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6) N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8)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N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Lean UX 프로젝트 방법 미디어 리뷰 UX 조사 방법 pxd 디자인 사고 심리학 산책 진로교육 pxd Talks UI 퍼소나 해외교육 국내교육 서비스 디자인 전시와 작가 도서 Persona 컨퍼런스/세미나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6)

  • [una Wallet] 블록체인 라이프에 필요한 단 하나의 지갑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01.24
  • [unagi] 모든 블록체인을 아우를 하나의 블록체인

    정우재(ChungWooJae) ― 2024.01.18
  • [pxd talks] 인하우스에서 BX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법

    yeji.jeong ― 2024.01.15
  • Safari Focus

    taeyong.kim ― 2024.01.11
  • 블록체인이 필요한 이유

    Seulbi Lee ― 2023.12.28
  • cheerio

    crsmym ― 2023.12.14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12.07
  • [NILE] NEITH Covenant — NFT에 담긴 네이트의 약속

    정우재(ChungWooJae) ― 2023.11.27
  • Resize Observer API

    hyejun.lee ― 2023.11.24
  • React 폼 요소 제어하기

    seonju.lee ― 2023.11.16
  • pxd people | "믿고 맡기는 개발자이고 싶어요"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11.09
  • [PoET] 기여자와 함께 나누고 성장하는 ‘같이’의 가치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3.11.07
[una Wallet] 블록체인 라이프에 필요한 단 하나의 지갑

블록체인 지갑, 몇 개나 갖고 있으신가요? 가방 속 지갑은 하나인데 블록체인 지갑은 왜 여러 개여야만 할까, 의문이 들었던 때가 있진 않으신가요. 네트워크 하나하나 다른 지갑을 사용하다 지치거나, 이용 방법이 너무 복잡해 ‘OO 지갑에서 토큰 보내는 법’을 검색하는 데에 시간을 쏟았던 때도요. 하지만 이젠 걱정하지 마세요. 더 이상 “블록체인 지갑은 원래 그런 거니까.”라며 불편을 감수할 필요가 없습니다. 즐거운 블록체인 생활, una Wallet(우나 월렛) 하나면 충분하니까요. 지갑 하나로 충분해진 디지털 자산 관리 블록체인 시장의 코인과 토큰은 다양한 네트워크 종류만큼이나 제각기 다른 가치를 갖기 때문에 이용자 입장에서는 ‘내 자산이 얼마인지’ 곧바로 파악하기가 어려운데요. Arbitrum(아비트럼..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1. 24. 09:50
[unagi] 모든 블록체인을 아우를 하나의 블록체인

‘벽을 눕히면 다리가 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하나의 벽일지라도, 이 벽을 눕히는 데 성공한다면 더 큰 가능성으로 향하는 다리가 되어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블록체인 생태계에도 벽은 존재합니다. 생태계 속 각각의 블록체인은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이 네트워크들 사이의 자산의 이동이나 데이터의 교류가 어렵다는 점이 바로 블록체인 생태계에 놓인 하나의 벽입니다. 지금까지 체인과 체인 사이를 연결해 보려는 움직임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브릿지로 대표되는 크로스 체인 기술이 있고 지금도 사용되고 있죠. 하지만 이용자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완전하게 체인 간의 연결을 이뤄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체인 간의 토큰을 교환할 수 있는 활동 정도에 그칠뿐더러 이용 과정이..

정우재(ChungWooJae) 2024. 1. 18. 09:30
[pxd talks] 인하우스에서 BX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법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들어가며 지난 9월 토스의 프로덕트 브랜드 디자이너 김지윤 연사님을 통해 인하우스에서 BX 디자이너가 일하는 방법을 주제로 pxd talks를 진행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pxd talks의 강연 내용 중 토스의 브랜드 자산 운용과 인지 전략, 프로덕트와 브랜딩 간의 상관관계를 전달해 보려 합니다. 브랜드 자산 운용..

