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6) N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8)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N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조사 방법 Persona 전시와 작가 진로교육 해외교육 UX 리뷰 서비스 디자인 미디어 디자인 사고 퍼소나 컨퍼런스/세미나 Lean UX 국내교육 pxd 심리학 산책 pxd Talks UI 프로젝트 방법 도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6)

  • [인터뷰] ‘춤을 추었어’ NFT, 그림책과 만나 마음을 갖다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09.19
  • 생성형 AI, 세상 모든 견종 NFT를 만들 수 있을까?

    임현경 (Hyun Kyung Lim) ― 2024.09.13
  • pxd Wallet

    taeyong.kim ― 2024.09.12
  • 소프트웨어 개발 컨설팅회사 Favorite Medium과 pxd, 업무협약(MOU)을 체결

    pxd story ― 2024.09.11
  • UX 라이팅을 돕는 AI 툴

    정우재(ChungWooJae) ― 2024.09.10
  • [pxd talks] '언어학자가 바라보는 Gen AI'

    wonju.kim ― 2024.09.09
  • [pxd talks]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

    juhyeon.lee ― 2024.08.23
  • 오픈소스 License에 대해 알아보기.

    Byul.Kim ― 2024.08.22
  •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無異 ― 2024.08.20
  • AI를 위한 UX 요소들

    Sungi Kim ― 2024.08.20
  • faker.js와 colors.js 사태를 통해 살펴보는 오픈소스의 양면성

    Byul.Kim ― 2024.08.12
  • AI를 위한 UI 패턴

    Sungi Kim ― 2024.08.08
[인터뷰] ‘춤을 추었어’ NFT, 그림책과 만나 마음을 갖다

NFT(Non-Fungible Token)는 이름 그대로 다른 무엇이 ‘대체할 수 없는' 제각기 고유한 것이에요. 똑같은 곰 인형이 수만 개씩 있다 해도 다른 곰 인형이 내가 품은 곰 인형을 대신할 수 없듯, NFT는 ‘내 것'으로서 유일성을 가져요. 물성이 없는 디지털이지만, 소유할 수 있는 아날로그의 감성을 담고 있죠.이수지 작가는 NFT ‘춤을 추었어'로써 이런 NFT의 감성과 가장 아날로그적인 책을 연결 지었어요. 그의 이야기는 모리스 라벨의 무곡 ‘볼레로’를 만나 열여덟 점의 그림이 되고, 각 그림은 선율에 맞춰 춤추는 애니메이션 NFT가 돼요. NFT는 ‘춤을 추었어'의 일부이자 나만이 가질 수 있는 이야기죠. 책과 그림, 그림책과 음악, 애니메이션과 NFT, 그리고 다시 NFT와 책을 잇댄 ..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9. 19. 07:50
생성형 AI, 세상 모든 견종 NFT를 만들 수 있을까?

'요술 방망이'라는 AI, 직접 써보니...생성형(Generative) AI의 등장 이후 주변이 온통 AI 얘기로 떠들썩합니다. 대부분 새로운 기능이 얼마나 놀라운지, 발전된 기술이 무엇을 가능하게 할지에 대한 이야기죠. 들려오는 소문으로는 AI가 명령어만 입력하면 어떤 결과물이든 원하는 대로 뚝딱 나오는 ‘요술 방망이’처럼 느껴집니다. 정말 그럴까요? 생성형 AI 미드저니(Midjourney)를 사용하면서 직접 알아봤습니다.  PFP NFT 344개 나와라, 뚝딱!우선 미드저니와 함께 세상 모든 개를 위한 PFP(profile picture) NFT를 만들어보자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요크셔테리어 한 마리와 함께 살고 있는 저를 포함해 pxd에는 반려견을 둔 동료들이 많은데요. 반려인들이 메신저나 소셜 ..

