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5) N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8)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0) N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조사 방법 진로교육 퍼소나 디자인 사고 Lean UX 프로젝트 방법 pxd Talks 리뷰 심리학 산책 UX UI 국내교육 미디어 해외교육 도서 전시와 작가 pxd Persona 컨퍼런스/세미나 서비스 디자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172)

  • [독후감] 디자인 소사小史

    이 재용 ― 2015.01.08
  • [디자인 역사 산책 6]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과제들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4.12.10
  • [독후감]모바일 우선주의

    이 재용 ― 2014.12.04
  • [독후감] 사물의 이력

    이 재용 ― 2014.11.25
  • 사회에 책임을 지는 기업 - 파타고니아

    이 재용 ― 2014.11.18
  • [독후감] 애자일 UX 디자인

    이 재용 ― 2014.11.04
  • [독후감] 디자이노베이션 Design-Driven Innovation

    이 재용 ― 2014.10.28
  •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UI 가이드라인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4.10.23
  • [독후감]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이 재용 ― 2014.10.21
  • 단 하루의 기적, 카붐!

    이 재용 ― 2014.10.02
  • 스마트 조명 LIFX와 스노우피크의 Hozuki, 그리고 IoT 조금

    Sungi Kim ― 2014.07.09
  • [디자인 역사 산책 5] 일본 디자인의 역사와 디자이너들

    문한별 ― 2014.06.11
[독후감] 디자인 소사小史

디자인 소사小史 만국박람회에서 에코디자인까지, 디자인 160년사를 읽다 Kleine Geschichte des Design 카타리나 베렌츠 지음 Catharina Brents 디자인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디자인 역사를 공부해라 라고 디자인 이론가인 에치오 만치니는 말했다. 사실 디자인 학자에게 디자인이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모두 다른 대답을 한다. 사람이 무엇을 고민하여 만드는 모든 것이 디자인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근대 자본주의 대량 생산의 시대에 모든 사람이 아름답고 실용적인 것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디자인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하기도 한다. 기능을 따르는 외관을 말하기도 하고, 의미를 재생산해 내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모두 서로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말을 하기 때문에 디자인 외부의 사람이 이..

이 재용 2015. 1. 8. 01:00
[디자인 역사 산책 6]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과제들

2014년 2월 시작한 ‘디자인 역사 산책’이 지난 5월 말 6차 강연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6개월의 시간이 흘렀지만 배움의 시간을 추억하며, 마무리를 하려고 합니다. ‘디자인 역사 산책’의 마지막 강연은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과제들’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1주 : 디자인과 삶의 철학 2주 : 독일 바우하우스와 근대성 3주 : 1930 년대 식민지 근대 공간과 이상의 시 4주 : 이탈리아 디자인의 역사와 인본주의 5주 : 일본 디자인의 역사와 디자이너들 6주 :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과제들 강연의 내용은 김민수 교수님의 저서의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이 글을 통해 전달드리지는 못하지만, 저서 “필로디자인”을 통해서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강연이 마무리될 즈음 교수님께서 앞으로..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2. 10. 01:00
[독후감]모바일 우선주의

모바일 우선주의 Mobile First 루크 로블르스키 Luke Wroblewski UI 디자인계의 스타인 루크 로블르스키가 쓴 이 책은, 기존의 PC용 웹사이트 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서비스를 설계해야 하는 이유와 모바일로 넘어왔을 때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2011년에 영문판이 나왔기 때문에 2014년인 현재에 '왜 우리가 모바일을 우선해야 하는가?'라는 부분은 다소 지루하게 다가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우선'이 되었을 때 달라져야하는 디자인 원칙들의 경우에도 피엑스디처럼 모바일 관련 작업이 많은 회사들의 디자이너에게는 새로운 내용이 별로 없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입장에서라면 이 책은 매우 흥미롭고 다시 읽어 봐야할 책이라 생각한다. 스타트업 관계자들 ..