yeji.jeong 2024. 1. 15. 07:50
Safari Focus

들어가며 얼마 전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레이어 팝업 창을 닫을 때 바닥화면의 스크롤이 예상치 못하게 튕기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게 무슨 일인가 싶어 원인 파악을 해봤습니다. 원인은 레이어 팝업이 닫힐 때 클릭했던 요소에 포커스를 옮겨주는 기능으로 인해 발행하였던 문제였는데요. 사파리 브라우저에서는 이 포커스가 클릭했던 요소가 아닌 부모의 요소에 포커스가 되고 있어 스크롤이 상단으로 튕겨지는 문제였는데요. 이 과정에서의 원인 파악과 문제를 해결한 내용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 포커스를 옮겨주는 기능이 꼭 필요한가? 우선 포커스를 클릭했던 요소에 옮겨주는 기능은 웹 접근성 및 사용자 경험 향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포커스를 옮겨줘야 하는 이유 또한 매우 명확하고 납득이 가능한데,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 경..

taeyong.kim 2024. 1. 11. 09:35
블록체인이 필요한 이유

들어가며 현재 업무가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되어 있는데, 생각보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아는 게 많이 없는 거 같아 개인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블록체인 공부를 시작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드는 의문이 있는데, 첫 번째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정말 필요한가? 두 번째가 그래서 “미래가치가 있나?”였습니다. 그래서 이 의문을 해소하고자 들었던 강의 및 간단히 찾아보았던 내용들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고 합니다. 그렇다 보니 블록체인 = 비트코인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을 만들 때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필요해 만들어진 게 블록체인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깐 비트코인이라는 탈중앙화된 화폐를 만들기 위해서는 탈중앙화된 장부가 필..

Seulbi Lee 2023. 12. 28. 07:50
cheerio

들어가며 최근 블로그 작업을 진행하며 알게된 NodeJS에서 HTML을 파싱하여 웹을 스크래핑 할수있는 NodeJS 모듈을 알게되었는데요 사용법 또한 쉽고 간단한 편이라 웹스크래핑을 해야할 작업이 생긴다면 상당히 요긴하게 쓰일것 같아 오늘 해당 모듈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사전준비 npm install cheerio // or yarn add cheerio npm install axios// or yarn add axios 우선 npm 또는 yarn 을 이용해 cheerio와 axios(axios는 편의상 같이 사용하였고 필수는X)를 설치해 줍니다. import * as cheerio from 'cheerio'; import axios from 'axios'; 그다음 두 모듈을 사용할곳에 imp..

crsmym 2023. 12. 14.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메인넷

“OOO, 메인넷 출범!” 경제 관련 소식에서 꼭 이런 제목을 볼 수 있죠. 누군가 ‘메인넷(Mainnet)’이란 걸 세상에 내놨다는 사실은 알 수 있지만, 그게 가까운 일상부터 먼 미래까지 나의 삶에서 어떤 의미인지는 잘 와닿지 않아요. 메인넷은 대체 무엇일까요? 왜 여러 기업이 너도나도 비장하게 메인넷을 만드는 걸까요?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았던 여행자를 위해 메인넷 안내서를 준비했어요. 네트워크는 아는데, 메인넷은 모른다면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준말로, 여기서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해요.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라는 건 DeFi 편에서도 잠깐 설명해드렸죠. 이 네트워크에선 일정 시간 단위로 저장된 데이터가 하나의 ‘블록’을 이루고..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12. 7. 07:50
[NILE] NEITH Covenant — NFT에 담긴 네이트의 약속

뉴스에서 우리는 부동산이나 은행 금리의 움직임에 관한 보도를 접합니다. 어제와 오늘의 환율이 다르고 오늘과 내일의 주가가 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죠. 이렇듯 자산의 가치는 우리의 예상과 다르게 바뀌기도 하므로 사람들은 자산을 좀 더 안전하게 지키면서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원합니다. 자산의 가치를 지켜주는 어떤 안전장치가 있다면, 그리고 더 나아가 미래의 가치 상승까지 기대하게 만드는 무언가가 정말 있다면 어떨까요? 그런데 NILE(나일)의 NFT 세계에는 그런 무언가가 있습니다. 창조의 신 ‘네이트’가 NFT에 담아둔 약속, NEITH Covenant(네이트 커버넌트)가 바로 그것이죠. NFT의 가치를 위한 약속, NEITH Covenant NEITH Covenant는 네이트가 약속한 미래의 시점인 C..

