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d story

pxd story

전체 글보기
  • pxd UX lab (1500)
    • UX 가벼운 이야기 (601)
    • GUI 가벼운 이야기 (153)
    • UX Engineer 이야기 (91)
    • AI 이야기 (11)
    • pxd AI툴 이야기 (11)
    • Blockchain UX 이야기 (71)
    • pxd talks (113)
    • Review | 컨퍼런스, 학회, 전시, 도서 (173)
    • pxd 다이어리 & 소소한 이야기 (201)
    • pxd 뉴스룸 (12)
    • Re-design! (33)
    • pxd 프로젝트 리뷰 (11)
    • inspiration movie (16)
    • (Private) 쓸거리 (0)
    • (Private) pxd idea (0)
  • 공지사항
  • 방명록
  • 태그
  • pxd Homepage
  • pxd Medium - Blockchain Story
  • pxd XE Group - FED
  • LeanUX Lab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글수정 관리

pxd story

컨텐츠 검색

태그

Lean UX 조사 방법 전시와 작가 pxd Talks 퍼소나 UX 리뷰 심리학 산책 국내교육 도서 미디어 UI pxd Persona 컨퍼런스/세미나 해외교육 디자인 사고 진로교육 서비스 디자인 프로젝트 방법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2018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7 pxd story 포스트 모음
  • 2016 pxd story 포스트 모음

아카이브

pxd UX lab(1500)

  • UX리서치: 임팩트 관리하기

    Seungyoon Lee ― 2024.06.17
  • React Three Fiber

    hongdoyoung ― 2024.06.13
  • [데이터 기반 퍼소나] 유입 검색어로 사용자 세분화하기

    無異 ― 2024.06.10
  • Github 칸반 보드 경험기

    seonju.lee ― 2024.06.06
  • Github Actions를 이용한 Slack App(Bot) 만들기

    hyejun.lee ― 2024.05.16
  • Token Bound Account(TBA)는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을까?

    윤장희 ― 2024.05.02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최은주_UX Writer ― 2024.04.29
  • Ethereum Testnet 첫 사용기

    taeyong.kim ― 2024.04.25
  •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최은주_UX Writer ― 2024.04.22
  • 블록체인 신규 유저와 함께하는 티켓 NFT 구매기

    bomi.k ― 2024.04.18
  • the-zero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알 수 없는 사용자 ― 2024.04.15
  • Ganache 간략 사용법 (feat. 소소한 추가 정보)

    ny.back ― 2024.03.28
UX리서치: 임팩트 관리하기

왜 임팩트인가  우리가 하는 이 리서치가 조직에 정말 도움이 되는 건가? 치열하게 몰두했던 리서치의 결과물이 조직 안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팀 회고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입니다. 올해는 ‘어떻게 하면 리서치의 임팩트를 파악하고 트래킹’ 할 수 있을까… 달리 말하면, 어떻게 하면 내가 리서치를 잘 해내고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본격적으로 해보려고 마음을 먹었는데요, 그 고민의 과정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리서치팀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현재 피엑스디 UX 리서치팀의 업무는 ‘선행 리서치(Foundational)’ 리서치와 ‘프로덕트(Evaluative) 리서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선행 리서치팀은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통해 미래 유저..

Seungyoon Lee 2024. 6. 17. 07:50
React Three Fiber

들어가며WebGL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js를 react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인 react-three-fiber(이하 RTF)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봅니다. 특징컴포넌트 기반3D 장면을 웹상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반되어야 하는 많은 지식이 있습니다. 카메라, 조명, 텍스처, scene 등을 하나하나 구현해나가야 하는데 three.js를 사용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단순한 mesh 하나를 만드는데도 많은 양의 코드가 필요합니다. 복잡한 내용일수록 코드 가독성은 떨어지고 피로감은 올라가죠.RTF는 react 개발자라면 익숙한 커스텀 태그와 컴포넌트 형식으로 각종 API를 제공합니다. 또한 react 훅과도 잘 맞고 useFrame, useLoader 같은 다양한 ..

