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508)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95)
    • AI 이야기 (13)
    • pxd AI툴 이야기 (12)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4)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3)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심리학 산책 디자인 사고 해외교육 도서 국내교육 리뷰 pxd Talks UX 전시와 작가 UI Persona 컨퍼런스/세미나 진로교육 퍼소나 조사 방법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 방법 pxd Lean UX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508)

  • Inside Heatherwick Studio 헤더윅스튜디오전

    이 재용 ― 2016.07.07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8편 - 다이어리 스터디

    이 재용 ― 2016.06.30
  • 블로그 방문자수 누적 1000만 명을 넘었습니다.

    pxd story ― 2016.06.21
  • 트위터 퍼소나 데모 페이지

    無異 ― 2016.06.16
  • UX 대학원 소개 (미국편)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6.06.09
  •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7편 - 시간 위의 디자인

    이 재용 ― 2016.06.02
  • 월간 디자인 UX 디자인 특집 -UX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다.

    pxd story ― 2016.05.30
  • [독후감] 서비스 디자인 - 실무에서 들춰보는 인사이트

    이 재용 ― 2016.05.25
  • 데이타 기반 퍼소나 - 트루밸런스

    無異 ― 2016.05.19
  • 세상에서 가장 쪼잔한 질문 - 체크박스 옆 라벨 커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이 재용 ― 2016.05.12
  • 월간디자인 5월호 - 놀이터 프로젝트 소개

    limho ― 2016.05.10
  • 아이와 함께 만드는 한글 공부용 한글 키보드

    無異 ― 2016.05.04
Inside Heatherwick Studio 헤더윅스튜디오전

New British Inventors - Inside Heatherwick Studio헤더윅 스튜디오 - 세상을 변화시키는 발상2016.06.16 - 10.23한남동 디뮤지엄http://www.daelimmuseum.org/dmuseum/ 대림미술관, 디뮤지엄의 전시는 언제나 만족스럽지만, 이번 전시는 특히 더 마음에 들었다. 헤더윅이 이끄는 영국의 디자인 스튜디오 작품들을 모아 놓은 것인데, 일반적으로 디자인 스튜디오가 제품이나 건축 등 특정 분야에 한정짓는 것과 대조적으로 이 곳은 대략 180 명 정도의 디자이너들이 가구, 제품, 건축 및 도시 설계까지 여러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디자인을 내 놓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특히 전시의 부제가 "New British Inventeros"라고 되어 있는 것처..

이 재용 2016. 7. 7. 07:50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8편 - 다이어리 스터디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user journaling)은 일정 기간 사용자의 행동과 감정을 모두 기록하게 한 뒤 하나 하나 살펴보는 방법으로 피엑스디에서도 즐겨 사용한다.최근 닐슨노만그룹에서는 다이어리 스터디에 대한 기사를 공개했는데, 이 글에서도 언급하듯이 다이어리 스터디는 특히 습관, 사용 시나리오, 태도와 동기, 행동과 인식의 변화, 사용자 여정을 살펴 볼 때 매우 유용한 조사 방법이다. Diary Studies: Understanding Long-Term User Behavior and Experiences이 글을 읽다보니, 피엑스디에서 모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다이어리 스터디를 할 때가 생각이 난다. 아마 2004년 쯤이었던 것 같다. 클라이언트 중 한 분이, 자기들도..

이 재용 2016. 6. 30. 07:50
블로그 방문자수 누적 1000만 명을 넘었습니다.

'더 나은 UX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들이 공부한 것, 느낀 것, 디자인한 것들을 공유하고 같이 고민해 보자'는 생각으로 블로그를 시작한 지 만 7년이 되었고 방문자 수도 1000만을 넘겼습니다. 숫자는 그저 숫자에 불과하다지만, 블로깅하는 사람들에게 방문자수는 활동을 이어가게 하는 영양제와도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1000만'이라는 새로운 단위가 생기는 것을 보고 기뻤습니다. '피엑스디 블로그 그 천 번째 이야기' 1000개의 글과 1000만 방문자수, 1일 평균 1만 명의 사람들이 꾸준히 저희 pxd블로그를 방문하고 계셔서 매우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같이 생각해볼 만한, 상상을 자극하는 글과 주제들을 가지고 계속 이야기를 이어가야겠다는 마음도 다져보았습니다. 고맙습니다 [참고##..

