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6) N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8)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N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심리학 산책 서비스 디자인 Persona 진로교육 디자인 사고 조사 방법 리뷰 전시와 작가 도서 컨퍼런스/세미나 해외교육 pxd Talks 국내교육 미디어 Lean UX 프로젝트 방법 퍼소나 pxd UX UI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6)

  • Next.js SEO 자동으로 적용하기

    Seulbi Lee ― 2023.08.24
  • [WEMIX.Fi] WONDER Staking이 최선의 선택을 돕는 방법

    pxd story ― 2023.08.17
  • [WEMIX.Fi] WONDER Staking, 경쟁으로 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스테이킹

    pxd story ― 2023.08.14
  • 이미지 성능 최적화

    seonju.lee ― 2023.08.07
  • [pxd talks] WEB3 시대에서 정체성 표현과 소통의 방식이 어떻게 ‘통합’되고 있을까?

    Jiin.pxd ― 2023.07.31
  • [NILE] NFTFi, DeFi로 더해진 NFT의 가치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07.28
  • [WEMIX BURN] 소각 정보로 전하는 생태계의 커뮤니케이션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07.27
  • 유퀴즈 온 더 블럭에서 배운 디자인 씽킹 - 사용자를 사랑하는 마음이 중요하다.

    Seungyoon Lee ― 2023.07.24
  •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

    taeyong.kim ― 2023.07.17
  • 블록체인과 엔터테인먼트-음악 산업에 다가올 변화 미리보기

    Yoonyoung Jung ― 2023.07.14
  • 'FED'로 UX하기 : 실전편

    doworld ― 2023.07.07
  • pxd people | “지금 저는 UX를 여행하고 있어요”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07.06
Next.js SEO 자동으로 적용하기

들어가며 요즘 서비스를 만들 때 SEO도 당연히 생각하고 만들다 보니 robot, sitemap 파일 등록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그룹 내에서도 해당 부분 프로젝트 구축 시 누락되지 않게 체크할 수 있는 체크 리스트와 가이드를 만들어 놓고 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번에 Next.js에서 자동으로 sitemap을 생성해 주는 패키지가 업데이트되었다고 해서 현재 운영 중인 사이트에 적용해 보는 겸 가이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sitemap이 필요한가요? 구글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이트맵의 필요성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그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Google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읽고 사이트를 더 효율적으로 크롤링합니다. 사이트맵은 ..

Seulbi Lee 2023. 8. 24. 07:50
[WEMIX.Fi] WONDER Staking이 최선의 선택을 돕는 방법

WEMIX.Fi의 WONDER Staking은 이용자의 ‘선택’이 중요한 상품입니다. 우선, 이용자는 예치자이자 WEMIX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WEMIX 3.0의 NCP(Node Council Partner)인 40 WONDERS 중 어느 WONDER에 코인을 스테이킹할지 골라야 하죠. 리워드를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스테이킹이 끝난 뒤 코인을 어디로 보낼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 일도 이용자의 몫입니다. 때문에 WEMIX.Fi는 다양한 장치를 제공해 이용자가 마주하는 선택의 순간마다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어떤 WONDER에 WEMIX를 맡길까?” WONDER Staking의 사용자 경험(UX)은 WEMIX를 예치할 WONDER를 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40 WONDERS는 지..

pxd story 2023. 8. 17. 07:50
[WEMIX.Fi] WONDER Staking, 경쟁으로 성장을 이끄는 새로운 스테이킹

WEMIX 3.0 메인넷이 안정적 출범 이후 Phase 2에 들어서면서, WEMIX.Fi 또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노드 카운슬 파트너(Node Council Partner, NCP)가 더욱 적극적으로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도록, NCP 간 경쟁을 유도하는 스테이킹을 출시했죠. 한 단계 더 나아간 WEMIX 생태계에서는 어떤 변화가 생겨날까요? WEMIX.Fi의 새로운 스테이킹, WONDER Staking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스테이킹으로 참여하는 WEMIX 3.0 거버넌스 WONDER Staking은 이용자가 선택한 WONDER에 WEMIX를 예치해 리워드를 얻는 DeFi 상품입니다. 여기서 WONDER란, WEMIX 생태계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WEMIX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40개 NCP(40..

