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508)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95)
    • AI 이야기 (13)
    • pxd AI툴 이야기 (12)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4)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3)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퍼소나 심리학 산책 pxd 미디어 도서 Persona 국내교육 디자인 사고 서비스 디자인 전시와 작가 조사 방법 프로젝트 방법 pxd Talks 리뷰 진로교육 Lean UX UI 해외교육 UX 컨퍼런스/세미나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508)

  • [pxd talks 71] 데이터 활용 글로벌 혁신 성공에서 찾아보는 데이터 기반 UX 전문가가 나아갈 길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4.07
  • [Design Hacking] 네이버 뉴스 감성 아이콘 사용자 반응 시각화

    無異 ― 2017.04.05
  • UI 디자이너의 위기지학, Design Hacking을 통해 코딩 배우기

    無異 ― 2017.04.05
  • [pxd webtoon] 프롤로그 : 나는 뱁새다

    인턴뱁새 ― 2017.04.03
  • [pxd talks 70] 게임 속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설계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3.30
  • [pxd talks 69] User Story와 애자일 방식의 활용방법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3.24
  • 인도네시아에서 앱으로 교통비 바가지 면하기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3.16
  • 영감을 주는 3개의 글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3.09
  • HCI KOREA 2017 참관 후기 (2/2)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3.02
  • HCI KOREA 2017 참관 후기 (1/2)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2.24
  • 2016 pxd story 인기글 모음

    문한별 ― 2017.02.16
  •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면서 느낀 점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7.02.08
[pxd talks 71] 데이터 활용 글로벌 혁신 성공에서 찾아보는 데이터 기반 UX 전문가가 나아갈 길

트레저데이터의 고영혁 님이 “데이터 활용 글로벌 혁신 성공에서 찾아보는 데이터 기반 UX전문가가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었습니다.고영혁 연사님은 데이터사이언스, 그로스해킹, 스타트업, 서비스디자인, UX, 비즈니스모델 등에 대한 전문분야를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난 2015년 7월에도 “UX 전문가를 위한 Growth hacking”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강의는 pxd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설문의 리뷰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볼 때 아래의 사항들을 주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스케일과 순서: 설문을 설계할 때 스케일(척도)을 물어보는 것과 순서를 물어보는 경우를 구별하여야 한다.응답 기준의 개인별 차이: 설문 응답에서 스케일(척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4. 7. 07:50
[Design Hacking] 네이버 뉴스 감성 아이콘 사용자 반응 시각화

최근 네이버 뉴스에서는 기사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공감해요에서 감성 아이콘으로 변경했습니다. http://blog.naver.com/nvr_design/220971828846페이스북의 감정 리액션을 따라 한 것 같은데요. 참여 사용자의 수를 보면 상당히 호응이 좋은 것 같습니다. 기사라는 성격에 맞게 훈훈해요. 후속 기사 원해요 라는 선택도 적절해 보입니다.하지만 참여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여주는 방식이 아쉽습니다. 기사에 대한 독자의 주된 감정이 드러나게 하기 기사의 상단에는 최다 득표를 한 감정 아이콘 2개를 노출합니다. 하지만 그 비율이 어떤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단의 감성 아이콘은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반응했는지 숫자로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과 아이콘을 눌러 참여하는 액션 버튼으로의 두 가지 기능..

無異 2017. 4. 5. 07:54
UI 디자이너의 위기지학, Design Hacking을 통해 코딩 배우기

pxd에서는 2017년을 UI 디자이너가 코딩하는 원년으로 삼기로 했습니다. 저 혼자 정한 거지만요. :) UI 디자이너가 코딩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한 글들은 많이 보셨을 텐데요. 저는 UI 디자이너의 의도적 수련에 필요한 능력으로써 코딩을 배우면 좋겠습니다. 코딩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하는 디자이너는 많아도 새로운 걸 배운다는 부담감이 커서인지 주변에서 실제 코딩을 배우는 분은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같이 따라 하면서 실질적으로 코딩을 배울 수 있는 디자이너의 코딩 수련장(workbook) 형식으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UI 디자이너의 의도적 수련과 피드백디자이너로서 전문성을 키우고 성장하는 데는 새로운 방법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직접 디자인하고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는 디자인..