이 재용 2014. 12. 4. 01:00
[독후감] 사물의 이력

사물의 이력 평범한 생활용품의 조금 특별한 이야기 김상규 이 책은 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사물들이 왜 그렇게 디자인되었을까를 생각해보는 책이다. 단순히 문학 작품이나 에세이처럼 읽어도 좋고, 디자인에 대한 영감이 필요할 때 어떤 부분을 찾아 보아도 좋다. 이런 종류의 약한 수집벽은 어느 디자이너에게나 있게 마련이니까, 아마 많은 디자이너들이 공감할 것이다. 블로그에도 이와 유사한 글을 작성한 적이 있다. 2012/06/18 - 최초의 마우스, 최초의 네비게이션, 최초의 애플 컴퓨터 하지만 UX 디자이너에게는 이러한 종류의 책을 읽고 생각해 보는 것이 특별한 의미가 있다. 1. 평범한 것을 관찰하는 훈련 이 책의 저자는 매우 일상적인 사물들을 깊이 바라보고 있다. 하나의 아주 작고 평범한, 그..

이 재용 2014. 11. 25. 01:00
사회에 책임을 지는 기업 - 파타고니아

2010년 정용진 부회장은 이마트 피자 관련하여 한 트위터 팔로워에게, '당신은 소비도 이념적으로 하느냐?'라고 물어 소비에도 윤리적 소비(이념적 소비)와 실리적 소비(합리적 소비)가 있음을 구분했다. 그 질문에 대한 대부분의 사람들 대답은 '그렇다, 우리는 이념적으로 소비한다'였다. 기업의 사회적/윤리적 책임은 이제 단순히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매출을 확대하는 수단을 넘어 기업에게 있어서 존속 사업을 할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업에 대한 이미지가 그렇게 형성되지 않는 이유는 소비자들이 이 기업들이 가진 '진정성'을 쉽게 눈치채기 때문이다. 월마트가 국내 진출했을 때, 이마트는 '애국심 마케팅'을 했고, 스타벅스 코리아는 공정 무역 커피를 사용한다고 홍보..

이 재용 2014. 11. 18. 01:00
[독후감] 애자일 UX 디자인

애자일 UX 디자인 지속적인 린 방식의 애자일 프로젝트 성공 가이드 린지 래트클리프,마크 맥닐 지음/ 최가인 옮김 Agile Experience Design: A Digital Designer's Guide to Agile, Lean, and Continuous 2011 사실 알고보면 디자인 프로세스라는 것이 원래 디자인 사고(디자인 씽킹)이고, 린하고 애자일하다. 그러나 워낙 폭포수 방법(Waterfall Process)에 익숙하다보니 그것이 아닌 곳으로 디자인이 들어가면 당황하게 마련이다. 피엑스디에서도 2011년부터 애자일 UX 디자인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고(Agile과 UCD) 그 뒤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Lean UX에 대한 스터디, Lean UX Lab. 설립, 내부 Lean 프로젝트 구동..

이 재용 2014. 11. 4. 01:00
[독후감] 디자이노베이션 Design-Driven Innovation

창조적 혁신 전략 디자이노베이션 Design-driven innovation : changing the rules of competition 로베르토 베르간티 Roberto Verganti 이 책은 어떻게 하면 디자인을 중심으로 회사를 혁신할까에 대한 경영 서적이다. 이러한 급진적 혁신 전략은 '디자인 중심 혁신(Design-Driven Innovation)'이라고 부르며, 사용자 중심 혁신과 비교된다. 기술 중심 혁신이 기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처럼 디자인 중심 혁신은 디자인 가치를 만들어 내는 일을 가장 우선시하는 혁신 가치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p009) 저자인 로베르토 베르간티는 이탈리아 밀라노 폴리테크니코의 혁신경영 전공 교수로서 글로벌 기업의 자문 역할을 수행하면서 기업들이 하게되는 혁신..

