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1) N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6) N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8)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퍼소나 리뷰 UI 미디어 서비스 디자인 국내교육 심리학 산책 pxd Talks 컨퍼런스/세미나 Persona pxd 해외교육 진로교육 조사 방법 Lean UX 전시와 작가 도서 프로젝트 방법 UX 디자인 사고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1)

  • Transfer Detection

    taeyong.kim ― 2024.07.11
  • Speaking UX at NFT.NYC 2024

    Seungyoon Lee ― 2024.07.04
  • 서브 도메인을 활용한 쿠키 공유

    알 수 없는 사용자 ― 2024.06.27
  • UX리서치: 임팩트 관리하기

    Seungyoon Lee ― 2024.06.17
  • React Three Fiber

    hongdoyoung ― 2024.06.13
  • [데이터 기반 퍼소나] 유입 검색어로 사용자 세분화하기

    無異 ― 2024.06.10
  • Github 칸반 보드 경험기

    seonju.lee ― 2024.06.06
  • Github Actions를 이용한 Slack App(Bot) 만들기

    hyejun.lee ― 2024.05.16
  • Token Bound Account(TBA)는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을까?

    윤장희 ― 2024.05.02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최은주_UX Writer ― 2024.04.29
  • Ethereum Testnet 첫 사용기

    taeyong.kim ― 2024.04.25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최은주_UX Writer ― 2024.04.22
Transfer Detection

들어가며블록체인의 컨트랙트에서 전송을 감지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보자.처음의 궁금증은 지갑에서 보이는 기본 토큰의 보유 수량을 어떻게 업데이트하는지에 대한 고민부터 시작되었다.다른 사람이 내 지갑으로 토큰을 전송한 걸 감지해서 보여줄까? 에 대한 고민이었는데,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보유 수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찾아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단순한 해결 법최초 고민 시에 내가 아는 지식은 블록체인 내에서 내가 가진 토큰의 수량을 조회하고 보여주는 게 끝이었다.이런 지식 속에서 처음 생각난 해결법은 주기적으로 내가 가진 토큰의 수량을 조회하여 보여주는 방식이 생각났지만 동시에 너무나도 비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생각이 듦과 동시에 누가 생각하더라도 이런 비효율적인 방법보다 더욱 효율적..

taeyong.kim 2024. 7. 11. 07:50
Speaking UX at NFT.NYC 2024

올해 4월, 뉴욕에서 열린 “NFT.NYC 2024”에 연사로 참여했었습니다. 지난해 스포츠 NFT를 기획하며 느꼈던 UX 인사이트를 짧게 공유해 보았어요. NFT.NYC는 매년 뉴욕에서 열리는 규모가 큰 NFT 행사입니다. 우연히 Call for Speaker 공고를 보고 스피커로 지원했는데 발표를 할 수 있게 되어 굉장히 기쁜 마음으로 다녀왔습니다. 준비하면서 스트레스받고 도망가고 싶은 마음도 컸지만 막상 마치고 나니 스스로 칭찬하게 되네요. 이번 글에서는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는지, 또 그 과정과 개인적으로 느낀 점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Apply to speak 개인적인 얘기를 해보자면, 저는 평소에는 여러 프로젝트를 하며 크고 작은 자리에서 프리젠테이션 기회가 많고, 처음 보는 클라이언트와 ..

Seungyoon Lee 2024. 7. 4. 07:50
서브 도메인을 활용한 쿠키 공유

들어가며구글에는 수많은 서비스가 있습니다. 검색, 유튜브, 메일... 전부 기억하기 힘들 만큼이나 많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은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며 로그인을 해본 기억이 그리 많지는 않을 것입니다. 과연 구글은 어떻게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도메인 간 로그인을 유지시킬 수 있었을까요? 이번 포스트를 통해 이에 대하여 추측해 보겠습니다.본론우선 공식 문서를 통해 힌트를 얻어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저희는 구글에서 계속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구글은 '쿠키' 사용 설정을 확인해 보라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 구글은 로그인 유지에 '쿠키'를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스택오버플로우의 글에서는 아래와 같이 도메인 단위의 쿠키 저장이 가능함을 ..