無異 2017. 4. 5. 07:50
[pxd webtoon] 프롤로그 : 나는 뱁새다

뱁새의 말: 안녕하세요? 인턴 뱁새입니다. 웹툰으로 만나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네이버 도전만화에도 꾸준히 연재할 예정이니, 별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고##웹툰##]

인턴뱁새 2017. 4. 3. 07:50
[pxd talks 70] 게임 속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경험 설계

2016년 11월, 엔씨소프트 데이터분석 모델링팀 이은조 팀장님이 pxd에 방문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게임 유저 모델링’라는 주제로 강연을 해주었습니다. 엔씨소프트에서는 많은 MMORPG를 서비스하고 있는데, MMORPG라는 하나의 거대한 가상 세계에서 유저들은 다양한 데이터를 만들어내고 있었습니다. 이은조 팀장님은 유저들이 게임을 플레이하며 만들어내는 데이터에서 게이머들의 유형과 행동 패턴들을 추적하고,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작업을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pxd Talks는 엔씨소프트가 어떻게 데이터를 분석하는지와, 발견한 인사이트의 활용 사례를 볼 수 있는 강연이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게임 유저 모델링 연사님이 첫 번째로 소개해준 것은, ‘데이터 분석을 통한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3. 30. 07:50
[pxd talks 69] User Story와 애자일 방식의 활용방법

작년 11월 17일, 69회 pxd talk가 User Story라는 주제를 가지고 워크숍 형태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장장 4시간 동안, Agile Consulting(애자일컨설팅)의 대표이신 김창준 님을 모시고 User Story는 무엇이며, 어떻게 실제 업무 상황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 토론과 간단한 실습 통해 pxd talk를 진행하였습니다. 강의 시작은 4명이 한 개의 조가 되어 실제 업무 상황에서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과정에 발생했던 불편했던, 어려웠던 혹은 짜증 났었던 실질적인 상황들을 5개 이상 적어보고, 그중 지금 당장 꼭 해결하고 싶은 문제 한 가지를 선택하여 김창준 님께서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을지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방식으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3. 24. 07:50
인도네시아에서 앱으로 교통비 바가지 면하기

사람이 직접 톨비를 계산하는 톨게이트, 내비게이션 없는 택시가 있는 인도네시아 풍경은 90년대 서울과 비슷하지만 Uber, Grab, GO-JEK 등 차량 공유 서비스들을 보면 한국보다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여행을 떠나기 전, 미리 설치하면 좋을 교통 관련 앱을 소개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의 no.1 택시 서비스 Blue bird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택시 회사가 다르므로 서울은 오렌지색, 대전은 검은색 등 일반 택시 차량 색이 지역마다 다르다. 인도네시아는 신기하게도 인도네시아 전역을 운영하는 택시 회사-블루버드 그룹(BlueBird Group)이 있어 차량 색이 푸른색이면 대체로 블루버드 그룹 택시라고 보면 된다. 차체만 푸른색으로 칠한 유사 택시가 많으니 블..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3. 16. 07:50
영감을 주는 3개의 글