임현경 (Hyun Kyung Lim) 2024. 9. 13. 07:50
pxd Wallet

들어가며지난해 12월, 사내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WEB3 pxd Wallet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이전에 WEB3 플랫폼에서 UI/UX를 고민하며 UI를 개발하고 일부 프론트앤드 작업을 해본 경험은 있었지만, 실제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와 관련된 프론트앤드 개발은 처음이었기에 거의 0에서 시작하는 느낌이었습니다.개발 과정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테스트넷을 사용해보며, ERC-20 및 ERC-721 토큰에 대한 이해를 쌓았고, 깊이는 아니지만 Solidity를 활용해 간단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고 이를 실제 블록체인 테스트넷에 배포하는 경험을 하며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도 했습니다.비록 업무와 병행하며 진행되었고, 우선순위에서 밀려 잠시 중단된 적도 있었지만, 꾸준히 진행한 끝에 마무..

taeyong.kim 2024. 9. 12. 07:50
소프트웨어 개발 컨설팅회사 Favorite Medium과 pxd, 업무협약(MOU)을 체결

지난 2024년 8월 23일 Favorite Medium(이하 FM)과 피엑스디는 기술 기반의 UX 디자인 컨설팅 역량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어요.이번 MOU는 피엑스디가 국내 UX 디자인 컨설팅 분야에서 20여 년간 축적한 경험과 FM의 기술 역량을 결합하여 국내는 물론 북미, 일본, 유럽 등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하기 위함이에요.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UX 리서치부터 디자인 및 솔루션 개발에 이르는, 이른바 ‘풀 스택(full-stack)' 소프트웨어 컨설팅 회사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FM은 2007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되어 에너지, 헬스케어, 핀테크 소비재, AI, 블록체인, IoT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글로벌 기업과 사용자를 위해 약 12..

pxd story 2024. 9. 11. 07:50
UX 라이팅을 돕는 AI 툴

AI를 향한 호기심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요즘, 피엑스디(pxd)는 여러 가지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AI가 세상의 자료를 학습하는 것처럼 피엑스디도 AI를 학습하고 업무에 도움이 될 작은 도구를 만들어보고 있죠. UX 라이팅 어시스턴트(UX Writing Assistant)는 그 실험의 결과물 중 하나입니다. 원하는 글쓰기 방향성을 용어집과 글쓰기 규칙의 형태로 AI에 제공하면, 이를 바탕으로 AI가 문장을 검토하고 개선안을 제안해 주는 도구입니다.성공적인 UX 라이팅을 위해 각 기업은 글쓰기 전략을 문서로 정리한 가이드라인을 만듭니다. 브랜드에 알맞은 목소리를 지키기 위한 원칙을 정하고 일관된 글쓰기를 위한 규칙을 만들죠. 하지만, 가이드라인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제대로 지키는 건 쉽지 않습니다. 글에..

정우재(ChungWooJae) 2024. 9. 10. 07:50
[pxd talks] '언어학자가 바라보는 Gen AI'

들어가며날씨가 무더웠던 지난 7월 12일, pxd talks 에서는 ‘언어학자가 바라보는 Gen AI’ 라는 주제로 서비스나우의 언어학자이신 김미담 연사님을 모시고 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이 대중화되며 어느새 내 일상에도 깊숙이 스며들어, 생성형 AI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죠. 이러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첫째 : 연사님의 여정, 경계를 넘어 연결하기김미담 연사님은 언어학, 음성학, 인지 과학, 심리학을 전공하시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일에 관심이 많으셨다고 하셨어요. 꾸준한 관심으로 오랜 기간 사람들 간의 협업과 의사소통, 특히 음성 인지 및 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셨습니다. 더불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개인과 조직에 미치는 영..

wonju.kim 2024. 9. 9. 16:00
[pxd talks]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지난 6월 pxd에서는 플러스엑스를 창업 후 코스메틱 브랜드, Deepondé를 운영 중이신 변사범 연사님을 초청하여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에 관해 pxd talks를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변사범 연사님은 브랜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적은 리소스로 효율적인 생산을 이끄는 AI를 활용한 실무 사례를..

juhyeon.lee 2024. 8. 23. 07:50
오픈소스 License에 대해 알아보기.

