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9)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90)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3)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퍼소나 리뷰 진로교육 국내교육 조사 방법 도서 심리학 산책 pxd 디자인 사고 해외교육 미디어 컨퍼런스/세미나 pxd Talks Lean UX UI 프로젝트 방법 전시와 작가 UX 서비스 디자인 Persona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9)

  • 조형의 요소와 원리 intro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7.19
  • 스티브 잡스의 위기 관리: 통계 숫자와 고객 경험

    無異 ― 2010.07.19
  • 포스트잇(Post it!) 활용하기

    전성진 ― 2010.07.17
  • Real human interface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7.16
  • 다음 지도앱 음성검색 - Primary Action

    無異 ― 2010.07.16
  • 날씨 어플 디자인 스타일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7.15
  • 홍대 카페 기가막힌 naming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7.14
  • Smartphone resolution & HD Screen

    알 수 없는 사용자 ― 2010.07.13
  • ESOMAR - Global Market Reseach Organization

    이 재용 ― 2010.07.09
  • 멘탈모델(2)-행동중심의 디자인접근법

    전성진 ― 2010.07.06
  • Graphic User Interface & GUI Designer

    limho ― 2010.07.05
  • 구글과 애플의 미니멀리즘 베끼기 경쟁

    無異 ― 2010.07.05
조형의 요소와 원리 intro

조형의 요소와 원리 intro 조형의 요소와 원리 1 - 조형의 요소란? 조형의 원리란? 조형의 요소와 원리 2 - 조형의 원리와 분류 조형의 요소와 원리 3 - 통일성(Unity) : 게슈탈트 법칙 조형의 요소와 원리 4 - 통일성(Unity) : 근접의 원리 조형의 요소와 원리 5 - 반복 (Repetition) 조형의 요소와 원리 6 - 조화 (Harmony) 조형의 요소와 원리 7 - 리듬 (Rhythm) 조형의 요소와 원리 8 - 점이 (Gradiation) 조형의 요소와 원리 9 - 대칭 (Symmetry) 1 : 균형에 대하여 요즘은 그 어느 때보다도 무수히 많은 새로운 미디어가 생겨났다가 사라지고, 그 미디어에 담기는 디자인물 역시 생성, 발전, 소멸의 과정을 거치는데 그 어느 때보다 수명..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7. 19. 19:08
스티브 잡스의 위기 관리: 통계 숫자와 고객 경험

아이폰4 안테나 이슈에 대해 기자 회견을 통해 전달하려고 한 메시지가 저한테는 회견 전에 틀어준 유튜브 동영상 처럼 "사기 싫음 말등가"와 "범퍼 먹고 떨어져" 로 들렸습니다. 애플빠에 가까운 저에게 왜 이런 부정적인 이미지로 비쳤을까요? 고객 경험 애플은 고객 경험을 파는 회사입니다. 이번 신형 아이폰 광고도 기능이나 스펙을 나열하는게 아니라 애플을 사용하는 고객 한 사람 한 사람과 그들의 삶 속에서 가치를 주는 스토리를 전달하도록 치밀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생기자 얼굴을 바꾸고 개개인의 고객 경험이 아닌 산술평균화된 숫자를 내보였습니다. 출처: 애플 via engadget 잡스가 말하는 안테나 문제의 본질은 1.다른 스마트폰들도 다 똑같다. 라는 물타기와 2.사실 별 문제도 아닌데 언..

無異 2010. 7. 19. 12:36
포스트잇(Post it!) 활용하기

pxd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포스트잇의 활용은 매우 유용합니다. 여러 명이 함께 논의하는 과정에서는 거의 필수적 아이템이라고 해야겠네요. 하지만 이렇게 익숙한 도구라도 활용을 위해서는 훈련과 응용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해보면서 자신의 프로젝트에서 효과를 거두는 경험과 습관이 중요합니다. 포스트잇 활용의 가장 큰 장점은 머릿속에 있던 아이디어나 어떤 의미들을 쉽게 다룰 수 있는 형태로 오브젝트화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꺼내어 하나의 포스트잇에 적어두는 순간, 이제부터는 눈에 보이는 한 개의 오브젝트가 되고 이 때부터는 이것이 하나의 셀이 되어 다양한 조합과 연결, 구축작업이 가능해집니다. 다른 사람들도 이것을 쉽게 '다룰 수'있게 되어 함께 추론해 나가고 협의해 나가는 훌륭한 ..