pxd story 2016. 6. 21. 07:50
트위터 퍼소나 데모 페이지

지난번 트위터 사용자 유형 - 데이타 기반 퍼소나 글에서 로그 데이타를 이용하여 사용자 유형을 시각화하는 방식을 소개했습니다. 사용해보고 싶어하시는 분들의 요청이 있어 데모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http://lab.pxd.co.kr/twitterpersonas/ 트위터 계정 아이디를 넣으면 최근 200개의 트윗을 시간축 상에 트윗의 특성을 시각화하여 보여줍니다. 날짜와 시간은 사용자의 거주 위치에 따라 보정하여 표시하고 있어서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은 경우 시간이 밀려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트윗을 자기가 직접 작성한 것, 리트윗한것, 인용 RT, 멘션 네가지로 색깔 별로 나뉘었습니다.페이스북에서 작성한건 진한 파랑, 인스타그램에서 작성한 건 노랑으로 표시됩니다.PC에서 작성한 것은 테두리로 표시..

無異 2016. 6. 16. 07:50
UX 대학원 소개 (미국편)

카네기멜론 디자인학과가 있는 Margaret Morrison Carnegie Hall 지난 블로그글 '국내 UX 대학원 리스트'에 이어 이번엔 미국 UX 대학원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UX Design을 더 깊이있게 공부하기 위해 해외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맞는 학교를 찾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석사 과정 지원에 초점을 맞춰 작성되었으며, 박사 과정의 경우 관련 교수 정보 및 연구 그룹에 대해 추가적인 조사가 더 필요할 것입니다. 해외 석사의 경우 국내와 달리 특정 연구실에 소속되지 않으며 정해진 수업 혹은 추가적인 졸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Update: University of British..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6. 9. 07:50
중급 UX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7편 - 시간 위의 디자인

초보 UX 디자이너에게 가장 해 주고 싶은 말은, "구체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생각해라"이다. 예를 들어 리스트를 만들 때 추상적으로 생각하여 대충 이렇게 리스트를 만들면 되겠지?하고 만든 다음 "리스트에서 항목의 개수는 얼마가 가장 좋을까요?" 이런 식으로 질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생각하지말고, 우리 앱의 사용자는 어떤 사람이고, 이 사람은 맛집 목록에서 대개 몇 개까지 볼 생각이 있을거야. 우리가 기술적으로 몇 개를 추천하면 이 사용자를 만족시킬 확률이 80% 이상일까? 그러면 몇 개의 항목을 보여주되, 이 사람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는 무엇일까? 이 사람은 항목 간 비교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할까? 이런 문제들을 스크린 높이와 함께 고려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 목표를 가장 만족..

이 재용 2016. 6. 2. 07:50
월간 디자인 UX 디자인 특집 -UX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다.

월간 디자인 2016년 6월호 특집은 "UX 디자인"입니다. 피엑스디 이재용 대표의 인터뷰를 시작으로, 디자인 전문회사 인수 합병의 지형도, 캐피털 원에 인수된 UX/서비스디자인 전문회사 어댑티브 패쓰에 관한 기사, 티한 + 랙스에 관한 기사,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딜로이트의 디자인 스튜디오, 딜로이트 디지털, 액센추어가 인수한 피로르드, 등의 기사가 실려 있습니다. 또한 퍼소나로 유명한 쿠퍼가 왜 독립 에이전시를 고수하는지에 대해 앨런 쿠퍼의 기고문도 포함되어 있다! 모바일 퍼스트 독자 경험 중심의 뉴욕타임스 디지털 디자인팀, 국내 사례로 ST유니타스와 합병한 웨더디자인, 마지막으로 존 마에다와 달버그 디자인 그룹까지,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기사들로 가득한 6월호입니다. UX 디자인너 분..

pxd story 2016. 5. 30. 07:50
[독후감] 서비스 디자인 - 실무에서 들춰보는 인사이트

서비스 디자인 실무에서 들춰보는 인사이트 앤디 폴리인, 라브란스 로이빌, 벤 리즌 지음 배상원, 임윤경, 정은기 옮김 Service Design From Insight to Implementation Andy Polaine, Ben Reason, Lavrans Løvlie 딱 한 줄로 이 책을 요약하면 "서비스 디자인의 교과서"이다. 책 제목이 그냥 단순하게 "서비스 디자인"인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서비스 디자인에 대하여 예전에 이렇게 정의한 적이 있었는데, 서비스 제공자(service worker)와 서비스 고객(Customer)에 대한 연구와 관찰을 바탕으로 총체적 경험과 인간(Holistic)의 관점에서 시간상(Sequencing)으로 서비스를 구체화(Evidencing)하는 것. 이것은 T..