pxd story 2023. 8. 14. 07:50
이미지 성능 최적화

들어가며 운영 중인 서비스 NILE은 오픈한 이래로 NFT 출시와 DAO 출범 등 활발한 활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점차 늘어가면서 이에 따른 성능 개선 작업의 중요성 또한 커지게 되었습니다. NFT 상품 이미지의 경우 크기 규격이 화면에 노출되는 디자인 대비 크며, 이미지 하나당 용량이 1MB~4MB 입니다. 요청 이미지 수만 300개가 넘는 메인 페이지의 초기 로딩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습니다. 지난 1달 동안 이미지 성능 개선을 위해 수정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이미지 전략 이미지 유형에 따라 적절한 이미지 포맷을 이용하기 정적인 이미지이자 픽셀 베이스의 그래픽이나 이미지 포맷 형식 중 흔히 사용하는 것은 jpg, png입니다. 흔히 퍼블리싱 작업 시 투명한 배경 사용 여부에 따라서 jpg,..

seonju.lee 2023. 8. 7. 07:50
[pxd talks] WEB3 시대에서 정체성 표현과 소통의 방식이 어떻게 ‘통합’되고 있을까?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들어가며, 지난 5월 pxd에서는 WEB3 영역의 새로운 흐름을 주제로 pxd talks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Web3의 코어, 게임, 디파이 그리고 라이프를 주제로 이전과 달리 어떤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았는데요. 본 글에서는 pxd talks의 강연 내용 중에서도 분산화를 통해 우리가 경험하는 정체..

Jiin.pxd 2023. 7. 31. 07:50
[NILE] NFTFi, DeFi로 더해진 NFT의 가치

“맘에 드는 NFT를 샀다…그다음엔?” NILE에서 멋진 NFT를 발견해 구매까지 마치고 나면 어떤 일이 펼쳐질까요? 일단 내 지갑에 NFT가 들어옵니다. 블록체인 생태계의 모두가 NFT 거래 기록으로 남겨진 내 지갑 주소를 볼 수 있죠. PAPYRUS에선 NFT를 프로필 이미지로 설정해 모두에게 자랑할 수도, NFT 보유자로서 채널에 입장해 다른 이용자와 교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지갑 속 ‘잠자는 NFT’가 생기기도 합니다. 여러 NFT를 갖고 있어서 사용할 일이 드물거나, 장기적인 가치 상승을 바라보고 있어 당분간 되팔 계획이 없는 NFT는 지갑 한켠에 고이 모셔 두기 마련이죠.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NILE의 새로운 서비스, NFTFi입니다. 보유한 NFT를 담보로 자산을 운용할 수 있죠...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7. 28. 07:50
[WEMIX BURN] 소각 정보로 전하는 생태계의 커뮤니케이션

WEMIX BURN은 WEMIX 토큰 소각 프로그램을 투명하게 전달하는 정보 플랫폼입니다. 이용자는 소각 정책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와 함께, WEMIX 수량과 디플레이션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죠. 이처럼 간편하고 효율적인 경험은,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과 수치를 이용자 입장에 맞게 새롭게 디자인하는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이용자와 소통하는 플랫폼’으로서 WEMIX BURN이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함께 알아봅니다. WEMIX BURN은 WEMIX 생태계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이용자를 위해 WEMIX 소각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이용자가 정보를 얻는 데에 드는 시간과 수고는 최소화하면서 정보 이해도는 최대화하죠. 이러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노력이 WEMIX..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7. 27. 07:50
유퀴즈 온 더 블럭에서 배운 디자인 씽킹 - 사용자를 사랑하는 마음이 중요하다.