이 재용 2014. 10. 28. 01:00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 심리학으로 바라보는 UI 가이드라인

앞서 게재된 이재용님의 글(http://story.pxd.co.kr/949)에서 UI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때의 고려사항 몇 가지를 짚었습니다. 그 중 '가이드라인이 나온 인지적/심리적 배경을 이해한다.' 라는 내용은, 가이드라인이 나오게 된 근본적인 이유를 인간의 심리적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해 책에 언급된 내용 몇 가지와 제가 느낀점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에서 더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니 더 많은 예시는 책을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UI 디자인을 하면서 들었던 조언 중 하나는, 잘 만들어진 여러 UI 가이드라인 문서를 통해 인터페이스 기본 원칙, 컴포넌트의 종류와 패턴 등에 대한 기본기를 다지라는 말이었습니다. 업무상 UI 가이..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0. 23. 01:00
[독후감]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마음을 생각하는 디자인 UI 디자인 규칙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가이드 Designing with the mind in mind Simple guide to understanding user interface design rules 제프 존슨 Jeff Johnson UI를 공부하다보면, 여러 가지 지켜야 할 규칙들을 접하게 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규칙들을 모아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렇게 모인 규칙은 대개 '가이드라인'이라는 이름으로 디자이너들 사이에 공유된다. 처음에는 경험의 법칙에 가까워서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여러번 반복하여 실험해 보니까 이렇게 하는 것이 좋더라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유도 알게 되고 학자들마다 반복하여 정의하는 것들도 생기게 되었다. 애플의 기념비적인 휴먼 인터페이..

이 재용 2014. 10. 21. 01:00
단 하루의 기적, 카붐!

단 하루의 기적, 카붐! KaBoom, How one man built a movement to save play 대럴 해먼드 저. 2013 이 책은 대럴 해먼드가 아이들 놀이터를 만들어 주는 단체인 카붐을 만들게 된 자전적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독후감은 검색하면 많이 나올 것 같고, 이 글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혹은 경험 디자인의 측면에서 남기고 싶은 메모를 적으려고 한다. 이 책에서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라면, 놀이터를 짓는 것은 카붐이 아닙니다. 바로 여러분이죠. p231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 카붐은 놀이터를 짓지 않는다! 요즘은 많이 달라졌지만(물론 지금도 여전히 이렇게 하기도 하지만) 대개의 자선 단체들은 기부금을 모아, 전문가를 활용해 멋진 놀이터를 지어주고 떠난다. 그..

이 재용 2014. 10. 2. 01:00
스마트 조명 LIFX와 스노우피크의 Hozuki, 그리고 IoT 조금

제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명인 LIFX와 Hozuki에 대한 짤막한 리뷰 겸, 그것들과 관련되어 드는 생각을 적어보았습니다. 저는 일상에서 접하는 다양한 물건들과 경험들을 통해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 이런 경우에 깊은 지식없이 현상을 일반화 시킨다는 문제가 있지만, 생각은 생각대로 의미 있는 것이라 생각하여, 이번에는 두 가지의 조명을 소개하고, 그것들을 통해 요즘 화제가 되는 IoT의 한 부분을 생각해보았습니다. 혹시 다른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을 남겨주세요. 일반적인 조명에서 한 걸음 나아간 두 가지 조명 최신의 디지털 조명, LIFX 지난 달, LIFX라는 스마트 전구를 구매했습니다. (마음이 또 흔들리기 전에 월급날 바로-) 하지만 아직 그다지 '스마트'하지 못해서 '..

Sungi Kim 2014. 7. 9. 01:07
[디자인 역사 산책 5] 일본 디자인의 역사와 디자이너들

서울대학교 디자인 학부 김민수 교수님께서 진행하는 ‘디자인 역사 산책’ 강의의 다섯 번째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일본 디자인의 역사와 디자이너들을 주제로 교수님의 강의가 이어졌습니다. 1주 : 디자인과 삶의 철학 2주 : 독일 바우하우스와 근대성 3주 : 1930 년대 식민지 근대 공간과 이상의 시 4주 : 이탈리아 디자인의 역사와 인본주의 5주 : 일본 디자인의 역사와 디자이너들 6주 :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과제들 교수님께서는 강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난 4주차 강의 (이탈리아 디자인의 역사와 인본주의) 시간에 소개해 주셨던 올리베티의 발렌타인 타자기의 실물을 직접 보여주셨습니다. 붉고 선명한 색상의 바디는 정열적인 페라리를 떠올리게 했고, Rubber소재로 된 케이스의 잠금장치는 사물에 사..

문한별 2014. 6. 11. 00:15
1 ··· 3 4 5 6 7 8 9 ··· 1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