저는 인터넷의 많은 블로그들에서 영감을 주는 글을 읽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나 한 업계의 대가가 들려주는 글들을 통해 얻는 영감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 최근에 우연한 기회로 제가 UX업계로 발을 들이도록 인도해 준 Alan Cooper의 블로그 글들을 읽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모르시는 분을 위해… Alan은 퍼소나를 고안해낸 Interaction design 분야의 선구자입니다.) 제가 읽은 글 중에서 가장 감명 깊게 읽은 3개의 글을 소개 드립니다. 이 글들을 신입 디자이너일 때 읽었어도 좋았겠지만, 6년 차인 지금 읽으니 그간의 프로젝트 경험과 디자이너라는 직업에 대해 반추해보는 계기도 되고, 새롭게 와닿는 부분도 있어서 좋았습니다. 영문 글이니 시간 있으실 때 천천히 음미하시면서 읽어보시면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3. 9. 07:50
HCI KOREA 2017 참관 후기 (2/2)

HCI Korea 2017 학술대회가 2017년 2월 8일부터 10일까지 강원도 하이원리조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저희가 직접 듣고 온 세션 중 몇 가지를 정리하여 제 2편을 공유드립니다.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컬러 플래닝과 활용_모바일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이현진 작성자: 황보라 본 강연은 색상 선택과 조합에 어려움을 겪는 UX디자이너, 개발자들을 위해 모바일 색상에 대한 기초와 배색 툴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타고난 감각 없이도 배색 툴을 통해 어느 정도 윤곽을 잡는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컬러 플래닝을 하기에 앞서, 모바일 앱의 색상 특징에 대해 먼저 알아보았습니다. 모바앨 앱은 화면이 작아 복잡한 색채 계획이 어려우며, 사용된 색채가 브랜드,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3. 2. 07:50
HCI KOREA 2017 참관 후기 (1/2)

HCI Korea 2017 학술대회가 2017년 2월 8일부터 10일까지 강원도 하이원리조트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올해는 ‘Shall we dance? - 공존의 온도’라는 주제로 학회가 진행 되었으며, 저희가 직접 듣고 온 세션 중 몇 가지를 정리하여 2회에 걸쳐 공유 드립니다. 아마존 웹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소개 - 최정욱 외 1명(아마존) 작성자: 최윤호 HCI 첫날 오전에는 아마존 코리아에서 솔루션즈 아키텍트로 재직 중인 최정욱 연사님에 의해 아마존 웹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 사례와 이를 통해 아마존이 추구하는 미래가치와 혁신을 소개하는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출처: 아마존 웹 서비스 공식 홈페이지 클라우드 서비스 최근 네이버, 다음, SKT 등, 국내의 많은 대기업이 앞다투어 클라우드 서비..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2. 24. 07:50
2016 pxd story 인기글 모음

2016년 한 해 동안 pxd story에 작성된 글 중, 10개의 글을 추려보았습니다. 글의 가치에 순서를 매길 수는 없겠지만, 티스토리 통계, 페이스북 등을 통해 많은 분이 호응해 주신 글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아랫글 중 읽지 않으신 글이 있다면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처음 프로젝트 매니저를 하면서 알게 된 6가지 - 김 명선 글쓴이가 처음으로 PM을 맡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던 경험을 담은 글입니다. PM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책임지고 신경 써야 할 것도 많아진다는 것이겠죠. 함께 일하는 동료와의 관계, 클라이언트와의 협의, 그리고 가장 중요한 성공적인 업무 진행까지, 신경 써야 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처음 PM이 되어 막막한 기분이 드신다면 이 글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

문한별 2017. 2. 16. 07:50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면서 느낀 점

작년 4월 無異님의 데이터 기반 퍼소나에 대한 사내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 유형 나누기와 유형을 쉽게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작업에 대한 내용이었으며, 트루밸런스와 트위터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를 활용했던 사례와 함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강의 이후에는 無異 님의 코치를 받으며 또 다른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활용을 적용해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시 실제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면서 느낀 점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사용자 선별과 기회 요소의 발굴 T 커머스 서비스를 기획할 당시 프로젝트 착수와 함께 가장 먼저 한 일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확보였습니다. 이후 구매자와 반복 구매 이력이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조사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7. 2. 8. 07:50
1 ··· 44 45 46 47 48 49 50 ··· 126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