전성진 2010. 7. 17. 22:11
Real human interface

인간을 위한 완벽한 인터페이스는 컴퓨터가 좀 더 인간다워져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시도 보다는 디자이너가 갖고 있는 철학을 표현한 퍼포먼스인거 같네요. 하여튼 기술과 인간의 상호 관계를 기발한 아이디어로 재미있게 표현한 것 같습니다. 이 작업을 한 멀티터치 바르셀로나라는 디자인 그룹은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적인 작업과 전시들을 해왔는데요, 홈페이지를 통해 이들의 기발한 상상력과 실험 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http://www.multitouch-barcelona.com/blog/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7. 16. 18:13
다음 지도앱 음성검색 - Primary Action

다음 지도 앱에 음성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다음앱과 동일한 음성인식엔진을 사용하지만 체감하는 인식율은 더 높습니다. 지도 검색이라는 컨텍스트가 정해지니까 음성 매칭을 하는 말뭉치(corpus)도 POI정도로 한정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왼쪽이 다음 일반 검색, 오른쪽이 다음 지도 검색입니다. 지역 정보 키워드가 아닌것은 배제하여 유사한 발음으로 오인식될 수 있는 키워드도 줄어드니까 인식 성공률이 높아지겠죠. (다른 그림 찾기 : 아이폰 UI컨벤션으로는 왼쪽에 취소버튼을 둡니다) 음성 인식 Best Matching Keyword 다음앱에서는 설정에서 음성 검색 후에 음성 분석 결과를 볼지 바로 검색결과를 볼지 선택할 수 있었는데, 이번 다음 지도에서는 선택없이 음성 분석 결과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이 ..

無異 2010. 7. 16. 16:55
날씨 어플 디자인 스타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스타일 모음1.] 날씨 어플 디자인 모음 날씨 어플들의 디자인이 어느 시점부터 리얼 메타포를 이용하는 것이 주가 되었다. 이런 리얼 메타포의 표현(비오는 날이 빗방울과 눈의 결정, 습기찬 창문의 이미지)을 처음 접했을 때, 날씨의 정보성 과 동시에 감성적인 자극을 주어 인상적이였다. 그래서인지 현재 날씨 어플들은 주로 리얼 메타포를 이용한 디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들은 직관적인 정보 전달에 좋고 좋은 퀄리티의 디자인을 구사할 수 있지만 이제 특별함까지 부여하기는 좀 어렵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 리얼 메타포를 이용한 디자인 - 아이콘을 이용한 디자인 - 텍스트를 이용한 디자인 - 실험적 무비의 디자인 : 현재 바람의 세기정도에 따라 배경 라인 인터렉션에 변화가 생..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7. 15. 11:10
홍대 카페 기가막힌 naming

몇 일전에 동네를 어슬렁 거리다가 기가 막힌 카페 이름을 보게 되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반 지하와 1.5층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커피숖이 있습니다. 제가 사진을 찍은 건 밤이었지만, 실제로 낮에 보면, 불리한 위치 때문에 멀리서는 위층의 커피숖만 보입니다. 사람들 북적이는 모습도 위층만 잘 보여서 반 지하에는 카페가 있는지도 모르고 지나치게 됩니다. 그런데 멀찍이서 가만히 보고 있으면, 사람들이 저 4단짜리 계단을 올라서다 말고, 전부 계단을 돌아 내려가서지하의 카페로 갑니다. 실제로 상당히 머리를 숙여야 하고 좁은 길인데도 굳이 돌아서 내려 갑니다. 문앞에서 반지하 카페에게 손님을 빼앗기고 있는 위층 커피숖의 간판이구요. 불리한 공간임에도 사람들이 들락 거리는 반 지하 카페의 간판입니다. 상도덕에 어..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7. 14. 18:01
Smartphone resolution & HD Screen

