 기법의 강점 삼시세끼의 관찰 기법을 살펴보면서 몇 가지 영감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1 - 삼시세끼 속에 CI가?
Series 1편.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1 - 삼시세끼 속에 CI가? 2편. 삼시세끼와 Contextual Inquiry 2 - 삼시세끼가 잘하는 것 & CI가 잘하는 것 첫 회를 보면서 '뭐 이런 프로그램이 다 있어? 이거 망하겠는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매회 본방 사수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삼시세끼 어촌편을 본방 사수 중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방송을 보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예능 프로그램의 관찰 방식이 Contextual Inquiry와 매우 유사한데? (Contextual Inquiry는 UX디자인에서 활용하는 사용자 조사 기법으로 자세한 정의는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Contextual Inquiry의 개념과 실무 노하우)..
-
Contextual Inquiry 개념과 실무 노하우 (2/2)
목차 1. Contextual Inquiry란 무엇인가? 2. Contextual Inquiry 실무 노하우 이번에는 CI의 실무노하우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Contextual Inquiry는 Planning, Field Interview, Interpretation으로 이루어집니다. 1. Planning 1) 인터뷰 대상자 선정하기 : 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고 섭외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인터뷰 횟수는 제한되어 있고, 제한된 수의 인터뷰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물을 얻어 내야 하기 때문에 대상자 선별은 매우 중요합니다. 어떤 대상자를 섭외하느냐에 따라서 데이터의 질이 달라집니다. 때문에 효과적인 스크리닝(Screening)을 통해 기준에 부합하는 인터뷰 대상자를 찾아야 합니다. 우선 체크리스..
-
Contextual Inquiry 개념과 실무 노하우 (1/2)
목차 1. Contextual Inquiry란 무엇인가? 2. Contextual Inquiry 실무 노하우 Contextual Inquiry의 개념 Contextual Inquiry는 에스노그래피 형태의 필드 리서치를 말합니다. (위키백과 정의). 디자이너가 사용자의 공간 안에 들어가서 +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 공감을 통해 사용자의 숨겨진 니즈를 찾아내는 '정성적 조사'방법입니다. 정해진 프레임 안에서 주어진 공식에 따라 정량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컨텍스트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탄력적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 열린 조사 방법입니다. 왜 Contextual Inquiry인가? 기술만 아는 것으로 멋진 제품을 만들 순 없습니다. 좋은 재료만으로 명품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훌륭한 제품과 좋..
-
혁신적인 UI를 위해 하지 말아야할 7가지
원래 발표는 2008년 HCI 학회에서 했었고, 수정한 발표를 2010년 11월 8일 UXEYE(UX Symposium)에서 진행하였는데, 그 동영상이 얼마전에 공유되었기에 알려드립니다. 동영상 강의는 http://id.kaist.ac.kr/ux2010/ 에서 보실 수 있고, 동영상 강의가 아니라 단순하게 슬라이드 셰어(음성 포함)로 보고 싶으시면, http://www.slideshare.net/arangyi/2010-uxeye-ui-7 에서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제 강의 말고 UX Symposium 전반에 관한 내용을 다룬 블로그들은 저희가 한 번 정리한 바 있습니다. http://story.pxd.co.kr/323 또한, 사진 공유입니다. http://www.flickr.com/photos/392..
-
디자인 혁신을 이끄는 User Insight
PXD UI연구소 전성진 연구실장(우)과 김경호 선임연구원(좌) 사용자 데이터를 상향방식(bottom up)으로 조직하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작업모습 pxd의 ux research 방법론에 대해서 잘 소개한 글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Qualitative research, Contextual Inquiry, Persona Modeling, User Profiling 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
멘탈모델(2)-행동중심의 디자인접근법
약속대로....멘탈모델의 후속편입니다. (누군가 기다리기나 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참고로 전편은 이곳으로... http://story.pxd.co.kr/44 "UI 디자이너의 권력은 사용자로부터 나온다" 제가 즐겨쓰는 말입니다만, 그만큼 사용자로부터 얻게 되는 힘이 강력하다는 뜻이고, 또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어떻게 정보를 얻고, 또 얻어진 정보를 어떻게 가공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핵심적인 사항입니다. 멘탈모델 방법에서 말하는 '사용자 인터뷰로부터 정보를 구조화 하는 과정'은 pxd의 방법과 매우 흡사하면서도 어느 부분 의미있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 방법이 좋다 혹은 나쁘다거나 하는 평가보다는 '다르다'는 것이 신선했고, 또 '다른 방법'과 pxd의 방법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결과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