알 수 없는 사용자 2024. 6. 27. 07:50
UX리서치: 임팩트 관리하기

왜 임팩트인가  우리가 하는 이 리서치가 조직에 정말 도움이 되는 건가? 치열하게 몰두했던 리서치의 결과물이 조직 안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팀 회고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올해는 ‘어떻게 하면 리서치의 임팩트를 파악하고 트래킹’ 할 수 있을까… 달리 말하면, 어떻게 하면 내가 리서치를 잘 해내고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본격적으로 해보려고 마음을 먹었는데요, 그 고민의 과정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리서치팀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피엑스디 UX 리서치팀의 업무는 ‘선행 리서치(Foundational)’ 리서치와 ‘프로덕트(Evaluative) 리서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선행 리서치팀은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통해 미래 유저..

Seungyoon Lee 2024. 6. 17. 07:50
React Three Fiber

들어가며WebGL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js를 react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인 react-three-fiber(이하 RTF)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특징컴포넌트 기반3D 장면을 웹상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반되어야 하는 많은 지식이 있습니다. 카메라, 조명, 텍스처, scene 등을 하나하나 구현해나가야 하는데 three.js를 사용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단순한 mesh 하나를 만드는데도 많은 양의 코드가 필요합니다. 복잡한 내용일수록 코드 가독성은 떨어지고 피로감은 올라가죠.RTF는 react 개발자라면 익숙한 커스텀 태그와 컴포넌트 형식으로 각종 API를 제공합니다. 또한 react 훅과도 잘 맞고 useFrame, useLoader 같은 다양한 ..

hongdoyoung 2024. 6. 13. 07:50
[데이터 기반 퍼소나] 유입 검색어로 사용자 세분화하기

퍼소나 = 사용자 세분화 하기사용자 중심 디자인에는 사용자 이해가 우선 합니다. 그래서 사용자를 정의하는데 퍼소나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공감을 위해 가상 인물에 이름을 지어주거나 사진을 붙이고 스토리를 부여하기도 하는데요. 퍼소나의 진정한 의미는 사용자를 세분화하는 데 있습니다. 우리는 사용자는 모두 다르다는 걸 알면서도 종종 뭉뚱그려 생각하는 경향이 있거든요.설문 조사에서 우리 제품을 50%가 좋아한다라고 했을 때. 우리 제품을 반만 좋아하는 애매한 사용자 집단이 좀 더 좋아하는(수치를 높이는) 방법을 찾지는 않잖아요. 좋아하는 집단과 좋아하지 않는 집단이 반반정도 있다는 것이니. 좋아하는 집단에 집중해 좋아하는 부분을 더 강조하거나, 좋아하지 않는 집단이 가진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전략을 세워 디..

無異 2024. 6. 10. 13:15
Github 칸반 보드 경험기

들어가며최근 운영 프로젝트 업무 내용 확인하다 보니 구축 시에는 칸반 보드를 생성하였으나 운영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아 파악이 어려웠던 경험이 있었고, 앞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깃헙 칸반 보드를 적극 사용했으면 하는 마음에 얘기를 해보고 싶어 졌습니다.칸반보드를 도입하게 된 배경기존에는 맥북의 그룹 메모, 슬랙 메신저로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이다 보니 시간별로 데이터를 쌓는 구조여서 정보가 쌓을수록 데이터 구분이 되지 않았고, 산발적으로 쏟아지는 업무와 다수 작업자의 업무 및 진행사항은 프로젝트 그룹원 모두 파악하기 어려워 기억에 의존하거나 PL이 개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 작업자별 각자 업무를 파악하고, 여러 작업의 진척 상황을 한눈에 구분할 수 있고, 특정 업무별 히스토리를 기록할 ..