hongdoyoung 2024. 6. 13. 07:50
[데이터 기반 퍼소나] 유입 검색어로 사용자 세분화하기

퍼소나 = 사용자 세분화 하기사용자 중심 디자인에는 사용자 이해가 우선 합니다. 그래서 사용자를 정의하는데 퍼소나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공감을 위해 가상 인물에 이름을 지어주거나 사진을 붙이고 스토리를 부여하기도 하는데요. 퍼소나의 진정한 의미는 사용자를 세분화하는 데 있습니다. 우리는 사용자는 모두 다르다는 걸 알면서도 종종 뭉뚱그려 생각하는 경향이 있거든요.설문 조사에서 우리 제품을 50%가 좋아한다라고 했을 때. 우리 제품을 반만 좋아하는 애매한 사용자 집단이 좀 더 좋아하는(수치를 높이는) 방법을 찾지는 않잖아요. 좋아하는 집단과 좋아하지 않는 집단이 반반정도 있다는 것이니. 좋아하는 집단에 집중해 좋아하는 부분을 더 강조하거나, 좋아하지 않는 집단이 가진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전략을 세워 디..

無異 2024. 6. 10. 13:15
Github 칸반 보드 경험기

들어가며최근 운영 프로젝트 업무 내용 확인하다 보니 구축 시에는 칸반 보드를 생성하였으나 운영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아 파악이 어려웠던 경험이 있었고, 앞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깃헙 칸반 보드를 적극 사용했으면 하는 마음에 얘기를 해보고 싶어 졌습니다.칸반보드를 도입하게 된 배경기존에는 맥북의 그룹 메모, 슬랙 메신저로 정보를 취득하는 환경이다 보니 시간별로 데이터를 쌓는 구조여서 정보가 쌓을수록 데이터 구분이 되지 않았고, 산발적으로 쏟아지는 업무와 다수 작업자의 업무 및 진행사항은 프로젝트 그룹원 모두 파악하기 어려워 기억에 의존하거나 PL이 개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환경이었습니다. ⇒ 작업자별 각자 업무를 파악하고, 여러 작업의 진척 상황을 한눈에 구분할 수 있고, 특정 업무별 히스토리를 기록할 ..

seonju.lee 2024. 6. 6. 07:50
Github Actions를 이용한 Slack App(Bot) 만들기

들어가며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Github을 이용해 형상 관리 중입니다.프로젝트에서 작업한 브랜치는 PR(Pull Request)을 통해 팀원들에게 코드 리뷰를 받고, 이후에 master 브랜치에 합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내가 PR의 코드 리뷰어로 선정되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회사 메신저인 Slack의 Github 봇을 통해 알림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PR의 코드 리뷰어로 선정되었다는 정보 말고 PR 관련 모든 정보가 함께 와서 필요 없는 정보로 Slack 채널의 오염도가 높아지는 걸 느꼈습니다.원하지 않는 pr 내용까지 보여주고 있다.심지어 Slack을 창 모드로 작게 사용하면 단 2개의 알림으로도 채팅창이 꽉 차는 걸 볼 수 있습니다.함께 보는 팀 채널에 올라온다면..

hyejun.lee 2024. 5. 16. 07:50
Token Bound Account(TBA)는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을까?

TL;DRTBA는 이더리움의 새로운 표준으로, "백팩 지갑"으로 기능할 수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NFT는 다른 토큰을 저장하고, 컨트랙트와 상호작용하며,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어 NFT의 유틸리티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각 캐릭터 NFT는 서로 다른 설정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TBA는 사용자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번들링과 판매를 용이하게 하여 2차 판매를 촉진합니다. TBA는 AI와 로봇 간의 거래를 포함한 경제적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합니다.TBA에 대한 기술 소개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TBA가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윤장희 2024. 5. 2.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웹3 생태계는 이용자들의 참여와 그에 따른 보상이 선순환하며 성장하는 매력적인 공간이에요. 이곳에서의 참여와 보상은 암호화폐로 이뤄지는데요. 웹3를 처음 접하면 여러 암호화폐 중 어떤 것을 써야 할지 고민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분들에게 가치 변동성이 적어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Stablecoin(이하 스테이블코인)을 소개해요.스테이블코인이란?스테이블코인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암호화폐예요. 코인의 가치를 달러나 유로 같은 법정 화폐 또는 금, 부동산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에 연동해서 변동성을 최소화해요. 여기서 ‘연동’은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에 상응하는 만큼의 자산이 준비돼 있다는 의미예요. 암호화폐의 투명성과 접근성 등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법정 화폐, 금 같은 자산의 안정적인 ..