정우재(ChungWooJae) 2023. 11. 27. 07:50
Resize Observer API

들어가며 약관 자동화 코드 적용 부분을 보다 Resize Observer API라는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약관 자동화 코드가 궁금하신 분은 링크 참고해 주세요). 이 API 또한 굉장히 유용할 것 같다고 생각되어 Intersection Observer API 연장선으로 WEB APIs인 Resize Observer API를 소개하려 합니다. Resize Observer API 란? Resize Observer API는 요소의 크기를 감시하는 API입니다. 예를 들면 보통 width가 100%인 div의 넓이를 화면이 리사이즈 될 때마다 알고 싶다면 어떻게 구하시나요? React 코드로 예시를 들어보면 필자는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API를 알기 전에는 아래와 같이 resize 이벤트를 통해서 구..

hyejun.lee 2023. 11. 24. 15:53
React 폼 요소 제어하기

들어가며 React form API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React Hook Form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해당 라이브러리가 채택된 이유는 React Hook Form이 종속성이 없는 가벼운 라이브러리이고, 재 렌더링 횟수를 최소화하여 성능에 안정적이고 타입스크립트를 기본으로 제공해 작업 환경에 큰 어려움 없이 적용하기 좋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React-hook-form 시작하기 react-hook-form 설치는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매니저인 npm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npm install react-hook-form useForm Hook 이용하기 우리가 일반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Form 요소 요건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입력 필수 ..

seonju.lee 2023. 11. 16. 07:50
pxd people | "믿고 맡기는 개발자이고 싶어요"

문득 이런 생각이 드는 때가 있어요. ‘이 사람 자기 일을 정말 좋아하는구나.’ 일 얘기를 하면 유난히 빛나는 눈, 평소보다 세 배는 더 빠르게 쏟아내는 말, 편히 기댄 등을 떼고 바짝 당겨 앉은 자세 같은 것을 발견할 때죠. 그런 반짝이는 순간을 또 보고 싶어서 괜히 다가가 일 얘기를 꺼내기도 하는데요. 구성 요소를 ‘녀석'이라고 부르는 개발자를 만났을 땐 [pxd people] 인터뷰를 요청할 수밖에 없었어요. “이건 손이 좀 많이 가는 녀석인데요.” “저 녀석은 빠르게 나올 수 있어요.” 업무를 가리키며 이토록 아기자기하고 정겨운 단어를 쓰는 사람에게 듣는 개발 얘기는 얼마나 재밌을까요. XE 그룹 2팀 팀장이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김태용 님과 나눈 대화를 들려드릴게요. Q. 태용 님 반갑습니다! 먼..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11. 9. 07:50
[PoET] 기여자와 함께 나누고 성장하는 ‘같이’의 가치

모든 생명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세계를 이룹니다. 만약 이 관계가 끊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어느 날 한 종(species)의 생명이 사라진다면, 먹이사슬로 얽힌 다른 생명들이 서서히 멸종하다가, 끝내는 여러 종이 서식하며 관계를 맺는 생태계 전체가 무너지고 말 겁니다. 생태계가 안팎으로 균형을 이루며 예상치 못한 충격에도 단단히 버티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명들이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생태계라고 부르는 이곳,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웹3 세상에서도 ‘같이’의 가치는 중요하죠. PoET(Proof of Ecological Transaction, 포잇)은 WEMIX(위믹스) 생태계가 이러한 가치를 지키기 위해 고안한 리워드 분배 프로그램입니다. Eco Fund(에코펀드)의 일환으로..

임현경 (Hyun Kyung Lim) 2023. 11. 7. 07:50
1 ··· 6 7 8 9 10 11 12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