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490)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85)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8)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2)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pxd 퍼소나 리뷰 도서 해외교육 Lean UX UI 컨퍼런스/세미나 디자인 사고 진로교육 전시와 작가 pxd Talks 서비스 디자인 조사 방법 심리학 산책 국내교육 UX 프로젝트 방법 미디어 Persona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490)

  • [pxd talks]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

    juhyeon.lee ― 2024.08.23
  • 오픈소스 License에 대해 알아보기.

    Byul.Kim ― 2024.08.22
  •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無異 ― 2024.08.20
  • AI를 위한 UX 요소들

    Sungi Kim ― 2024.08.20
  • faker.js와 colors.js 사태를 통해 살펴보는 오픈소스의 양면성

    Byul.Kim ― 2024.08.12
  • AI를 위한 UI 패턴

    Sungi Kim ― 2024.08.08
  • [METACON 2024 방문기] 'AI+Blockchain/Web3'가 열어가는 새 패러다임

    elyoob_박유빈 ― 2024.08.05
  • UX Researcher와 AI가 연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을까?

    윤장희 ― 2024.08.01
  • [다녀왔습니다] 요즘 브랜드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사용법

    Jiin.pxd ― 2024.07.29
  • wagmi.sh hooks 만들어보기

    seonju.lee ― 2024.07.25
  • [pxd talks] 생성형AI와 스테이블 디퓨전의 이해

    elyoob_박유빈 ― 2024.07.15
  • Transfer Detection

    taeyong.kim ― 2024.07.11
[pxd talks]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지난 6월 pxd에서는 플러스엑스를 창업 후 코스메틱 브랜드, Deepondé를 운영 중이신 변사범 연사님을 초청하여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실무 적용 사례에 관해 pxd talks를 진행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변사범 연사님은 브랜드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적은 리소스로 효율적인 생산을 이끄는 AI를 활용한 실무 사례를..

juhyeon.lee 2024. 8. 23. 07:50
오픈소스 License에 대해 알아보기.

들어가며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개발자와, 개발 커뮤니티, 여러 기업들에게 수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이미 구현된 다양한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코드의 투명성과 손쉽게 커스터마이징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렇게 많은 이점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도 사용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요. 바로 라이센스 입니다.이 글에서는 지난번 제가 작성한 글에 이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와 주요 라이센스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픈소스 라이센스의 분류오픈소스의 라이센스는 배포 시 소스 코드의 제공 의무(Copyleft)에 따라 크게Reciprocal(소스코드 제공 의무)와 Permissive(소스코드 제공 의무 없음)로 분류..

Byul.Kim 2024. 8. 22. 07:50
어피니티 버블: LLM을 이용한 정성조사 정리 도구

디자인 회사 홈페이지를 보면 벽에 포스트잇을 빼곡히 붙여 놓은 사진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디자인 과정의 상징처럼 포스트잇을 이용한 여러 정리 방법이 있지만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Affinity Diagram(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관련 아이디어나 관찰을 묶어 구조화 하는 자료 정리의 기본 과정입니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목소리를 얻었거나 문제 해결 단계에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을 때 우선 비슷한 것끼리 묶어가며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합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다양한 관점으로 아이디어를 묶어보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큰 보드에 붙였다 떼었다 하기 편한 포스트잇을 사용하는데요. 요즘은 미로나 피그마 같은 온라인 협업 툴을 이용해 작업 하기도..

無異 2024. 8. 20. 09:29
AI를 위한 UX 요소들

* 아래 예시 이미지들 중 일부는 Animated GIF라서 로딩 시간이 필요하거나 반복재생이 잘 안 될 수 있습니다.지난 글에서 'AI를 위한 UI 패턴'이라는 주제로 최근 AI를 활용하는 서비스들이 가지는 큰 구조의 UI 패턴들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를 활용한 서비스들에서 보이는 UX 요소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UX적인 요소이기도 하지만 기술적인 부분과도 많은 부분 겹쳐져 있습니다. 더 넓게 살펴보고 세분화하면 훨씬 더 다양한 요소들을 정리할 수 있겠지만, 일단 제가 지금껏 학습하고 실제로 접한 서비스들을 기반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그리고 최근 많이 이야기되는 RAG, Agent와 같이 앞으로 기술적인 부분이 더 발전하고 새로운 방식이 추가될 수도 있고, 그렇다면 UX 관점에서..

Sungi Kim 2024. 8. 20. 07:50
faker.js와 colors.js 사태를 통해 살펴보는 오픈소스의 양면성

들어가며저는 프런트엔드 개발을 하며 종종 mock 데이터가 필요해 손쉽게 mock 데이터를 만들어주는 faker.js라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즐겨 사용합니다.이 faker.js를 사용하면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이름, 이메일, 회사명, 주소, 랜덤 한 이미지 등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었기에 Api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발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최근에도 종종 요긴하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faker.js라는 라이브러리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과 인터넷 커뮤니티가 난리가 났던 적이 있습니다. 바로 2021년 말 발생한 faker.js와 colors.js 사태인데요.이 사태를 통해 당시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던 여러 기업들과 사용자들은 큰 혼란에 빠..

Byul.Kim 2024. 8. 12. 07:50
AI를 위한 UI 패턴

최근 2년 동안 AI는 그 어떤 것보다 빠르게 발전하며 일상생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나무가 자라는 속도만큼 한 달 한 달 대단한 성장과 발전을 하며 더 좋아지고 있죠. 기존에도 AI는 있었지만, 모두가 느끼듯 지금과 같은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그중에서도 ChatGPT는 이제 제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막히거나 질문이 생길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특정 분야의 지식이나 최근 정보, 코딩, 에러 해결, 영어 등 뭐든 내가 필요한 정도는 해 줄 것이란 생각이 들죠.지금은 ChatGPT, Gemini, Claude 등의 대형 파운데이션 모델과 그 대화형 AI 서비스가 현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이지만, MS Office나 Google Workspace 같은 업무 도구..