들어가며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개발자와, 개발 커뮤니티, 여러 기업들에게 수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이미 구현된 다양한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코드의 투명성과 손쉽게 커스터마이징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렇게 많은 이점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도 사용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요. 바로 라이센스 입니다.이 글에서는 지난번 제가 작성한 글에 이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와 주요 라이센스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의 분류오픈소스의 라이센스는 배포 시 소스 코드의 제공 의무(Copyleft)에 따라 크게Reciprocal(소스코드 제공 의무)와 Permissive(소스코드 제공 의무 없음)로 분류..

Byul.Kim 2024. 8. 22. 07:50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디자인 회사 홈페이지를 보면 벽에 포스트잇을 빼곡히 붙여 놓은 사진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디자인 과정의 상징처럼 포스트잇을 이용한 여러 정리 방법이 있지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Affinity Diagram(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관련 아이디어나 관찰을 묶어 구조화 하는 자료 정리의 기본 과정입니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목소리를 얻었거나 문제 해결 단계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 우선 비슷한 것끼리 묶어가며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합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다양한 관점으로 아이디어를 묶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큰 보드에 붙였다 떼었다 하기 편한 포스트잇을 사용하는데요. 요즘은 미로나 피그마 같은 온라인 협업 툴을 이용해 작업 하기도..

無異 2024. 8. 20. 09:29
AI를 위한 UX 요소들

* 아래 예시 이미지들 중 일부는 Animated GIF라서 로딩 시간이 필요하거나 반복재생이 잘 안 될 수 있습니다.지난 글에서 'AI를 위한 UI 패턴'이라는 주제로 최근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들이 가지는 큰 구조의 UI 패턴들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를 활용한 서비스들에서 보이는 UX 요소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UX적인 요소이기도 하지만 기술적인 부분과도 많은 부분 겹쳐져 있습니다. 더 넓게 살펴보고 세분화하면 훨씬 더 다양한 요소들을 정리할 수 있겠지만, 일단 제가 지금껏 학습하고 실제로 접한 서비스들을 기반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그리고 최근 많이 이야기되는 RAG, Agent와 같이 앞으로 기술적인 부분이 더 발전하고 새로운 방식이 추가될 수도 있고, 그렇다면 UX 관점에서..

Sungi Kim 2024. 8. 20. 07:50
faker.js와 colors.js 사태를 통해 살펴보는 오픈소스의 양면성

들어가며저는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며 종종 mock 데이터가 필요해 손쉽게 mock 데이터를 만들어주는 faker.js라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즐겨 사용합니다.이 faker.js를 사용하면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이름, 이메일, 회사명, 주소, 랜덤 한 이미지 등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었기에 Api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발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최근에도 종종 요긴하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faker.js라는 라이브러리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과 인터넷 커뮤니티가 난리가 났던 적이 있습니다. 바로 2021년 말 발생한 faker.js와 colors.js 사태인데요.이 사태를 통해 당시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던 여러 기업들과 사용자들은 큰 혼란에 빠..

Byul.Kim 2024. 8. 12. 07:50
AI를 위한 UI 패턴

최근 2년 동안 AI는 그 어떤 것보다 빠르게 발전하며 일상생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나무가 자라는 속도만큼 한 달 한 달 대단한 성장과 발전을 하며 더 좋아지고 있죠. 기존에도 AI는 있었지만, 모두가 느끼듯 지금과 같은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그중에서도 ChatGPT는 이제 제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막히거나 질문이 생길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특정 분야의 지식이나 최근 정보, 코딩, 에러 해결, 영어 등 뭐든 내가 필요한 정도는 해 줄 것이란 생각이 들죠.지금은 ChatGPT, Gemini, Claude 등의 대형 파운데이션 모델과 그 대화형 AI 서비스가 현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이지만, MS Office나 Google Workspace 같은 업무 도구..

Sungi Kim 2024. 8. 8. 07:50
1 2 3 4 5 6 7 8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