seonju.lee 2024. 6. 6. 07:50
Github Actions를 이용한 Slack App(Bot) 만들기

들어가며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Github을 이용해 형상 관리 중입니다.프로젝트에서 작업한 브랜치는 PR(Pull Request)을 통해 팀원들에게 코드 리뷰를 받고, 이후에 master 브랜치에 합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내가 PR의 코드 리뷰어로 선정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회사 메신저인 Slack의 Github 봇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PR의 코드 리뷰어로 선정되었다는 정보 말고 PR 관련 모든 정보가 함께 와서 필요 없는 정보로 Slack 채널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걸 느꼈습니다.원하지 않는 pr 내용까지 보여주고 있다.심지어 Slack을 창 모드로 작게 사용하면 단 2개의 알림으로도 채팅창이 꽉 차는 걸 볼 수 있습니다.함께 보는 팀 채널에 올라온다면..

hyejun.lee 2024. 5. 16. 07:50
Token Bound Account(TBA)는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을까?

TL;DRTBA는 이더리움의 새로운 표준으로, "백팩 지갑"으로 기능할 수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NFT는 다른 토큰을 저장하고,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하며,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어 NFT의 유틸리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각 캐릭터 NFT는 서로 다른 설정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TBA는 사용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번들링과 판매를 용이하게 하여 2차 판매를 촉진합니다. TBA는 AI와 로봇 간의 거래를 포함한 경제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합니다.TBA에 대한 기술 소개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TBA가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윤장희 2024. 5. 2.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웹3 생태계는 이용자들의 참여와 그에 따른 보상이 선순환하며 성장하는 매력적인 공간이에요. 이곳에서의 참여와 보상은 암호화폐로 이뤄지는데요. 웹3를 처음 접하면 여러 암호화폐 중 어떤 것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가치 변동성이 적어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Stablecoin(이하 스테이블코인)을 소개해요.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암호화폐예요. 코인의 가치를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 화폐 또는 금,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해서 변동성을 최소화해요. 여기서 ‘연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자산이 준비돼 있다는 의미예요.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접근성 등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법정 화폐, 금 같은 자산의 안정적인 ..

최은주_UX Writer 2024. 4. 29. 07:50
Ethereum Testnet 첫 사용기

들어가며 지난 2023년 12월, 업무상 Ethereum(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월렛을 만들어야 했다. Web3와 블록체인에 관한 지식이 없어 우선, 월렛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토큰 전송 및 관리가 가능한 단계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Ganache-cli를 사용해 로컬 환경에서 토큰 조회, 전송, 트랜잭션 조회 등 이런저런 테스트를 하다가 실제 네트워크에서도 월렛이 제대로 작동할지 궁금해져 Ethereum 테스트넷을 알아봤다.  테스트넷 정하기처음에는 Web3나 블록체인에 관한 지식이 없는 나도 한 번쯤은 들어봤던 Goerli(고얼리)를 사용하려고 했다. 그러다 Goerli보다 나중에 나온 Sepolia(세폴리아)를 알게 됐고, '기왕 사용해 보는 거, 최근에 나온 테스트넷을 써보는 게 ..

taeyong.kim 2024. 4. 25.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코인을 살 때 Gas fee(이하 가스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냈는데, 가스비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가스비를 처음 접했을 때, 다들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이번 시간에는 가스비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가스비란? 가스비는 토큰을 교환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내는 수수료예요. 이용자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내는 거예요. 그리고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활동은 데이터로 네트워크에 영원히 기록되는데요. 이 기록은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참여자들이 일일이 이용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거죠. 이 때문에 가스비의 일부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도 주어져요. 즉, 가스비는 네트워크 사용료와 참여자..

최은주_UX Writer 2024. 4. 22. 07:50
1 ··· 3 4 5 6 7 8 9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