Sungi Kim 2024. 8. 8. 07:50
[METACON 2024 방문기] 'AI+Blockchain/Web3'가 열어가는 새 패러다임

Overview.지난달,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아시아 최대 규모의 AI, 웹 3, 메타버스 지식 공유 컨퍼런스인 2024 메타콘(METACON)이 개최되어 다녀왔어요. pxd는 최근 몇 년간 블록체인 UX와 웹 3 UX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성을 쌓아왔으며, 현재 AI와 UX를 융합한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을 진행 중입니다. 올해는 구글 클라우드, 인텔, 엔비디아,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포르쉐AG, 샌드박스, 현대, LG, SK 등 국내외 AI 산업을 주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참가가 돋보였어요. 현업 전문가들이 직접 전달한 최신 IT 기술 적용 사례, 비즈니스 잠재력, 경쟁 우위 확보 전략에 대한 실질적인 이야기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 다뤄지는 다양한 주제들을 깊이 있게 ..

elyoob_박유빈 2024. 8. 5. 07:50
UX Researcher와 AI가 연구를 함께 진행할 수 있을까?

최근 몇 년간 UX 리서치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출처). 과거에는 AI를 연구에 활용될 때 단순히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번거로운 업무를 줄여주는 역할에 그칠 것이라 예상했지만, 오늘날의 AI는 연구를 계획하고 진행하며 분석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여러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있지만 UX 리서치의 방법론과 범위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초기 AI 도구의 활용: 단순 작업 및 분석을 돕는 도구초기에는 AI가 연구 설계 과정에서 일부 질문을 작성하거나, 비교적 간단하고 구조화된 테스트(예: 사용성 테스트, A/B 테스트,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AI는 연구 로우 데이터를 분..

윤장희 2024. 8. 1. 07:50
[다녀왔습니다] 요즘 브랜드 디자이너의 생성형 AI 사용법

Adobe(어도비)에서 주최하는 Make it(메이크 잇)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여러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 생성형 AI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했던 경험을 공유할 거라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죠. 생성형 AI에 관심 많은 디자이너로서 놓칠 수 없는 행사였죠.행사에서 접한 여러 사례 중, 특히 생성형 AI로 디자인 자산을 효율적으로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의 코어를 구축해 나가는 사례가 인상 깊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아한청년들' 크리에이티브팀의 김관우 파트장과 ‘스매치코퍼레이션'의 조중현 CDO가 공유해 주신 인사이트를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생성형 AI로 브랜드 자산 만들기│김관우 파트장, 우아한청년들어떤 브랜드를 생각했을 때 곧바로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는 건 어쩌..

Jiin.pxd 2024. 7. 29. 07:50
wagmi.sh hooks 만들어보기

들어가며올해 그룹에서 Web 3에 대한 내부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서, 내부 환경 세팅 및 관련 라이브러리 사용에 대해 고민하던 중, WAGMI.sh라는 라이브러리를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비록 실제 프로젝트에 투입되지는 않았고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공부를 통해 WAGMI.sh의 내부 동작 방식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되어 학습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WAGMI.sh란,블록체인 기술과 상호작용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된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입니다.여기서 WAGMI 는 “We’re All Gonna Make It”의 약자로 암호화폐와 web 3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인데,이더리움 개발과 일반적인 작업을 단순화하는 훅을 제공합니다.Wagmi.sh에서 제공하..

seonju.lee 2024. 7. 25. 07:50
[pxd talks] 생성형AI와 스테이블 디퓨전의 이해

pxd talks는 여러 분야의 연사님을 초빙해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pxd 구성원들이 더 넓은 시야로 무언가를 새롭게 발견하거나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말이죠. 그리고 그 경험은 [pxd talks] 아티클로 기록합니다. pxd 구성원들이 함께 보고 듣고 느끼고 배운 것들이 사라지지 않고 pxd story에 남아 더 넓은 세상으로 뻗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들어가며,지난 5월 pxd talks에서는 soy.lab의 총괄 및 대표이시며 패스트캠퍼스 생성형 AI 강사이신 최돈현 연사님을 모시고, 이미지와 언어를 이해하는 AI 기술의 발전 및 활용과 Stable Diffusion에 대한 이해를 ComfyUI 시연을 통해 이해하는 자리가 마련되었어요. 이번 글은 연사님께서 ..

elyoob_박유빈 2024. 7. 15. 11:33
Transfer Detection

들어가며블록체인의 컨트랙트에서 전송을 감지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보자.처음의 궁금증은 지갑에서 보이는 기본 토큰의 보유 수량을 어떻게 업데이트하는지에 대한 고민부터 시작되었다.다른 사람이 내 지갑으로 토큰을 전송한 걸 감지해서 보여줄까? 에 대한 고민이었는데, 어떻게 하면 더 효율적으로 보유 수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찾아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단순한 해결 법최초 고민 시에 내가 아는 지식은 블록체인 내에서 내가 가진 토큰의 수량을 조회하고 보여주는 게 끝이었다.이런 지식 속에서 처음 생각난 해결법은 주기적으로 내가 가진 토큰의 수량을 조회하여 보여주는 방식이 생각났지만 동시에 너무나도 비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생각이 듦과 동시에 누가 생각하더라도 이런 비효율적인 방법보다 더욱 효율적..

taeyong.kim 2024. 7. 11. 07:50
1 2 3 4 5 6 7 8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