프로젝트 관련해서 안드로이드 버젼과 해상도의 관련성을 리서치 하던중 자료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내용은 모토로이의 우수한 해상도 비율을 타 스마트폰과 비교해놓은것인데 다른 스마트폰의 해상도자료도 있어서 gui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카페 비공개 글이라서 바로 올릴 수는 없고 (리서치 결과로는 나오는데 카페가입을 해야 해당 글을 볼 수 있네요) 출처를 밝히고 글쓴이의 글을 참고하여 포스팅합니다. 이미지는 제가 다시 제작하여 올렸습니다. (추후 문제시 자삭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카페 : 안드로이드폰 사용자 모임 글쓴이 : 곰팅이(kikilo2000) 제목 : 모토로이의 해상도 남들과 차별! (http://cafe.naver.com/flueworld/85666) Smartphones resolution 그..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7. 13. 00:34
ESOMAR - Global Market Reseach Organization

User Research하다보면 기존 시장 조사 기관(Market Research)과 역할이 겹치는 경우가 많죠. 더욱이, 워낙이 사용자 조사 기법 중에서는 시장 조사 기법에서 가져온 것도 많고, 또 시장 조사 기관에서도 기존의 피상적인 조사 보다는 사용자 조사 쪽에서 발달시킨 정성적인 방법들을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두 기관의 역할은 점점 더 겹쳐갈 듯 합니다. 다만 인력의 출신과 주요 고객이 서로 다르다보니 아직까진 구분되는 경우가 많네요. 소개할 기구는 전세계 시장 조사기관/전문가들의 모임인 ESOMAR 입니다. http://www.esomar.org/ ESOMAR is the world organisation for enabling better research into markets, consume..

이 재용 2010. 7. 9. 23:27
멘탈모델(2)-행동중심의 디자인접근법

약속대로....멘탈모델의 후속편입니다. (누군가 기다리기나 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참고로 전편은 이곳으로... http://story.pxd.co.kr/44 "UI 디자이너의 권력은 사용자로부터 나온다" 제가 즐겨쓰는 말입니다만, 그만큼 사용자로부터 얻게 되는 힘이 강력하다는 뜻이고, 또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어떻게 정보를 얻고, 또 얻어진 정보를 어떻게 가공하는지에 대한 방법은 핵심적인 사항입니다. 멘탈모델 방법에서 말하는 '사용자 인터뷰로부터 정보를 구조화 하는 과정'은 pxd의 방법과 매우 흡사하면서도 어느 부분 의미있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이 방법이 좋다 혹은 나쁘다거나 하는 평가보다는 '다르다'는 것이 신선했고, 또 '다른 방법'과 pxd의 방법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결과를 ..

전성진 2010. 7. 6. 02:51
Graphic User Interface & GUI Designer

본인이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이해하고 정의할 수 있어야 자신의 목표를 설정 할 수 있으며 목표의식이 분명해야 열정을 가질 수 있고 해당분야의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하고 있는 GUI라는 것에 대해 (기본적인 이야기지만) 떠오르는 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간단하게 쓰려고 했는데 하고 싶은 말은 많고 단순히 텍스트로 적으려니 순서를 정하기도 어렵네요. 글이 꼬리에 꼬리를 물기에 꼬리글 달기식으로 써봤습니다. 더 많이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요. 지금은 그냥 제 생각의 흐름을 쫓아 그대로 적은 것이라. GUI 역사 부분은 내용이 너무 많아서 큰 흐름만 적고 여러분의 숙제로 남겨둡니다.^^;; 찾아보세요~ 결론은 '사용자와 디바이스의 중간접점인 인터페이스부분의 그래픽..

limho 2010. 7. 5. 21:16
구글과 애플의 미니멀리즘 베끼기 경쟁

오늘 버전의 크로미움 빌드를 받아보았더니 맘에 들게 깔끔하게 바뀌어있었습니다. 이것이 구글 팀만의 성과이라기 보다는 미니멀리즘을 통해 서로가 서로를 베끼는 아름다운 과정에서 나온것 같아서 히스토리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More Apple than Apple ie 6 죽지마,부활할거야. 사파리 1 사파리 이전까지는 대세인 ie6를 따라서 브라우저 툴바에 여러 기능을 꾸겨 넣는게 유행이었는데요. 사파리는 기본 네비게이션에 필요한 버튼만 남기고 깔끔하게 정리하여 한 줄에 모아 넣어서 툴바 영역을 줄이고 컨텐트 페이지가 넓어지도록 하였습니다. 배타적으로 사용되는 리플레쉬와 중지를 하나의 버튼으로 통합하였습니다. 추가된 요소는 검색창입니다.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여 이동하는것보다 검색이 훨씬 많아졌거든요. 주소..

無異 2010. 7. 5. 16:24
1 ···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