이 재용 2016. 5. 25. 07:50
데이타 기반 퍼소나 - 트루밸런스

트루밸런스는 인도를 기반으로 선불폰 잔액 조회를 중심으로 요금제 큐레이팅, 즉각 충전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는 핀테크 서비스입니다. pxd는 디자인을 통해 투자 참여를 하고 있습니다. 과제의 초기에 사용자 이해를 위해 데이타 분석했던 과정을 소개합니다. Rapid Personas 우리와는 다르게 동남아시아에서는 선불로 충전하여 통화와 데이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선불로 충전한 통화 잔액이나 데이타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quick codes(USSD)라고 하는 sms와 유사한 문자기반의 잔액 조회 기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통화 상품, 시간대, 통화상대, 프로모션에 따라 통화 요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말 단에서 잔액을 계산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서버에서 계산된 잔액을 요청하고 확인..

無異 2016. 5. 19. 07:50
세상에서 가장 쪼잔한 질문 - 체크박스 옆 라벨 커서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웹에서 UI를 구성하다보면 별 작은 디테일까지 신경이 쓰일 때가 많다. 브라우저들마다 다 다른 행동을 하는 건 너무 짜증나는 일이지만 어느 정도는 마음을 비운 채로 대하게 되는데, 내가 직접 무언가를 설계하려면 드는 다음과 같은 작은 생각들은, 아 어떤 때는 내가 세상에서 가장 쪼잔한 질문을 하는 사람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버튼의 커서 예를 들어, Quiz 1: 웹 브라우저 상에서 버튼 위에 마우스가 올라가면, 커서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이 글은 PC에서 마우스 포인터로 읽어야 제대로 이해가 될 듯) 1) 화살표 모양(arrow)일 것이다. 2) 손 모양(pointer)일 것이다. 3) I자 모양(text or caret)일 것이다. 난 링크! 마우스를 올려보면 정답은 1) 화살표 모..

이 재용 2016. 5. 12. 07:50
월간디자인 5월호 - 놀이터 프로젝트 소개

월간디자인 5월호에, 6개월에 걸쳐 진행했던 '놀이터 만들기 프로젝트'가 소개되었습니다. 놀이터에서 일어나는 상황들을 관찰하고 이용자들을 인터뷰하여 얻은 인사이트들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소개되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글에서 확인해 보세요. 참고글: Contextual Inquiry 방법론을 이용해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 만들기 [참고##미디어##]

limho 2016. 5. 10. 07:50
아이와 함께 만드는 한글 공부용 한글 키보드

어린이집을 다니는 둘째 아이가 한글에 흥미를 보이길래, 한글 자소와 구성 원리를 놀이처럼 배우는 앱을 만들었습니다. 아이가 사용하는 걸 관찰하고 새롭게 발견한 점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아이가 한글을 배우는 동안 저는 더 많이 배웠습니다. 1년 동안 아이와 함께 한글 공부용 키보드를 만들며 배운 것을 공유합니다. 우리 아이는 언제 한글을 배워야 할까? 저는 너무 일찍부터 아이에게 한글을 가르치려고 하는 게 마뜩잖아 보입니다. 예전에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육 과정이 달라서 유치원에서는 좀 더 일찍 한글을 가르쳤다고 하는데요. 이제는 누리과정으로 일원화되면서 아이 나이에 따른 학습 발달 단계에 맞춰서, 교과 위주의 인지 학습보다는 놀이 위주로 호기심과 표현 능력, 사회성 등을 키워주는 데..

無異 2016. 5. 4. 07:50
1 ··· 47 48 49 50 51 52 53 ··· 126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