오은영 박사에게 배우는 UX 컨설팅이라는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얼마 전 ‘유퀴즈 온 더 블럭’을 보다가 UX와 연관되는 내용이 있어 또 한 번 느낀 점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유퀴즈 온 더 블럭: 사건을 막는 발명가 경찰 편 유퀴즈 온 더 블럭은 제가 열심히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보통은 연예인이나 유명인이 나오지 않으면 청소를 하며 본다던지 왔다 갔다 할 일을 하며 보는 편인데요😅, 이번 편은 앉은 자리에서 집중해서 끝까지 보게 되었습니다. ‘사건을 막는 발명가 경찰' 편의 주인공, 유창훈 경정님께서 생각하고 실행하는 모든 것이 UXer들이 익숙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그 자체였기 때문입니다. pxd 블로그를 찾는 분들은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매우 익숙하시리라 생각하고 구체적인 프로세..

Seungyoon Lee 2023. 7. 24. 09:30
컴포넌트 성능 최적화

들어가며 최근 오픈한 서비스들에 대해 성능이슈가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서비스 구축을 할 때에 이런 부분들을 신경 써서 진행을 하였다면 문제가 되지 않겠으나 대한민국 프로젝트 특성상 이런 부분까지 챙겨가며 서비스 구축을 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더불어 성능적인 부분은 개발영역만이 아닌 UI와 GUI에서도 신경써주고, 관심을 가져가며 함께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촉박한 일정과 계속해서 살아 숨 쉬는 프로젝트의 상황상 쉽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우리마저 이 부분을 제쳐둔다면 성능 관련 이슈적인 수준이 아닌 서비스 자체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작업 진행을 하면서 최대한 신경써주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본론으로 들어가면 React와 Next.js는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

taeyong.kim 2023. 7. 17. 07:50
블록체인과 엔터테인먼트-음악 산업에 다가올 변화 미리보기

들어가며 최근 뉴스나 산업 분석 리포트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는 산업이 늘고 있다는 소식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는데요. 엔터테인먼트 산업 또한 예외가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가운데 음악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 동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음악 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배경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음악 산업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악 산업은 레이블, 저작권협회, 기획사 등 여러 이해관계자가 제작부터 유통, 팬과의 관계 형성 및 상호 작용에 관여해 계약을 맺습니다. 이해관계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아티스트에게 지급되는 음반 판매 및 음원 재생 로열티 비율이 낮아지는 구조이죠. 이 때문에 극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티스트는 수익 배분, 음원 소유권 등과 관련해 불공정한 ..

Yoonyoung Jung 2023. 7. 14. 09:12
'FED'로 UX하기 : 실전편

FED로 UX하기는 총 2편의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ED로 UX하기 FED로 UX하기 : 실전편 (현재글) 들어가며 조직별, 개인별, 프로젝트별 구성원들의 실시간 근무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매니저들이 팀원 근무 피로도 관리에 있어 유용한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표를 가지고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동안 일반적인 프로젝트의 진행 방식은 기획/디자인이 선행되고 그 후에 프런트엔드 개발을 진행하였지만, 이번 프로젝트는 기획/디자인 없이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함께 난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진행 과정 우선적으로 근무량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했습니다. 이미 주간보고를 매일 인트라넷에 ..

doworld 2023. 7. 7. 07:50
pxd people | “지금 저는 UX를 여행하고 있어요”

[pxd people]의 인터뷰이는 pxd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합니다. 협업 중인 동료, 존경하는 선배, 친밀한 후배 등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을 지목하기 쉬울 것이라는 제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죠. '누굴 인터뷰하면 좋겠어요?'라는 질문을 받은 이들은 길게 대화를 나눠본 적은 없지만 낯이 익은, 회사 밖에서는 어떤 일상을 보내는지 궁금한, 그냥 친해지고 싶은 사람을 떠올렸습니다. 누군가에게 ‘더 알고 싶은 사람'이라는 건, 그만의 세계에 한 발 더 다가가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사람이라는 뜻일 겁니다. 두 번째 인터뷰의 주인공처럼 말이죠. 오늘은 UX 플래닝팀의 프로덕트 매니저 구재영 님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Q. 먼저 축하해요! 올해 주임(주니어) 타이틀을 떼고 선임(시니어)이 됐죠. 승진..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7. 6. 07:50
1 ··· 8 9 10 11 12 13 14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