최은주_UX Writer 2024. 4. 29. 07:50
Ethereum Testnet 첫 사용기

들어가며 지난 2023년 12월, 업무상 Ethereum(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월렛을 만들어야 했다. Web3와 블록체인에 관한 지식이 없어 우선, 월렛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토큰 전송 및 관리가 가능한 단계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Ganache-cli를 사용해 로컬 환경에서 토큰 조회, 전송, 트랜잭션 조회 등 이런저런 테스트를 하다가 실제 네트워크에서도 월렛이 제대로 작동할지 궁금해져 Ethereum 테스트넷을 알아봤다.  테스트넷 정하기처음에는 Web3나 블록체인에 관한 지식이 없는 나도 한 번쯤은 들어봤던 Goerli(고얼리)를 사용하려고 했다. 그러다 Goerli보다 나중에 나온 Sepolia(세폴리아)를 알게 됐고, '기왕 사용해 보는 거, 최근에 나온 테스트넷을 써보는 게 ..

taeyong.kim 2024. 4. 25. 07:50
[웹3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가스비(Gas Fees)

“코인을 살 때 Gas fee(이하 가스비)를 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냈는데, 가스비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가스비를 처음 접했을 때, 다들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이번 시간에는 가스비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가스비란? 가스비는 토큰을 교환하거나,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내는 수수료예요. 이용자의 모든 활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료를 내는 거예요. 그리고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활동은 데이터로 네트워크에 영원히 기록되는데요. 이 기록은 자동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채굴자 또는 검증자라고 불리는 참여자들이 일일이 이용자들의 활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거죠. 이 때문에 가스비의 일부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으로도 주어져요. 즉, 가스비는 네트워크 사용료와 참여자..

최은주_UX Writer 2024. 4. 22. 07:50
블록체인 신규 유저와 함께하는 티켓 NFT 구매기

들어가며 ‘우리 서비스를 유저 입장에서 사용해 보자'라는 취지로 시작한 ‘내돈내테' 프로젝트도 어느새 마지막입니다. 이번 내돈내테는 블록체인 기술이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벤트와 결합(RWE : Real World Event)되었을 때, 신규 유저도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는지, 경험이 가로막히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그들 입장에서 파악해보자라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습니다. 지난 9월, RW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NILE(나일)에서는 Ticket(티켓) NFT를 판매했었는데요. 저희는 이 티켓 NFT를 블록체인/Web3.0 경험이 전혀 없는 신규 유저 6명과 함께 구매/사용하는 전반의 과정을 경험해 보았습니다. 사용자 조사는 신규 유저가 티켓 NFT를 처음 마주하고 구매하는 실제 모습과 가장 유..

bomi.k 2024. 4. 18. 09:50
the-zero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들어가며 the-zero 백엔드를 담당하면서 작성하게 된 테스트 코드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된 이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된 이유는 아래 두 가지 때문입니다. 1. the-zero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 2. 이 코드를 보게 될 미래의 그룹원과 미래의 나를 위해서 신뢰성 - 잘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 일정에 쫓기느라 마음에 들지 않는 코드를 수정하고 싶지만 잘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고장날까 걱정하며 리팩터링을 미룬다. - 급하게 다음 버전 기능 추가, 수정을 위해 코드를 추가한다. - 기존 코드와 새로운 기능을 하는 코드가 얽히고설키며 복잡해진다. - 기존 기능과 새로운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한다. - 기존 기능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새로운..

알 수 없는 사용자 2024. 4. 15. 11:00
Ganache 간략 사용법 (feat. 소소한 추가 정보)

들어가며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작성법에 관해 공부하던 중 로컬 테스트를 할 수 있는 Ganache(가나슈)를 알게 됐습니다. Ganache는 Solidity(솔리디티)와 더불어 로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와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s)을 테스트하고 배포할 수 있는 툴인데요. 예전에 팀장님께서도 Ganache를 언급했던 기억이 나, 간략한 사용법을 공유합니다. New Workspace 개발 환경 설정하기 Ganache를 실행하면 나오는 첫 화면입니다. Quickstart와 New Workspace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두 작업 환경 모두 Ethereum(이더리움)과 Filecoin(파일코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니 원하는 메인넷을 선택한 뒤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

ny.back 2024. 3. 28. 07:50
1 ··· 4 5 6 7 8 9 10 ··· 125
pxd story pxd, inc. pxd 오시는 길 XE Group UX Tech Lab.
©2025 pxd, inc.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